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그 많던 섬진강 재첩, 수자원공사가 다 없앴다"

등록 2021.07.05 06: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어민당 하루 150kg 이상 채취하던 재첩, 씨 말라

'영영 사라지지 않을까'…어민들 농사 일과 일용직 전전

뉴시스DB

뉴시스DB


[하동=뉴시스] 김윤관 기자 = 예년 이맘때면 재첩을 잡는 사람들로 가득 차야 할 경남 하동군 섬진강이 모래만 드러낸 채 텅 비었다.

우리나라 생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하동군의 주요 수입원으로 '섬진강의 검은 보석'이라고 불리는 재첩이지만, 올해는 씨가 마르다시피했다.

매년 이 무렵 섬진강 재첩잡이에 나선 어민은 2시간가량 작업하면 고무대야의 3분의 2를 재첩으로 채웠다. 하지만 요즘에는 이른아침부터 작업해도 한낮이 되도록 절반도 채우지 못한다.

불과 작년까지만 해도 재첩잡이 어민들로 북적인 섬진강이 올해는 다수가 조업을 포기하면서 적막감마저 감돌고 있다.

하동군에 따르면 지난 5월 재첩 생산량은 26t으로 지난해 같은 시기 136t과 비교하면 110t 가까이 줄었다. 비율로는 80% 이상 감소했다.

이처럼 섬진강 재첩잡이가 어렵게 되자 어민들은 당장 생계를 위해 일손이 필요한 농가를 찾거나 일용직을 전전하고 있다.

재첩 생산이 줄면서 가공공장과 식당 등 관련 지역업체들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재첩 가공공장을 운영하는 어민들은 "재첩 원가가 원체 높아 지금은 재첩을 가공해서 팔면 팔수록 적자를 보고 있는 실정“이라며 “차후에 정상화될 거란 희망을 가지고 공장을 돌리고 있지만 언제 그만둬야 할지 모르겠다”고 하소연했다.

 일부 어민들은 “그동안 하동 섬진강 재첩 만을 가공하며 ‘하동재첩’의 명성을 이어왔지만 섬진강 재첩이 없어 외지 재첩을 들여와 어쩔 수 없이 하동산 재첩이 아닌 ’국내산 재첩’이라 표시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섬진강 재첩이 사라진 이유에 대해 어민들은 ”지난해 8월 섬진강 유역에 큰 피해를 입힌 집중호우가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섬진강 유역 집중호우 피해, 2020년 *재판매 및 DB 금지

섬진강 유역 집중호우 피해, 2020년 *재판매 및 DB 금지


”당시 상류 댐에서 무리하게 강물을 방류하는 바람에 재첩이 모두 바다로 떠내려가고, 쓸려온 모래가 하류에 쌓이면서 재첩 서식지도 파괴됐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수자원공사가 댐을 막아 놓고 평소 물을 정상적으로 흘려내려 보내주고 해야 할 텐데 콱 막아놨다가 폭우가 쏟아지자 어민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갑자기 수문을 열어 강물을 방류하는 바람에 이런 큰 재난이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어민들이 생업을 잃을 위기에 처했지만 문제 해결은 쉽지 않다.

지난해 집중호우 이후 하동군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됐지만, 재첩 어민들의 피해를 보상할 규정이 없다는 이유로 어민들은 아무런 지원도 받지 못하고 있다.

재첩 염해와 댐 방류의 연관성을 찾는 조사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수자원공사가 섬진강 상류 댐을 막고, 유지유량을 방류하지 않는 바람에 강바닥이 섬으로 변해버렸다 *재판매 및 DB 금지

수자원공사가 섬진강 상류 댐을 막고, 유지유량을 방류하지 않는 바람에 강바닥이 섬으로 변해버렸다 *재판매 및 DB 금지


하동군과 광양시 섬진강 하류 어민 100여명은 지난 2일 하동군 하동녹차연구소에서 열린 섬진강유역 홍수피해 용역조사 중간발표회장을 찾아 "정부가 추진 중인 댐하류 수해원인 조사용역에 재첩피해 용역조사가 빠져 있다"며 "조사용역에 포함시켜 줄 것"을 요구했다.

또 “오랜 기간 재첩 감소의 원인으로 꼽혔던 염해 문제도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며 “섬진강 상류에 댐이 들어선 뒤 하류로 내려오는 강물의 양이 현저히 줄어든데다, 취수장에서 하루 최대 40만t의 물을 끌어가다보니 담수가 부족한 섬진강이 바다처럼 변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그 많던 섬진강 재첩, 수자원공사가 다 없앴다"


이날 수해피해 용역조사에 참석한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수해원인 조사용역에 재첩피해는 포함되지 않아 별도 용역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 어업권 피해 신청을 해야한다”고 밝혔다.

하동군은 올해 재첩 종패 이식 사업 규모를 2억원으로 늘리고, 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 작년 수해로 인한 재첩 피해를 상정할 계획이다.

검은 보석은 사라지고 솟아오른 모래섬이 그 자리를 차지해버린 섬진강,어구를 놓고 일자리를 찾아 떠난 어민들은 섬진강 재첩이 영영 사라지지는 않을까 한숨만 짓고 있다.

한편, 지난해 8월 집중호우에 따른 섬진강 홍수피해조사위원회는 2일 용역조사 중간발표를 통해 ▲댐 운영 미흡 ▲댐-하천 간 홍수 대비 계획 부재 ▲하천관리 부족 ▲홍수방어기준의 한계 등 복합적 원인을 지목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