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민주, 강성 친명 지도부로 재정비…22대 국회 '대여 강경 투쟁' 예고

등록 2024.05.06 12:55:03수정 2024.05.06 13:06:5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이재명 대표-박찬대 원내대표 투톱에 주요 당직도 친명 강성파 전진배치

김건희 특검 등 윤 거부권 행사 법안 22대 국회 개원 즉시 입법 추진

"법사위·운영위원장 민주당이 확보해야"…협의 불발 시 상임위 독식도 시사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박찬대 의원이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14회 국회(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24.05.02. suncho21@newsis.com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박찬대 의원이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14회 국회(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24.05.0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22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당 지도부를 강성 친명(친이재명) 인사로 재정비하면서 대여 강경 투쟁을 예고했다.

이재명 대표는 지난주 심임 원내 사령탑이 된 '친명 핵심' 박찬대 원내대표와 합을 맞추며 초반부터 윤석열 정권을 겨냥한 각종 특검을 추진하며 정국 주도권 장악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민주당은 '채 상병 특검법'과 '김건희 여사 특검법' 등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고 입법이 될 때까지 몇 번이고 발의해 추진하기로 의견은 모은 것으로 6일 파악된다.

박 원내대표는 당선 전부터 이 대표와의 '강력한 투톱' 체제로 당과 원내 지도부가 '한 몸'이 되겠다고 공언해왔다. 최근까지 당 최고위원을 지낸 그는 지난 대선 당시 이재명 후보 캠프의 수석대변인으로 활동해 이른바 '찐명'으로 불린다.

박 원내대표는 함께 일할 원내 수석으로 박성준·김용민 의원을 임명했다. 원내 운영수석부대표가 된 박 의원은 직전 대변인이었고, 정책수석부대표를 맡은 김 의원은 같은 검찰독재정치탄압대책위원회 소속이었다. 특히 김 의원은 당내 대표적인 강경파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추진을 언급한 바 있다.

원내 지도부는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법안을 개원 즉시 재추진하겠다고 예고했다. 쌍특검(김건희 여사 특검법·대장동 50억 클럽 특검법)을 비롯해 방송3법과 간호법, 노동조합법 개정안, 양곡관리법 개정안 등을 다시 발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주 야당 단독으로 국회를 통과한 채상병 특검법의 경우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 경우 이달 말 재의결을 추진하는 것은 물론 22대 국회에서 바로 재발의에 나설 방침이다.

이와 함께 검찰개혁과 언론개혁 등 각종 개혁 입법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이 대표는 4·10 총선 승리 후 당직 인선을 단행하며 친명 강경파를 전진 배치했다. 당의 살림을 책임지는 사무총장을 비롯해 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 정책위의장, 전력기획위원장, 당대표 정무조정실장 등 주요 자리를 친명계가 가져갔다. 이 가운데 강경파로 꼽히는 민형배 전략기획위원장과 김우영 정무조정실장 등은 김 원내수석과 함께 당내 투톱의 의중을 받들며 강경 노선을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민주당은 이미 22대 국회 원 구성 협상과 관련해 법사위원장과 운영위원장을 모두 확보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하며 입 독주에 시동을 걸었다. 아울러 원 구성을 두고 국민의힘과 합의하지 못할 경우 상임위원장을 독식할 가능성도 시사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나와 "21대 국회에서 법사위를 양보하다 보니 법사위원장이 의견 자체를 상정하지 않으면 국회법으로 돌파할 방법은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밖에 없었다"며 "1~2년씩 걸려서 겨우 갈등 끝에 통과되더라도 대통령이 거부하는 등 정치적 효능감을 못 느끼게 하는 지체된 의사 결정이 너무 많았다. 22대 원내대표단은 신속하게 움직이는 기동대처럼 움직이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원 구성은 의원 수에 맞춰 비례적으로 배분하도록 협의되어 있다"며 "협의 자체가 이뤄지지 않아서 국회의 진행이 중단되거나 지연된다면 국회법에 따라 다수결의 원칙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 가져오는 결과가 생길 수도 있고, 상임위 중심으로 가져올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다르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