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中 내우외환①]헝다·전력난 이중고…근본적 경제 체질 개선 급선무

중국 2위 부동산재벌인 헝다(에버그란데)의 채무불이행 위기, 중국 전역을 강타한 전력난으로 인해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오랫동안 호황을 누려온 중국 경제에 짙은 먹구름이 드리워져 있다. 특히 이 같은 위기는 지난 2008년 미국에서 발생한 금융위기나 최근 악화하고 있는 미중 무역분쟁처럼 외부적 요인이 아닌 중국 내부 문제로 인해 벌어진 것이어서 주목된다. 다양한 악재 속에서 중국 성장 전망도 어두워지고 있어 시진핑 정부가 중국 경제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어떻게 개선해 나갈지 주목된다. ◆헝다사태, 한고비 넘으니 또 고비…결국 국유화 수순 밟나 헝다그룹은 지난 9월 29일(미국 동부시간)까지 달러화 채권 이자 4750만 달러(약 562억원)를 또 지급하지 못했다. 같은 달 23일에도 다른 달러화 채권에 대한 이자 8350만 달러(약 981억 원)를 내지 못한 바 있다. 헝다그룹은 2025년 9월만기 위안화채권 이자 2억3200만위안(약 425억원)을 지급하면서 국내 채권에 대해 채권자들과 소통하고 있으나, 해외 발행 채권 이자 상황에 대해 침묵을 이어가고 있다. 앞으로 헝다그룹은 10월 12일 1억4813만달러(1758억3031만원), 이어 19일 1218만달러(144억5766만원), 30일 1425만달러(169억 1475만원)를 지급해야 한다. 11월8일 8249만달러(979억1563만원), 12월28일 2억5520만달러(3029억2240만원)의 이자를 갚아야 한다. 2022년에 만기가 돌아오는 채권의 상환 규모는 이보다 더 크다. 헝다그룹은 무리한 신사업 투자로 유동성 위기에 봉착했는데 채권 등을 포함한 현재 헝다그룹의 부채 규모는 천문학적인 1조9700억위안(약 36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지난해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2%에 육박하는 규모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헝다 사태로 세계 2위 경제 대국의 부동산 주도 성장모델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했다”면서 “중국의 경제 성장 동력인 부동산이 오히려 성장의 발목을 잡을 수 있는 위협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중국 GDP의 약 29%를 차지하는 중국의 광대한 부동산 부문이 경제성장을 위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정부는 자국 부동산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현재 29%에서 15% 안팎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수 전문가들은 헝다 위기가 중국 경제 붕괴를 촉발하지 않겠지만, 성장모델을 전환하려는 중국의 시도가 향후 몇 년간 연간 성장률을 크게 떨어뜨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버드 대학의 경제학자 케네스 로고프 교수는 "헝다 사태는 단일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부동산에 의존한 중국의 전체 성장 모델의 문제“라고 주장했다. 로고프 교수는 또 "헝다 위기가 ‘중국판 리먼브라더스 사태’는 아니지만, 장기적으로 중국은 그만큼 고통스러울 수 있다"면서 "중국 GDP 성장이 2%대로 떨어질 수도 있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헝다 사태로 8000여개에 달하는 협력업체의 줄도산, 20만명 직원 해고로 인한 고용 불안, 금융 위기 조짐이 나타나게 된다면 중국 당국이 나서서 부채 조정 또는 국유기업의 인수 등 방안을 내놓을 수 밖에 없다는 전문가 분석이 대체적이다. ◆세계공장을 멈추게 하는 심각한 전력난…헝다사태보다 더 심각 중국 전역에서 확산되는 전력난 사태는 심상치 않다. 세계 최대 공장인 중국의 에너지 위기가 글로벌 공급망을 혼란에 빠뜨리고 물가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고, 그 파장이 헝다 사태를 넘어설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지금까지 중국 본토 31개 성급 지역 중 20개 성에서 전력 부족으로 정전 사태가 빚어졌다. 서방언론은 중국의 진짜 위기가 헝다사태가 아니라 전력난이라고 보도했다. 사실 중국의 전력난은 지난 8월부터 심화됐지만, 관영 언론의 침묵 속에서 9월 말에야 수면 위로 드러났다. 동북 3성 등 중국의 몇 개 대표적 공업지역에서 정전 사태가 발생해 더이상 숨질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던 것이다. 전기공급 중단으로 공장 수천 곳이 생산을 중단했고, 근로자들이 무급휴가를 떠나는 경우가 늘어났다. 신호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교통체증은 물론 가게들이 촛불에 의지해 장사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정전 조치로 중국기업 뿐만 아니라 중국에 진출해 있는 외국기업들도 직격타를 맞았다. 장쑤성 장자강에 있는 포스코 스테인리스강 생산라인 일부도 가동이 중단됐고, 애플과 테슬라에 납품하는 대만 폭스콘의 자회사도 생산을 중단했다. 이번 전력난의 직접적 원인은 전력 소비량은 매년 증가하는데 석탄 가격 상승과 재고 부족으로 일부 석탄 화력 발전소가 가동을 중단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 시진핑 지도부의 ‘2060년 탄소중립’ 선언과 그에 따른 석탄규제 강화 조치가 전력난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오는 2030년까지 탄소 배출 정점을 찍은 후 2060년 이전에 '탄소 배출량과 흡수량이 같은 상태'인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고 강조해 왔다. 중국내 주요 발전소들의 연료용 석탄 재고가 사상 최저 수준인 2주분밖에 남지 않았다는 보도도 나왔다. 세계 최대 공장인 중국의 에너지 위기가 글로벌 공급망을 혼란에 빠뜨리고 인플레이션을 부추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속속 제기된다. AP통신은 " 중국의 전력난은 전 세계적 상품 부족의 전조"라며 "전 세계 쇼핑객이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스마트폰과 여타 상품 부족 가능성을 직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중국 중앙정부가 국영 에너지기업들에게 "석탄, 원유 등 에너지 확보에 사력을 다하라"고 지시했다는 보도도 나왔다. 에너지 공급, 공업 생산 등을 총괄하는 한정 중국 부총리가 이번 주 초 긴급 회의를 소집해 국영 기업에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석탄과 원유를 확보하고, 대규모 정전 사태는 피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석탄 등 에너지원 확보에 사활을 걸고 국영 기업들이 공격적인 입찰을 진행할 것이며 이는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 시장 파동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또한 전력난 해결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중국은 원전에 눈길을 돌릴 수 밖에 없는데 원전 건설을 무리하게 추진할 경우, 한국을 포함한 주변국까지 위협하는 안전성 문제를 초래할 수 밖에 없다.

문예성 기자 | 유자비 기자 | 박상권 기자

구독
구독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