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광장

[제조업, 脫한국 가속화①]생산기지 '해외로 해외로'...점점 줄어드는 'Made In Korea'

기업 생산설비 일자리 해외이전 '오프쇼어링' 급증
美·日·獨, 되레 본국 회귀 '리쇼어링' 늘어나는 추세
기업하기 힘든 환경 지속...탈한국 가속화 요인 지목
고용 87% 담당하는 中企도 탈한국 대열 합류 '심각'

등록 2019.12.17 10:00:00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블로그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김종민 기자 = "국가가 제조 역량을 잃으면 혁신 역량까지 잃게 되고, '메이드 인 코리아'(Made In Korea)로 축적된 경험·기술 토대 없이는 새로운 혁신의 싹도 자라나기 어렵다."

청와대와 정부는 지난 6월 우리 경제의 근간이자 양질의 일자리와 혁신성장의 원천인 제조업이 강해야 지역이 발전하고, 국가경제도 성장할 수 있다고 보고 2030년 제조업 세계 4강을 목표로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 및 전략’을 발표했다.

그로부터 6개월이 지난 지금도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메이드 인 코리아'는 여전히 우리나라 기업들에겐 매력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생존을 위한 해외투자는 우리 기업들에겐 불가피한 선택이 되는 모습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제조원가 상승 등 국내의 열악한 경영환경을 피해 기업이 생산설비와 일자리를 해외로 이전하는 것을 의미하는 ‘오프쇼어링(off-shoring)'이 최근 급증하고 있다. 

미국, 일본, 독일 등 기술 선진 강국에서는 이와 반대로 해외로 나갔던 기업들이 본국으로 되돌아오는 ‘리쇼어링(re-shoring)’이 늘어나는 추세지만 우리 기업들은 정반대다. 그만큼 국내의 경영 여건이 어렵다는 얘기다.

최저임금 인상과 주 52시간 실시로 원가경쟁력이 떨어지고, 각종 규제마저 해소되지 않으면서 ‘기업하기 힘든 환경’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은 탈(脫)한국을 가속화하는 큰 요인으로 지목된다.

삼성전자는 한국에서 중국으로 또 베트남과 인도로 스마트폰 메인 생산 기지를 계속적으로 이동했다. 이마저도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물량 공세에 맞서기엔 역부족이었다. 삼성전자는 휴대폰 원가를 일정 부분 이하로 낮추는데 한계를 느꼈고, 결국 ODM(제조자개발생산) 확대에 나서게 됐다.

LG전자도 스마트폰 적자 축소 및 사업 구조 효율화를 위해 평택에 있는 스마트폰 생산기지를 베트남 하이퐁으로 옮긴다. 또 내년에는 스마트폰 생산량의 30% 이상을 ODM에 의존할 가능성도 있다. 이 같은 생산기지의 해외 이전과 ODM의 확산은 국내 부품업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자동차는 최근 동남아 첫 생산기지로 인도네시아에 2030년까지 1조8000억원을 투자해 생산공장을 세울 계획을 밝혔다. 정의선 수석부회장은 지난해부터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을 두 차례 만나 현지 공장 투자 계획 등을 긴밀히 논의했다. 조코 위도도 대통령은 정부 차원에서 필요한 지원과 협력을 아끼지 않겠다면 현대차의 투자를 독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남아뿐 아니라 미국으로의 진출도 활발하다. 올들어 LG전자는 미 테네시주에 연 120만대 생산이 가능한 세탁기 공장을 완공했고, 롯데케미칼은 미국 루이지애나에 3조6000억원을 투자해 석유화학 공장을 완공했다. SK이노베이션은 작년 말 미국 조지아주에 총 1조1396억원을 투자해 배터리 공장을 세웠다.

더욱 심각 한 것은 대기업뿐 아니라 전체 고용의 87%를 담당하고 있는 중소기업까지도 '탈한국' 대열에 합류하고 있다는 점이다. 수출입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중소기업 해외 직접투자는 100억1500만 달러(약 11조8700억원)로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10조원을 돌파했다. 올 상반기에도 중소기업의 해외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65%나 급증했다. 중소기업이 해외로 떠나면서 발생하는 일자리 감소는 소비 둔화와 경기 침체뿐 아니라 사회 양극화로 이어지는 연쇄반응을 일으킨다.

재계 단체 관계자는 "우리 기업의 해외 제조공장 이전 이면에는 이른바 반(反) 기업적 투자 환경과 미국, 중국, 베트남, 인도 등의 과감한 투자 유인책이 맞물려 있다"면서 "우리기업이 해외에 나가지 않고 국내에 투자해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세제 지원과 선진형 노사관계 구축 등 기업하기 좋은 환경이 보다 속도감 있게 조성되어야 하고, 기업도 생산성 혁신을 통한 경쟁력 제고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