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광장

[바이든시대, 韓경제기상도②] 친환경 기조에 배터리 분야 '쾌청'

등록 2020.11.11 00:00:00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블로그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윌밍턴=AP/뉴시스]조 바이든 미 대통령 당선인이 9일(현지시간) 델라웨어주 윌밍턴의 더 퀸 극장에서 연설하고 있다. 바이든 당선인은 코로나19에 대처하기 위한 공중보건 전문가와 과학자 등 13명으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를 발표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누구에게 투표했든 마스크를 써 달라"라고 강조했다. 2020.11.10.

[윌밍턴=AP/뉴시스]조 바이든 미 대통령 당선인이 9일(현지시간) 델라웨어주 윌밍턴의 더 퀸 극장에서 연설하고 있다. 바이든 당선인은 코로나19에 대처하기 위한 공중보건 전문가와 과학자 등 13명으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를 발표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누구에게 투표했든 마스크를 써 달라"라고 강조했다. 2020.11.10.

[서울=뉴시스] 조인우 기자 =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당선되면서 국내 배터리 업계에는 더욱 훈풍이 불 전망이다. 바이든 당선인은 선거 과정에서부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가장 큰 견해 차이로 '친환경'을 강조했다.

10일 외신 등에 따르면 바이든 당선인은 청정에너지 및 기후변화 대응 인프라 구축에 향후 4년 간 2조달러(약 2400조원)를 투입할 계획이다. 오는 2050년까지 탄소배출 '넷제로(net-zero)'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아울러 전기차 충전소 50만개 건설, 건축물 냉난방고 효율화 등 친환경 에너지 R&D에 4년 간 4000억달러(약 447조원) 지원, 트럼프 대통령이 기후변화는 '사기'라고 주장하며 탈퇴한 파리기후협약 재가입 등을 주요 정책으로 약속했다.

바이든 행정부가 이끄는 미국에서는 배터리, 태양광, 전기차 등 친환경 관련 품목의 수요가 확대될 전망이다. 한국무역협회 등은 친환경/재생에너지 부문을 수출확대가 기대되는 유망 분야로 뽑았다.

특히 미국의 친환경차 확대 정책은 미국 내 일자리 확보 정책과 맞물려 돌아간다. 바이든 행정부는 전기차용 배터리 기술 발전을 지원, 미국산 배터리 생산을 촉진하는 한편 정부 조달에 미국산 제품 우선 구매 정책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미국에 공장이 있는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에 주목된다. 현지 생산을 바탕으로 바이든 행정부의 일자리 정책과도 맥을 같이 하기 때문이다.

LG화학은 가동 중인 미시간주(州) 홀랜드 공장에 이어 미국 제네럴모터스(GM)와 합작기업을 세워 오하이오주에 배터리 공장을 세우고 있다. 30GWh 생산능력을 목표로 오는 2022년 완공된다. LG화학은 이들 지역에 적극적인 투자로 러스트벨트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SK이노베이션 역시 조지아주에 1·2공장을 동시에 건립 중이다. 1공장은 오는 2022년 1분기부터 가동, 2공장도 2023년부터 배터리 양산이 목표다. 이들 2개 공장으로 SK이노베이션은 21.5GWh의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조지아주에 창출되는 일자리는 2600개에 달할 전망이다.

다만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서 오는 12월10일(현지시간)로 예정한 양사의 배터리 특허 관련 소송 최종 판결이 변수다. 예비판결대로 SK이노베이션이 패소하면 SK이노베이션의 미국 내 사업은 전면 중단된다. 이런 경우 행정부의 비토(veto·거부권) 행사 여부에 관심이 집중된다.

업계에서는 바이든 당선인이 친환경과 일자리를 동시에 강조한 만큼 SK이노베이션의 미국 사업을 문 닫게 하는 결과로는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로펌 케이앤엘게이츠 스테이시 에팅어 변호사는 한국무역협회와의 화상 간담회에서 "바이든 경제정책의 주축은 공급망의 재건과 친환경 에너지 산업에 대한 투자"라며 "미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무역·투자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라고 봤다.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는 "바이든의 기후변화 관련 공약이 실행되면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전기차, 수소차 등 그린 산업 전반의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며 "미국 내 생산이 원칙이며, 중국의 그린산업 관련 업체들은 미국 시장에서 배제될 가능성 높으므로 한국 기업들의 수혜 폭이 클 수 있다"고 내다봤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