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공직자 재산공개]경남 1위, 111억원 고정이 거제시의원

등록 2020.03.26 00: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최하위, -5억9800만원 신고 최동석 김해시의원

김경수 지사 7억7600만원, 박종훈 교육감 4억원

[창원=뉴시스] 고정이(왼쪽) 거제시의원과 최동석 김해시의원.

[창원=뉴시스] 고정이(왼쪽) 거제시의원과 최동석 김해시의원.

[창원=뉴시스] 홍정명 기자 = 경남의 재산공개 대상 고위공직자 중 1위 재산가는 고정이 거제시의원으로, 지난해보다 15억5400만 원이 감소한 111억5600만 원을 신고했다.

또 도내 최하위 재산가는 최동석 김해시의원으로 -5억9800만 원을 신고했다. 최 의원은 지난해 -9억3200만 원을 신고했는데, 1년 사이에 3억3400만 원을 갚은 셈이다.

정부 및 경상남도 공직자윤리위원회는 26일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2019년 말 기준 재산공개 대상인 도내 고위공직자들의 재산변동사항 신고 내역을 대한민국 관보와 경남도 공보를 통해 공개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재산공개 대상자는 도지사, 부지사, 도립대학 총장, 도의원 등 63명이고, 경남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대상자는 공직유관단체장, 시·군의회 의원 등 265명이다.

정부공윤위 공개 대상 63명의 평균 신고재산은 약 8억1211만 원이었으며, 1억~5억 원의 재산 보유자가 21명(33.3%)으로 가장 많았다. 또 40명(63.5%)은 재산이 증가했으나, 23명(36.5%)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공윤위가 공개한 265명의 신고재산 평균은 약 7억2366만 원으로, 1억~5억 원이 34.7%인 92명으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 중 147명(55.5%)은 재산이 증가했고, 118명(44.5%)은 감소했다.

김경수 경남도지사는 지난해보다 1억5000만 원이 증가한 7억7600만 원을 신고했다.

박종훈 경남도교육감은 전년보다 3억4400만 원이 증가한 4억100만 원을 신고했다. 급증 사유는 배우자 퇴직금 및 명예퇴직 수당이라고 밝혔다.

박성호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1900만 원이 감소한 6억4700만 원을, 문승욱 경제부지사는 2억6500만 원이 증가한 19억700만 원을 등록했다.

김지수 경남도의회 의장은 86만원이 감소한 2억6900만 원을, 이남두 경남개발공사 사장은 50억7400만 원, 안완기 경남테크노파크 원장은 36억3800만 원, 정창선 전 경남로봇랜드 원장은 6억6500만 원, 윤치원 경남문화예술진흥원장은 1200만 원을 각각 신고했다.

[창원=뉴시스] 김경수(왼쪽) 경남도지사와 박종훈 경남도교육감.

[창원=뉴시스] 김경수(왼쪽) 경남도지사와 박종훈 경남도교육감.

시·군의회 의장·부의장 중 1위 재산가는 30억8600만 원을 등록한 이정화 김해시의회 부의장, 최하위 재산가는 -17억2000만 원을 신고한 정금효 함안군의회 부의장으로 나타났다.

도의원 가운데 재산 1위는 56억5900만원을 신고한 윤성미 도의원이 차지했고, 최하위는 류경완 도의원으로 -1억8500만 원을 신고했다.

시·군의원 중 재산 1위는 111억5600만 원의 고정이 거제시의원, 최하위는 -5억9800만 원을 신고한 최동석 김해시의원이다.

이번 재산공개 내역은 정부공윤위 공개 대상자는 대한민국 전자관보에서, 경남도공윤위 공개 대상자는 도청 홈페이지의 경남 공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재산변동 신고 사항에 대한 심사를 오는 6월 말까지 마무리할 예정이다.

재산심사 결과 ▲등록대상 재산 허위기재 ▲중대한 과실로 누락 또는 잘못 기재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이용해 재물 또는 재산상 이익을 취득한 경우,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경고 및 시정조치, 과태료 부과, 해임·징계 의결 요청 등 조치를 취할 방침이다.

특히, 직무와 관련해 부정한 재산증식 혐의가 있거나, 다른 법의 위반사실 등이 있는지 여부도 적극 심사해 해당 사실이 발견될 경우 관계기관에 통보할 계획이다.

경남공윤위 관계자는 "공직사회 구현과 청렴한 공직문화 정착을 위해 재산등록 및 심사 제도를 지속해서 엄정하게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