•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사퇴여론 귀 막은 정몽규…KFA 회장 4선 연임엔 '진심'

등록 2024.05.16 09:40:51수정 2024.05.16 11:27:2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韓축구 추락 방관하더니 AFC 집행위원 선거 총력

단독 입후보해 당선 유력…오늘 방콕 총회서 결론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이 지난 2월16일 서울 축구회관에서 열린 대표팀 사안관련 KFA 임원회의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공동취재) 2024.02.16.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이 지난 2월16일 서울 축구회관에서 열린 대표팀 사안관련 KFA 임원회의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공동취재) 2024.02.16.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안경남 기자 = 그동안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던 정몽규 대한축구협회 회장이 4선 연임을 위해 움직이기 시작했다. 빗발치는 사퇴 여론에도 반응하지 않았던 점을 고려하면 정 회장의 진심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아시아축구연맹(AFC)은 16일 태국 방콕에서 '제34회 총회'를 열고 AFC 집행위원을 선출한다.

이번 선거에서는 공석이 된 중앙아시아 여성 집행위원과 동아시아 남자 집행위원 두 자리를 뽑는데, 미고나 마흐마디리에바(타지키스탄)와 정 회장이 각각 단독 입후보했다.

집행위원회는 AFC 최고 의결 기구다.

AFC 회장 1명과 부회장 5명, 국제축구연맹(FIFA) 평의회 의원 6명(여성 1인은 집행위원 겸직), 집행위원 18명까지 총 30명으로 구성된다.

정 회장은 지난해 2월 제33회 AFC 총회에서 치른 FIFA 평의회 위원 선거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뒤 지난 6월 AFC 회장 직권으로 AFC 준집행위원 자격을 얻었다.

그러다 이번에 정식으로 출마했는데, 단독 입후보한 상황이라 당선이 유력하다.

지난 14일 총회가 열리는 방콕으로 출국한 정 회장은 15일 준집행위원 자격으로 회의에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회장이 당선된다면, 한국 축구의 국제 축구 외교 무대 복귀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의미를 갖는다.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지난 3월21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2차 예선 대한민국과 태국의 경기, 후반전 일부 한국 팬들이 '정몽규 아웃' 메세지가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2024.03.21. kkssmm99@newsis.com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지난 3월21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2차 예선 대한민국과 태국의 경기, 후반전 일부 한국 팬들이 '정몽규 아웃' 메세지가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2024.03.21. [email protected]

하지만 최근 한국 축구 추락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목돼온 그가 축구계에서 계속 영향력을 발휘하려 한다는 것에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한국 축구대표팀은 올해 초 카타르에서 열린 2023 AFC 아시안컵에서 4강에 올랐으나, 요르단에 0-2로 완패해 큰 실망감을 안겼다.

또 위르겐 클린스만 전 감독이 재임 내내 잦은 외유 등 불성실한 태도로 비난을 받다가 경질돼 떠나고, 아시안컵 기간 대표팀 선수들끼리 물리적 충돌까지 발생한 것이 알려지면서 여론은 더 악화했다.

여기에 황선홍 감독이 이끈 23세 이하(U-23) 대표팀은 2024 파리올림픽 최종예선에서 탈락해 10회 연속 올림픽 본선 진출에도 실패했다.

이 과정에서 클린스만의 후임을 찾지 못해 A대표팀을 임시로 맡아 '투잡'을 뛴 황선홍이라는 한국 축구의 자산까지 잃었다.

더욱이 이달 중에는 선임할 거라 장담했던 대표팀 사령탑도 아직 찾지 못하고 있다. 1순위로 거론됐던 제시 마쉬 전 리즈 유나이티드 감독은 캐나다 대표팀 지휘봉을 잡았다.

내달 예정된 2026 북중미월드컵 아시아지역 2차 예선까지 한 달이 채 남지 않은 가운데 또 다시 임시 사령탑을 앉혀야 하는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이 지난 2월16일 서울 축구회관에서 대표팀 사안관련 KFA 임원회의를 마친 후 브리핑을 하기 위해 회견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2024.02.16. kkssmm99@newsis.com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이 지난 2월16일 서울 축구회관에서 대표팀 사안관련 KFA 임원회의를 마친 후 브리핑을 하기 위해 회견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2024.02.16. [email protected]

한국 축구의 거듭된 추락에도 정 회장은 클린스만 전 감독 경질을 발표할 당시 한 번 고개를 숙인 뒤 다시 모습을 감췄다. 사퇴 여론이 들끓어도 꿈쩍하지 않았다.

그러다 최근 AFC 집행위원 선거가 다가오자 다시 움직이기 시작한 것이다.

정 회장의 이번 선거는 협회장 4선 연임을 위한 준비 작업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그의 세 번째 임기는 내년 1월까지다.

체육단체장은 3연임부터 대한체육회 스포츠공정위원회 심의를 통과해야 도전이 가능한데, 단체장이 국제단체 임원 자리에 오르면 심의 통과 가능성이 커진다.

지난 2월 클린스만 전 감독 경질을 발표 때 4선 도전과 관련된 질문을 받았던 정 회장은 "2018년도 총회 때 회장 임기를 3선까지 제한하도록 정관을 바꾸려고 한 적이 있다. 당시 대한체육회와 문체부에서 승인을 안 했는데 그걸로 대답을 대신하겠다"며 애매모호한 답을 내놓았다.

한국 축구가 어두운 터널을 지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중요한 일은 뒤로한 채 자리에만 연연하는 듯한 정 회장의 행보에 비판의 목소리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