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유엔, 코로나19 팬데믹 111일만에야 정전 촉구 결의안 채택

등록 2020.07.02 09:22:2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美中간 대치에 정전 촉구 결의안 채택 지연

美, 中 겨냥해 코로나19 투명성 강조 주장

中, '美 탈퇴 선언한' WHO 지지 확진 촉구

[라호르=AP/뉴시스]지난 2월 18일 파키스탄 펀자브주 주도 라호르에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AP통신과 인터뷰를 가지고 있다. 2020.07.02

[라호르=AP/뉴시스]지난 2월 18일 파키스탄 펀자브주 주도 라호르에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AP통신과 인터뷰를 가지고 있다. 2020.07.02


[서울=뉴시스] 이재우 기자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1일(현지시간) 전 세계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모든 적대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 2532호를 이사국 15개국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이는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지난 3월23일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전 세계에 즉각적인 적대 행위 중단을 촉구한지 대략 4달만이다. 아울러 세계보건기구(WHO)가 세계적인 유행병(global pandemic)으로 선포한지 111일만이다.

1일 유엔뉴스와 AP통신,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프랑스와 튀니지가 초안을 작성한 이 결의안은 모든 무력 분쟁 당사자들에게 인도주의적 지원과 의무 후송이 안전하고 방해를 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최소한 90일간 '영속적이고 인도주의적인 정전(urable humanitarian pause)'을 촉구하고 있다.

다만 유엔 안보리가 테러단체로 지정한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와 알카에다, 알 누스라 전선 등을 대상으로 진행 중인 군사 작전에는 정전 촉구 결의가 적용되지 않는다.

결의안은 분쟁지역 또는 인도주의 위기지역에 파견된 13개 유엔 평화유지임무단에 해당 지역의 코로나19 대응을 지원할 것도 요청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자신의 정전 호소를 수용한 안보리 결정에 환영의 뜻을 밝혔다.

그는 이날 언론에 공개한 서한에서 "이번 결의안 채택은 분쟁 당사자들에게 중요한 신호가 될 것"이라면서 "구체적인 정전과 항구적인 평화를 이루기 위한 노력이 진전될 수 있도록 모든 이해 당사자들이 협력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유엔 안보리는 WHO 또는 코로나19 관련 투명성에 대해서는 직접 언급하지 않다. WHO 지침을 준수하는 등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국제 협력을 강화할 것을 촉구한다는 지난 4월2일 유엔 총회 결의안을 언급하는 선에서 그쳤다.

미국과 중국은 결의안에 각각 코로나19 투명성 확보와 WHO 지지 확인 등 언급이 포함돼야 한다고 맞서왔다. 미국과 중국의 갈등으로 결의안 채택이 지연됐다.

미국은 결의안에 코로나19 관련 투명성을 재고해야 한다는 언급을 넣을 것을 요구했다. 코로나19 정보를 은폐했다는 의혹을 받는 중국을 겨냥한 조치다.

반면 중국은 WHO에 대한 지지를 확인하는 언급을 결의안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은 지난 4월 친(親)중국 성향을 이유로 WHO 탈퇴를 선언한 상태다.

AP통신은 지난 5월 유엔 안보리 이사국들이 WHO를 직접 언급하지 않는 프랑스-튀니지 중재안에 합의했다고 생각했지만 미국이 입장을 바꿔 반대했다고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설명했다.

장쥔(張軍) 유엔 주재 중국 대사는 1일 기자회견을 열어 "중국과 거의 모든 안보리 이사국들은 유엔 사무총장의 정전 요청에 신속하기 대응하길 원했지만 미국이 이를 정치화했다"며 "안보리가 만장일치로 결의안을 채택한 것은 다자주의의 승리"라고 환영했다.

초안을 작성한 프랑스와 튀니지는 공동 성명을 내어 코로나19 대유행 대응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WHO 등 유엔 산하 기구에 경의를 표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한편, WHO는 지난달 30일 기준 전 서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1018만5374명, 누적 사망자는 50만3862명이라고 발표했다. 코로나19 피해가 가장 큰 곳은 미국으로 누적 확진자 513만6705건, 누적 사망자 24만7129명을 기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