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통일부 상대 사이버공격 2018년부터 급증…지난해만 633건

등록 2021.07.07 17:28: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文정부 들어 늘어…2018년 이후 600건 이상

"피해 없어…목적, 공격지 단정하기 어려워"

통일부 상대 사이버공격 2018년부터 급증…지난해만 633건

[서울=뉴시스] 심동준 기자 = 통일부를 상대로 한 사이버공격 시도가 지난 2018년부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정부 들어 크게 늘어난 것인데, 현재까지 해킹 등으로 인한 피해 사례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7일 통일부는 지난해 사이버공격 시도가 633건 있었다고 밝혔다. 시스템정보 수집 시도가 310건으로 가장 많았고 해킹메일을 통한 공격 시도가 265건으로 뒤를 이었다. 이외 웹 해킹 시도 46건, 유해IP 접속 8건, 악성코드 탐지 4건 등이었다.

통일부에 대한 사이버공격은 지난 2018년을 기점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전체 공격 시도 건수를 보면 2016년 260건, 2017년 336건에서 2018년 630건, 2019년 767건 등으로 차이를 보인다.

사이버공격을 시도한 목적과 주체에 관한 세부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현재까지 해킹 등 사이버공격으로 인한 피해는 없었다는 것이 통일부 측 설명이다.

통일부는 국립통일교육원 내 '통일 사이버안전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본부와 소속기관, 하나재단과 하나센터,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등에 대한 정보보호가 이뤄지고 있다.

지난 2018년 경북하나센터에서 발생한 탈북민 관련 정보 해킹 사건 이후에는 지역적응센터까지 범위를 확대해 관리 중이라고 한다. 당시 해킹으로 탈북민 997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통일 사이버안전센터의 365일 24시간 보안 관제 운영을 통해 해킹과 사이버공격을 차단 방어 중"이라며 "피해가 없어 어느 목적으로 시도했는지를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또 "해킹은 중계서버를 이용해 여러 단계를 경유하고 흔적을 지워 실제 공격지 파악에는 한계가 있다"며 "최근 언급되고 있는 타기관 해킹 사고 관련 취약점 공유, 조치도 병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사이버공격은 국가안보 관련 기관, 기업을 대상으로도 다수 시도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이와 관련해 최근 원자력연구원, 대우조선해양,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이름이 오르내리기도 했다.

이 당국자는 "국가 사이버안보센터와 업무 협조를 하면서 사이버 위기경보 발령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보안 동향, 위협정보 분석 자료 등을 상호 공유하고 있다"고 했다.

아울러 "보안정보업체와의 협력 등을 통해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며 "보안관제센터 실무자 워크숍과 사이버공격대응훈련 등을 통해 대응 역량도 강화 중"이라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