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휴대폰 지고 반도체 떴다…의존도 10년새 8.9%P↑(종합)

등록 2021.04.22 15:34:3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반도체산업, 연구개발 통한 경쟁력 제고로 확대

휴대폰·디스플레이 중국 경쟁 심화로 축소

배터리 시장점유율, 34.7%…1년 만에 18.7%P↑

[서울=뉴시스]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반도체 클린룸 내부 모습.

[서울=뉴시스]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반도체 클린룸 내부 모습.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우리나라 수출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10년 전과 비교해 크게 늘어난 반면 휴대폰·디스플레이산업, 조선 등은 큰 폭으로 축소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앞으로 안정적인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외에 배터리, 바이오 등 신기술·신산업을 적극 융성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2일 한국은행의 BOK 이슈노트에 실린 '산업의존도 요인분해를 통한 우리경제의 IT산업 의존도 평가'에 따르면 우리나라 수출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17.9%로 10년 전인 2009년과 비교해 8.9%P 늘었다. 반면 휴대폰과 디스플레이 비중은 각 3.4%, 5.6%로 같은 기간 각각 4.8%P, 5.8%P씩 감소했다.

이에 따라 전체 수출에서 IT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9년 18.6%에서 2019년 26.9%로 8.3%P 늘어나 IT산업 의존도가 더 높아졌다. 

비IT산업 가운데는 자동차 수출 비중이 12.2%로 10년 전과 비교해 1.0%P 늘고, 석유화학(11.3%) 1.2%P, 기계(11.5%) 2.9%P 각 늘어난 반면 철강과 조선은 수출 비중이 8.1%, 3.9%로 각 0.1%P, 8%P 축소됐다.

반도체 산업의 연평균 수출 증가율도 3.9%에서 11.6%로 7.7%포인트 늘었다. 반면 휴대폰·디스플레이는 같은 기간 각각 21.7%, 24.6%에서 -4.7%, 3.1%로 큰 폭으로 감소했다.

박재현 한은 조사국 동향분석팀 과장은 "반도체산업 수출비중은 2000년대 반도체의 글로벌 교역비중이 하락하면서 축소됐으나 2010년대 들어서는 반도체 교역이 회복되고 지속적인 설비투자 및 연구개발을 통해 경쟁력도 제고되면서 크게 확대됐다"며 "휴대폰·디스플레이 수출비중은 2010년대 들어 중국과의 경쟁이 심화되고 해외생산도 확대되면서 크게 축소 됐다"고 설명했다.

자동차 수출비중은 2010년대 들어 자동차의 글로벌 교역내 비중(4.3%→5.3%)은 확대됐지만 주요국 시장점유율 하락, 해외생산 증가 등으로 11.3%에서 5%로 상승폭이 축소됐다. 석유화학 수출비중은 경쟁력 우위에도 불구하고 2010년 이후 석유화학제품의 글로벌교역이 축소되면서 11.3%에서 5%로 증가세가 둔화됐다. 조선 수출비중은 2000년대 업계 호황으로 19%에 달했으나 2010년대 들어 글로벌교역이 감소하고 경쟁력도 약화되면서 -6.9%로 크게 축소됐다.

한은은 2010년 이후 반도체 부문 의존도(수출비중 기준) 상승은 우리기업들이 높은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교역구조 변화에 성공적으로 대응한 결과로 평가했다.

반도체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자동차·석유화학·기계 등 주요 비IT 산업과 배터리·의약품 등 신성장 산업의 수출내 비중도 확대됐다.

특히, 배터리의 경우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에 따른 기술력 향상으로 우리기업의 시장점유율(매출액 기준)이 2019년 2019년 16%에서 2020년 34.7%로 불과 1년 만에 18.7%P나 증가했다.

박 과장은 "이러한 산업구조는 코로나19 이후 경기회복 과정에서 글로벌 팬데믹 특성과 맞물려 우리 경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향후 빅블러(Big Blur:산업간 경계가 모호해지는 현상)로 상징되는 뉴노멀 하에서 보다 안정적인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신기술·신산업을 육성하고 산업간 융복합을 극대화해 부문간 균형성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는 4차 산업의 쌀이라 불리는 반도체 강국이며 이차전지, 바이오, 5G 등 신기술·신산업 비중도 늘려가고 있어 향후 글로벌 산업구조 변화 측면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며 "이러한 여건을 활용해 플랫폼(제조업+서비스업), 전기차, 전기·수소 추진 선박, 자율주행차 등 산업간 융복합을 통해 새롭게 창출되는 시장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