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광장

4

[에너지, 새판짜자④]"에너지 융복합으로 농업기반 다진다"

농식품부, 4차 산업혁명 대비 스마트팜 보급사업 가속화
업계, 탈원전 이후 스마트팜 사업서 '팜그리드'로 진화

등록 2019.01.18 06:00:00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블로그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부산=뉴시스】허상천 기자 = 부산시는 20일 오후 연산동에 위치한 화신사이버대학교 부지에서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사업인 ‘스마트팜’ 제1호 개소식을 갖고 본격 운영에 돌입한다. 2018.12.20. (사진 = 부산시 제공)  photo@newsis.com

【부산=뉴시스】허상천 기자 = 부산시는 지난달 20일 오후 연산동에 위치한 화신사이버대학교 부지에서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사업인 ‘스마트팜’ 제1호 개소식을 갖고 본격 운영에 돌입했다. 2018.12.20. (사진 = 뉴시스 DB)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김경원 기자 = 제4차 산업혁명이 부각되며 스마트시티, 스마트공장과 함께 농업 분야에서는 스마트팜이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지난 2014년부터 본격 추진되던 스마트팜 보급사업이 최근 또 한 번 진화하고 있다.

스마트팜과 전력이 결합한 '팜그리드'(Farm Grid) 사업이 모락모락 두각을 나타내는 모습이다.

17일 정부와 업계 등에 따르면 스마트팜 사업에 태양광 등 발전설비 구축 등으로 융복합이 가능해져 새로운 농업기반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

스마트팜이란 농업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온실이나 축사 등에 접목해 컴퓨터나 스마트폰과 연결해 자동으로 생육환경을 제어·관리하는 것으로 범정부 차원의 혁신성장 핵심 선도과제 중 하나다.

농식품부는 2014년부터 스마트팜 보급에 본격 나섰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15년부터 스마트팜 솔루션 융합연구단을 통해 기술 개발에 투자했다. 이로써 2017년까지 시설원예 4010㏊, 축산농가 790호 등에 스마트팜이 보급됐다.

한국농산업조사연구소에 따르면 스마트팜 보급 확산으로 생산성은 약 30% 가량 증가했으며 고용노동비는 8.6% 감소한 효과가 발생해 농업 현장의 체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는 기존의 보급 중심의 정책을 개선해 청년농업인과 전후방 산업이 동반성장하기 위한 청년인력 양성 등 인프라 조성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청년들이 스마트팜에 도전·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 구축을 위해 교육, 자금, 농지 등의 진입장벽을 완화한 것이다.

이런 가운데 '탈원전' 정책의 직격탄을 맞은 경북 영덕군에서 '팜그리드'(Farm Grid)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팜그리드란 기존의 지능형 기술인 농업의 '스마트팜'과 에너지의 '스마트그리드'가 결합한 복합개념이다. 도시를 제외한 전국의 읍·면 마을을 대상을 'ICT+농업+태양광+지열+공기열'을 적용한 공융경제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취지다.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 인트로메딕이 지난해말 경북 영덕군으로부터 팜그리드 실증모델 발전사업 허가를 취득했고 영덕군 금오리 일원 2만㎡ 규모의 부지를 매입한 것이다.

【세종=뉴시스】

【세종=뉴시스】

마을 농민들과 주민이 참여해 벼 재배 농지를 투자기업에게 20년 간 임대해 팜그리드를 구축한 뒤 공유부지에서 농민과 기업은 고소득 작물과 재생에너지를 공동으로 생산한다. 생산된 전기는 주변 마을에 공급해 분산형 전력체계를 구축한다.

업계에 따르면 팜그리드 수익이 논벼 노지재배와 쌀 생산조정제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벼 농사는 1㏊ 기준으로 쌀 5.4t을 생산해 429만원의 수익이 발생한다. 쌀 생산조정제는 식용 벼 재배를 사료용 벼와 옥수수 재배로 유도하는 방식이다. 사료용 벼 수익은 121만원으로 기존 식용 벼 대비 손해 보는 차액을 정부가 2년간 한시적으로 375만원을 지원한다.

그런데 팜그리드는 1㏊ 기준 최소 3000만원 이상의 수익이 발생한다. 에너지부문은 투자기업 전담회사가, 농업부문은 농지주와 마을 청년들로 구성된 영농조합이 공동으로 운영한다. 전기농사 임대료는 정부 목표 쌀값과 연동해 기본소득을 보장하고 스마트팜과 태양광 하부에 적합한 작물을 재배해 추가 소득을 올린다.

마을이 보유한 태양광 시설과 식량·에너지 지능망에 축적된 빅데이터는 활용가치가 높다. 향후 전기차 충전인프라와 연계하거나 작물 생산과 소비의 모든 과정을 관리하는 농업 통합정보시스템(ERR)은 농산물의 신뢰와 경영의 효율성으로 이어진다.

업계 관계자는 "총 사업비는 86조원인데 민간이 전액 투자해 2028년까지 10개년 계획으로 추진한다"며 "팜그리드 운영을 위한 전문적인 직접 일자리 7만5000개와 창업 2만5000개 효과뿐 아니라 에너지 농업 전후방 연관산업 활성화와 농촌이 직면한 인구정상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