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당 100주년 중국공산당 탄생과 발전 변화의 궤적
상하이에서 출범…초기 소련공산당 영향 받으면서 세력 확장
국민당과의 싸움에서 밀리다가 마오쩌둥이 상황 역전시켜
덩샤오핑 '특색 있는 사회주의' 내걸며 개혁개방 추진
시 주석 "사회주의 현대화 강국" 목표 제시…1인 체제 구축
【베이징=신화/뉴시스】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24일 19차 당대회 폐막식이 열리고 있다. 2017.10.24
[서울=뉴시스]이재준 기자 = 중국공산당이 1일로 창당 100주년을 맞았다.
사실상 일당독재 지도체제 하에서 중국은 지금 세계 2위 경제대국으로 당당히 섰다.
당원 9515만명을 가진 중국공산당이 어떻게 시작하고 발전했으며 또한 어떻게 변화했는지 짚어본다.
중국 공산당 상하이에서 출발
구미 열강과 일본이 중국을 반식민지화하는 와중에 청조 붕괴 후 각지에는 군벌이 할거했다. 쑨원(孫文)이 이끄는 국민당이 군벌 타도에 나선 때다.
1921~1935년까지 중국공산당은 소련공산당의 영향을 받으면서 세력을 확장했다.
그러다가 국민당과 싸움에서 패배를 거듭한 끝에 중국의 현실에 맞춰 농촌을 중시하는 마오쩌둥(毛澤東)이 실권을 장악하면서 상황을 역전시켰다.
마오쩌둥 국민당 토벌 이겨내고 중공 수립 성공
공산정권 수립 후 군을 장악한 마오쩌둥은 강고한 독재체제를 구축했으나 경제정책에는 실패했다.
급속한 증산정책 '대약진(大躍進)'이 좌절하면서 수천만 명이 굶어죽는 참사를 빚었다.
공산주의화를 서두르는 마오쩌둥과 현실에 부응하는 경제효율을 중시하는 류사오치(劉少奇)와 덩샤오핑(鄧小平) 등이 노선투쟁에 들어가면서 '10년 대란' 문화대혁명으로 이어졌다.
엄청난 정치적, 경제적, 정서적 피폐를 남긴 문화대혁명은 1976년 마오쩌둥의 죽음과 함께 끝났다.
덩샤오핑 개혁개방과 시장경제로 변화 추진
하지만 1989년 6월 봇물 터지듯 분출하는 민주화 운동을 무력 진압한 톈안먼(天安門) 사건이 일어나면서 10년 이상 쌓아온 개혁 성과가 수포로 돌아갈 위기에 직면했다.
이에 덩샤오핑은 가급적 외부와는 마찰을 피하는 도광양회(韜光養晦) 전략을 통해 내실을 다졌다.
적극적인 해외투자 유치와 선부론(先富論)에 기초한 집중 선택 경제정책으로 경제대국으로 가는 길을 닦았다.
장쩌민(江澤民) 시대에 들어 중국은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했고 후진타오(胡錦濤)가 중국공산당 수장이던 2008년에는 베이징 올림픽, 2010년 상하이 세계박람회를 개최해 세계에 중국 발전을 과시했다.
이때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은 일본을 제치고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로 도약했다.
2012년 치열한 당내 암투를 거쳐 총서기에 오른 시진핑(習近平)은 반부패 투쟁으로 정적세력을 차례로 내쫓고 권력기반을 다쳤다.
중국공산당은 창당 100주년과 공산정권 수립 100주년(2049년)을 '2개의 100년'으로 자리매김했다.
시진핑 "사회주의 현대화 강국 실현" 목표 제시
아울러 중화인민공화국을 세운 마오쩌둥, 경제발전의 물꼬를 튼 덩샤오핑에 버금가는 지도자 반열에 오르겠다는 결의도 내보였다.
장쩌민과 후진타오 지도부는 당시인 집단지도체제 성격을 띠었지만 시진핑 지도부는 집단지도체제를 견지하겠다는 입장을 되풀이 하면서도 실제로는 1인체제 구축을 추진했다.
2018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사 5년 중임 10년으로 제한한 국가주석 임기 규정을 철폐, 장기집권 의욕을 내외에 확인했다.
시진핑 지도부는 덩샤오핑의 도광양회에서 벗어나 강대한 군사력과 경제력을 배경으로 하는 '대국 외교'를 구사하면서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와 마찰을 빚고 있다.
'강국 노선'은 주변국과 충돌 우려를 고조시키는 것은 물론 신장 위구르와 홍콩의 인권, 통상 문제 등에서도 국제사회의 경계와 비판을 사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