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北 '중대 시험 성공' 발표…트럼프, 文대통령과 사전 공유했나

등록 2019.12.08 12:06:5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한미 정상 전날 통화…"최근 한반도 상황 엄중"

"비핵화 협상 조기 성과 위해 대화 모멘텀 유지"

동창리 발사장 엔진 시험 등 움직임 공유한 듯

靑 "北 발표 정밀 분석 중…NSC 개최 여부 미정"

[서울=뉴시스]문재인 대통령이 7일 청와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진전시켜 나가기 위한 방안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과 심도 깊은 대화를 나눴다. (사진=청와대 제공) 2019.12.07.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문재인 대통령이 7일 청와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진전시켜 나가기 위한 방안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과 심도 깊은 대화를 나눴다. (사진=청와대 제공) 2019.12.0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홍지은 기자 = 지난 7일 서해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에서 북한이 중대한 시험에 성공했다고 밝히면서 전날 이뤄진 한미 정상 통화 내용에 시선이 쏠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이 중대한 시험을 실시한 날 문재인 대통령에게 먼저 정상 간 통화를 요청했다는 점과, 양측이 "최근 한반도 상황이 엄중하다는 데 인식을 공유했다"라는 점은 사전에 양 정상이 북한의 이 같은 움직임을 공유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8일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정상 간 통화 내용은 밝힐 수 없다"면서도 "통화 내용에 대해 지금 단계에서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 없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전날 트럼프 대통령과 오전 11시부터 30분 동안 정상 통화를 진행했다. 외교 관례에 따르면, 보통 청와대는 정상 통화에서 누가 먼저 통화를 요청했는지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이번엔 이례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먼저 통화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두 정상은 "최근 한반도 상황이 엄중하다는 데 인식을 공유하고,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의 조기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대화 모멘텀이 계속 유지돼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고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전했다. 또 당분간 한미 정상 간 협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필요할 때마다 언제든지 통화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한반도 상황이 엄중하다는 한미 정상의 공통 인식은 최근 북한이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에 있는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새로운 움직임 포착된 것과 연관된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 CNN은 지난 5일(현지시각) "북한 서해 위성발사장에서 전에 없던 움직임이 보인다"며 "북한이 인공위성이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쏘아 올리기 위한 엔진 연소 실험을 재개하는 것일 수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실제 조선중앙통신은 8일 오전 "2019년 12월7일 오후 서해위성발사장에서는 대단히 중대한 시험이 진행됐다"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과학원은 중대한 의의를 가지는 이번 시험의 성공적 결과를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에 보고했다"고 전했다.

북한이 서해 위성 발사장이라고 부르는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은 평안북도 철산군에 위치한  곳으로, 북한 ICBM 연구개발의 요람이자, 엔진을 개발하는 곳이다. 북한은 이곳에서 여러 차례 ICBM 발사체 시험을 진행했다.

통신은 "이번에 진행한 중대한 시험의 결과는 머지않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략적 지위를 또 한번 변화시키는 데서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조선중앙TV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3일 함경북도 경성군 중평남새온실농장과 양묘장 조업식에 참석했다고 4일 보도했다. (사진=조선중앙TV 캡처) 2019.12.04.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조선중앙TV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3일 함경북도 경성군 중평남새온실농장과 양묘장 조업식에 참석했다고 4일 보도했다. (사진=조선중앙TV 캡처) 2019.12.04. [email protected]

아직까지는 북한의 발사체 발사가 탐지되지 않은 상황에서, 일각에서는 ICBM 엔진 시험 등을 진행했을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북한은 최근 미사일 추진체를 액체연료에서 고체연료로 전환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만일, ICBM용 고체연료 엔진시험으로 밝혀진다면 이는 ICBM 실험 재개 의지를 분명하게 피력하는 강력한 대미 압박 메시지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따라 미국 측도 이를 사전에 인지하고 문 대통령에게 한반도 상황의 엄중함을 알린 것 아니겠느냐는 분석이 나온다.

'새로운 길'을 언급해 온 북한이 ICBM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것은 다시 2017년 이전 상황으로의 회귀를 암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이러한 움직임을 멈추기 위한 한미 간의 실질적 방안을 논의했을 것으로 전망된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왜 북한이 이런 내용을 발표했는지 정밀 분석하고 있다"며 "NSC(국가안전보장회의)가 열릴지 여부는 미정 상태"라고 전했다.

다만 정상 간 통화에서 이런 북한의 동향에 대해 세부적인 단계까지 논의했겠느냐는 시각도 있다. 답보 상태에 놓인 북미 실무협상을 움직이기 위한 아이디어들이 오고 갔을 것이란 추정이다.

여권 관계자는 "조바심을 보이고 있는 미국이 한국 대통령에게 아이디어들을 묻지 않았겠느냐"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