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전쟁 피난처
건강 365
'운동 중 손상' 전방십자인대…'이 수술' 쓰니 재파열 감소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할 때 동종 아킬레스 이식건(재건에 사용되는 이식재)과 잔존 전방십자인대 보존술을 적용하면 재파열의 원인이 되는 경골(정강이뼈) 터널의 확장을 줄이고 합병증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찢어진 전방십자인대를 제거하고 인체의 조직인 힘줄(건)을 이식해 재건하는 수술을 말한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때 형성되는 경골 터널의 위치가 부적절하면 재건술이 실패할 수 있다. 전방십자인대 수술 후 발생하는 문제점 중 하나가 터널의 확장이다. 대부분 기존 터널이 크게 확장되고, 연골의 손상이 보이는 경우도 있다. 심하면 관절염까지 진행 돼 뼈에 변형도 생긴다.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 전문병원인 바른세상병원은 관절센터 서동원 원장(정형외과·재활의학과 전문의)은 2010~2023년 본원에서 동종 아킬레스 이식건과 잔존 전방십자인대 보존술식을 적용해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396명을 대상으로 재파열의 원인이 되는 터널 확장과 합병증 여부를 집중 분석한 결과를 17일 밝혔다. 서 원장은 수술 결과 확인을 위해 자기공명영상(MRI)을 촬영했고, 수술 직후와 추적 관찰 중 MRI의 변화(평균 21개월)를 측정, 비교했다. 터널 확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터널의 넓이는 관절면에서 터널로 수직 1cm 아래에 위치한 단면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총 396명의 사례자 중 MRI 추적 관찰이 이뤄진 179명의 MRI 측정 결과, 터널 단면적의 변화는 평균 3.49mm²로 터널이 증가한 모습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 45.2%의 환자에서 오히려 터널 감소가 관찰됐다. 추적 관찰 중 전체 환자 396명 중 21명(약 5%)의 환자에서 이식건의 파열이 확인됐다. 축구 및 외상으로 수술 후 불과 4개월 만에 재파열 된 2명을 제외하고, 19명의 환자는 평균 37.4개월 후 이식건이 파열됐다.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재파열 사례는 터널 확장보다는 격렬한 운동에 참여한 환자들의 과도한 활동이 원인인 것으로 확인됐다. 서 원장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성공에 가장 중요한 기술이 이식건의 고정 방법으로 동종 아킬레스 건은 대퇴부와 경골부의 터널에 뼈를 같이 이용해 고정하기 때문에 터널 확장을 막고 이식건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해당 수술법은 본원 관절센터 모든 의료진들이 시행하고 있는 수술 방식으로, 이번 연구를 통해 본원에서 시행하는 방식의 우수성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최근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익스페리멘탈 오르토피딕스(Journal of Experimental Orthopaedics)'에 등재됐다.
'욕창 방지' 매트리스, 가구 아닌 의료기기…'이것' 안돼요
국내 욕창 환자는 2020년 기준 약 2만 5000명으로 고령환자, 말기 암환자 등이 욕창 취약군으로 분류된다. 특히 인구 고령화로 욕창 환자가 늘어나면서 욕창을 예방하기 위한 의료기기 역시 수요가 늘고 있다. 17일 의료기기 업계에 따르면 욕창을 방지하는 의료기기 가운데 하나로 의료용 압력분산 매트리스가 있다. 식약처는 의료용 압력분산 매트리스 성능평가 가이드라인에서 욕창을 지속적으로 압박받은 신체 부위에 혈액순환 장애가 일어나서 산소와 영양 공급이 부족해짐에 따라 피부, 피하지방, 근육의 허혈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 손상, 즉 궤양으로 정의하고 있다. 욕창은 대개 중증 환자가 오래 병상에 누워 있을 때바닥에 직접 닿는 피부 부위에 생긴다는 것이 식약처의 설명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한 의료용 압력분사 매트리스는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해 욕창 등을 방지하는 원리다. 의료용 압력분사 매트리스의 종류는 누워있는 환자를 위한 매트리스와 앉아있는 환자의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방석이 있다. 해당 제품은 사용 전 매트리스 또는 방석의 파손 및 오염 여부를 확인한다. 또 평평한 곳에 놓고 공기주입 밸브를 열어 공기 호스를 연결한다. 공기펌프로 부풀어 오를 때까지 공기를 주입한 후 밸브를 잠근다. 다음으로 제품 위에 앉아 공기주입 밸브를 조금씩 열어 공기를 빼면서 환자에게 적절한 압력으로 공기량을 조정한 후 밸브를 잠근다. 사용 후 제품을 세척해 보관하는 것이 좋다. 주의사항으로는 제품의 최대 허용 하중을 확인해야 하고, 평평한 장소에서 사용한다. 환자의 접촉 부위가 방석 또는 매트리스의 바닥에 닿지 않도록 적정 공기량을 유지한다. 평소 욕창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한 부위가 지속적으로 압박 받는 것을 피한다.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 준다. 또한 혈액 순환을 위해서 금연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거동이 불편할 경우 분비물과 배설물을 빨리 제거하고 더러워지거나 젖은 옷, 시트는 신속하게 갈아주는 것이 좋다. 한편, 의료용 압력분산 매트리스는 잠재적 위해성이 거의 없는 1등급 의료기기에 해당한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