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카카오 김범수 "빌 게이츠가 모델…기부금 묵히지 않고 팍팍 쓰겠다"

등록 2021.02.25 19:38:11수정 2021.02.25 20:12:1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25일 직원 간담회 '브라이언톡 애프터'에 자리한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 (사진=카카오 제공) 2021.02.25

▲25일 직원 간담회 '브라이언톡 애프터'에 자리한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 (사진=카카오 제공) 2021.02.25

[서울=뉴시스] 이진영 기자 = '5조원 기부'를 결정한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 이사회 의장이 25일 롤모델로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를 꼽았다. 또 기부금을 디지털 격차 해결, 미래를 준비하는 사람들과 인공지능(AI) 인재 등에 투자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또 기부금을 묵히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곳에 통 크게 바로 쓸 것이라고 예고했다.

김 의장은 이날 오후 2시부터 온라인으로 개최한 '브라이언톡 애프터' 행사에서 자신의 기부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고 사내 아이디어를 수렴했다. 이를 카카오 공동체 임직원 5600여명이 경청하고 의견을 공유했다.

앞서 김 의장은 지난 8일 살아가는 동안 재산의 절반을 기부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그는 주식 자산만 10조원이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빌 게이츠를 자신의 기부 롤모델로 지목했다. 빌 게이츠는 MS를 설립해 컴퓨터 운영체제로 세계 최고의 부자가 된 후 아내와 함께 '빌 앤드 멀린다 게이츠 재단'을 운영하며 기부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김 의장은 "사회문제 해결·거버넌스 롤모델은 빌 게이츠다"며 "빌 게이츠는 창업을 하고 '빌 게이츠 재단'을 만들었다. 기업이 저렇게 할 수도 있구나 라는 생각을 처음하게 됐고, 벤치마킹하게 됐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기부서약', '창조적 자본주의'라는 화두도 던졌다.

김 의장은 "최근에 기부 서약도 빌 게이츠 재단에서 만든 것인데, 미국 사회에서 IT 기업인들은 그 서약을 하는 게 문화처럼 퍼졌다"며 "대한민국도 퍼질 수 있는 환경, 거기까지 가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했다. 빌 게이츠가 역설한 '창조적 자본주의'도 우리도 적용해서 풀 수 있는 문제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라고 언급했다.

국내서 역대급 규모의 기부를 결심한 그가 빌 게이츠와 같은 기부 리더십을 발휘해 한국의 소극적인 기부 문화에 파란을 일으킬지 주목된다.

향후 AI 캠퍼스 설립 등 중점 기부 분야에 대한 아이디어도 공유했다.
▲김범수 카카오 의장

▲김범수 카카오 의장

김 의장은 "미래를 준비하는 사람들, 디지털 교육 격차 등으로 기회를 얻지 못한 사람들, 인공지능(AI) 인재들에 관심이 있다"며 "엔지니어, AI 인재 양성을 하이브리드로 할 필요가 있다. 인재 양성을 위한 AI 캠퍼스도 고민 중이다.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으로도 참여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려고 한다"라고 알렸다.

젊은이들이 스타트업에서 활발히 도전할 수 있도록 구조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김 의장은 "스타트업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을 거 같다"며 "지원하는 구조는 계속 나와야한다"라고 진단했다. 이어 "언젠가는 카카오내에서 또는 카카오의 자녀들이 스타트업에서 빨리 경영할 수 있는 구조도 나오면 좋을 거 같다"며 "스타트업이 진로의 옵션이 됐으면 좋겠다. 좋은 대학 나와 좋은 직장 가는 것의 비중이 제일 큰데 그러지 않고 다양하게 만들어지는 구조가 됐으면 한다"라고 제시했다.

김 의장은 기부가 속도감 있게 이뤄질 것을 예고했다.

그는 "기부금을 묵혀두는 개념이 아니라 필요한 곳에 바로 써나가고 싶다"며 "1년이면 1년, 단위를 정해 몇천 억원 수준을 쓰는 구조로 가고 싶다. 대규모 자본을 투입해 몇 가지 사회 문제라도 풀 수 있으면 좋겠다"라고 강조했다.

향후 기부금 활용은 프로젝트 방식을 염두에 뒀다.

김 의장은 "카카오도 기술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는 시도를 활발히 해왔지만 기업이라는 특성상 수익성을 고려해야 해 한계가 있었다. 재산 기부는 카카오가 접근하기 어려운 걸 개인적으로 풀어가보고 싶었던 것"이라며 "제가 추구하는 방식은 프로젝트이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순위를 만들고, 전략적으로 뭘 만들고, 이런 것이 아니라 이게 문제같은데? 싶으면 그냥 해보시죠, 이거 해보시죠, 하는 식으로 풀어 보고 싶다"라고 밝혔다.
▲김범수 카카오 의장 (사진=카카오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채널 '카카오 나우' 캡처)

▲김범수 카카오 의장 (사진=카카오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채널 '카카오 나우' 캡처)

그의 카카오 임직원들이 기부금을 통한 변화를 이끌 주체로 나서줄 것을 주문했다.

김 의장은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는 게 카카오에겐 익숙하다"며 "비즈니스모델에 대한 고민도 덜해서 훨씬 재미있는 게 많이 나올 것 같다. 별 검증없이 자유롭게 여러 시도를 할 수 있는 구조가 나왔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100명의 CEO들의 역할처럼 100개의 프로젝트가 생겼으면 좋겠다. 기본적으로 여기있는 크루들은 변화의 주체자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최근 불거진 직장내 괴롭힘에 대해서는 사내문화에 경고등이 켜진 것이라 파악하고 배려를 주문했다.

앞서 지난 17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올라온 카카오 직원 추정 이용자의 유서 형식의 글을 계기로, 직장 내 괴롭힘, 인사평가제, 보상 관련 문제 등에 대한 불만이 제기된 바 있다.

김 의장은 "직장 내 누군가에게 해를 끼치거나 해를 끼치는 의도는 없었지만 누군가에게 상처를 주거나 하는 것은 정말 조심해야한다. 이는 서로 간의 약속이고 배려다"면서 "카카오 내에선 절대로 누군가를 무시하거나 괴롭히는 행위는 절대로 없어야 한다"라고 역설했다.

또한 "이번 이슈는 사내 문화에 경고등이 켜진 것이라 생각한다"라며 "실수했을 때 어떻게 반응하고 사과하느냐에서 회사 문화가 드러난다. 카카오 공동체가 건강한 조직이 됐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카카오는 다음달 2일 인사평가제도 등 임직원들이 느끼는 문제를 공유하고 개선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오픈톡을 추진할 예정이다. 오픈톡은 카카오 전 직원이 참여해서 자유롭게 의견주고 받는 내부 행사 명칭이다. 리더 중 누가 참석할지는 정해지지 않았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