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수도권 외곽도 미분양 급감…'양주·안성·가평' 80% 증발

등록 2021.02.13 05: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탈서울'에 새 아파트 선호 몰리며 미분양 급감

1년 새 양주 335→42가구…가평 191→12가구

안성·화성·평택 등도 미분양 빠른 속도로 소진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강세훈 기자 = 서울의 높은 집값에 따른 '탈서울' 흐름과 새 아파트 선호 현상이 맞물리며 수도권 미분양 주택이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들어서는 양주, 안성, 평택, 화성, 가평 등 수도권 외곽 지역의 미분양 주택도 1년 사이 80% 가량 줄어드는 등 빠른 속도로 자취를 감추고 있다.

13일 국토교통부 누리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수도권의 미분양 주택은 2131가구로 2019년 12월 6202가구 대비 65.6% 감소했다.

지난해 연초부터 빠르게 소진된 미분양 물량은 하반기 들어 잠시 주춤하다 9월을 기점으로 다시 감소세로 돌아서며 연말에는 2100가구 선까지 줄어들었다. 

서울 미분양 주택도 같은 기간 151가구에서 49가구로 67.5% 감소했고, 경기도도 5085가구에서 1616가구로 68.2% 줄었다.

미분양 주택은 분양시장과 주택시장의 분위기를 가늠하는 척도로, 미분양 소진은 주택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정부의 강도 높은 규제 정책에도 계속해서 치솟는 아파트값에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미분양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수도권 외곽까지 미분양 소진이 빠르게 나타나고 있어 활발한 매수심리를 보여준다. 서울 아파트값이 치솟고 청약시장 경쟁이 점점 뜨거워지자 대안으로 수도권 외곽 미분양 주택 구매에 나서는 수요자들이 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경기도의 미분양 주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양주, 안성, 평택, 화성, 가평 내 미분양 물량이 1년 새 68~9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양주 미분양 주택은 2019년 말 335가구에 달했지만 작년 말에는 42가구로 87.4% 감소했고, 가평 미분양 주택도 같은 기간 191가구에서 12가구로 93.7%나 줄었다.

안성 72.3%(967→267가구), 평택 68.5%(927→292가구), 화성 78.8%(500→106가구), 의정부 81.1%(345→65가구) 등도 미분양 주택이 빠르게 소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분양업계 관계자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매수심리가 확산하면서 미분양 주택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분양가 상한제, 재건축 분양 연기 등 각종 부동산 정책의 여파로 수도권 주택공급 감소가 예상되면서 신규분양 단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한국주택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수도권 민간아파트의 평균 초기분양률은 99%로 전년 동기 대비 4.7%포인트 상승했다. 그 중에서도 서울과 경기는 100%, 인천은 97.6%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경기도 양평군 일원에서 분양한 '양평 다문지구 반도유보라 아이비파크'는 계약 5일만에 전 가구 계약을 완료해 눈길을 끌었다. 양평에서 분양한 아파트가 이처럼 단기간에 완판된 것은 이례적이다. 

또 지난해 8월 경기도 의정부시 일원에서 분양한 '힐스테이트 의정부역'도 3일간의 정당계약기간과 예비당첨자 계약 기간 동안 전 가구가 계약을 완료했다.

분양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서울을 중심으로 수요자들이 몰렸다면 최근에는 수도권 외곽으로도 수요가 움직이면서 수도권 전 지역 아파트 거래가 활발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수도권 외곽 분양시장에도 훈풍이 부는 가운데 이들 지역에서 새 아파트 공급도 활발해지고 있다.

현대건설은 지난 9일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고림동 일원에 공급하는 '힐스테이트 용인 둔전역'의 본격적인 분양에 나섰으며 GS건설은 다음달 경기도 화성시 봉담 동화지구 일원에서 '봉담자이 라피네'를 분양할 예정이다.

DL이앤씨(옛 대림산업)가 시공을 맡은 'e편한세상 가평 퍼스트원'도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대곡리 일원에서 분양 중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