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反교육적 정시 확대 취소" 진보성향 高 교사·학부모 시국선언

등록 2019.11.06 11: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교사 1794명 수능 자격고사화·교육불평등 해소 요구

학부모단체도 "수능 위주 대입, 비교육적 족쇄" 호소

【울산=뉴시스】 박수지 기자 = 교육공공성실현을 위한 울산교육연대가 30일 오전 시교육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교육 정상화에 역행하는 정시확대를 반대한다"고 목소리 높이고 있다.2019.10.30. parksj@newsis.com

【울산=뉴시스】 박수지 기자 = 교육공공성실현을 위한 울산교육연대가 30일 오전 시교육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교육 정상화에 역행하는 정시확대를 반대한다"고 목소리 높이고 있다.2019.10.30.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이연희 기자 = 이달 말 정시 확대를 골자로 한 정부의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방안 발표를 앞두고 고등학교 교사 1794명이 정시 확대 철회 및 고교·대학서열화 해소를 요구하는 시국선언에 나섰다. 진보성향 학부모단체 4곳도 정시 확대 저지에 동참한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을 중심으로 한 교사 1794명은 6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 불평등 해소와 입시 만능 경쟁교육 철폐를 위한 고등학교 교사 선언'을 발표했다.

시국선언 고교 교사들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문재인 정부는 대학 서열화와 고교서열화 해소를 통해 불평등교육과 교육격차 해소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함에도 도리어 수능 정시확대를 주장하고 있다"며 "수능 정시확대가 의미하는 바는 역사의 수레바퀴를 10년 전으로 퇴행하는 동시에 교실붕괴를 충분히 예견할 수 있는, 반교육적이며 공교육 포기선언"이라고 비판했다.

교사들은 "오늘 현실이 미래 교육의 씨앗을 모조리 불살라버리는 우매한 결정이기에 두 손을 놓고 앉아 있을 수만은 없었다"면서 "교육은 국가 100년을 설계하는 중차대한 영역이기에 신중하고 또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육격차 해소와 불평등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교육 정상화를 촉구했다. 그 방안으로는 ▲국공립대학네트워크 공동학위제 ▲경쟁 만능 입시제도 폐지 ▲수능 자격고사화 ▲외국어고·자사고 등 고교서열화 해소 ▲정상적인 고교교육과정 운영 등을 꼽았다.

교사들은 또한 "학교는 학생들이 행복을 배우고 실천할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며 "교육개혁이 사회개혁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는 경쟁교육 철폐, 교육 불평등 해소, 노동존중 사회구현을 통한 학력 간 임금 격차 해소 등을 위한 노력이 전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교조 정현진 대변인은 "이번 시국선언은 전교조 소속이 아니더라도 취지에 동의하는 교사들이 일주일간 서명에 나선 것"이라며 "추후 문재인 정부의 대입개편 정책 행보에 따라 추가 서명을 진행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날 오후 2시에 같은 자리에서 진보 성향 학부모단체의 정시확대 취소 및 교육 불평등 해결 촉구 선언이 예정돼 있다.

어린이책시민연대와 전국혁신학교학부모네트워크, 참교육학부모회, 평등교육학부모회는 문재인 대통령에게 정시 확대 취소와 내신·수능 절대평가제 도입, 학벌에 따른 노동차별이 없는 사회를 만들어달라고 호소한다.

이들 학부모 단체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대통령의 정시확대 발언으로 학부모는 혼란스럽고 벌써부터 강남집값이 들썩인다는 보도가 나온다. 학원을 더 보내야하나 고민이 깊어지는 나날"이라며 "이것이 교육적이지 않다는 것을 잘 알면서 아이들을 다시 더 깊은 경쟁으로 내몰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수능 같은 전국 단위 줄 세우는 시험이 우리 아이들을 짓누르는 족쇄라는 것을 잘 알고 있으며 정시 확대는 학교교육을 다시 EBS 교재풀기로 되돌릴 것"이라며 "겨우 토론 중심·삶의 기술을 배우는 교육이 학교 교육과정에 안착되도록 노력하는 중인데 그 간의 성과를 후퇴시키는 정시 확대라니 기가 막힌다"고 비판했다.

문재인 정부에는 "퇴행적이고 졸속적인 입시안을 강행하기 보다교사와 학부모·학생들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며 시민과 교육관계자 등 이해 당사자들과 머리를 맞대고 해결책을 다시 강구할 것을 촉구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