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담배피면 폐암 표적치료제 내성 확률 3.5배↑"

등록 2021.07.16 10:08:5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연세암병원, 표적치료제 내성 환자 특징 확인

흡연하면 MET 증폭 양성 비율 3.5배 높아

뇌 전이 적은 환자도 항암제 내성 확률 높아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안병철·이지현·홍민희 교수 연구팀은 흡연 기간이 길고 뇌 전이가 적을수록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의 표적치료제에 내성이 생길 확률이 높다고 16일 밝혔다. (사진 : 세브란스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안병철·이지현·홍민희 교수 연구팀은 흡연 기간이 길고 뇌 전이가 적을수록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의 표적치료제에 내성이 생길 확률이 높다고 16일 밝혔다. (사진 : 세브란스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안호균 기자 = 담배를 피운 폐암 환자가 표적치료제에 내성을 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안병철·이지현·홍민희 교수 연구팀은 흡연 기간이 길고 뇌 전이가 적을수록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의 표적치료제에 내성이 생길 확률이 높다고 16일 밝혔다.

비소세포폐암은 전체 폐암의 80~85%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다.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역형성 림프종 인산화효소(ALK), 활성산소종(ROS1) 등 다양한 돌연변이로 발생한다. 이중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이 30~40%에 달한다.

EGFR 돌연변이를 정밀 타격하는 표적치료제로는 1세대 이레사(성분명 게피티닙), 타쎄바(엘로티닙), 2세대 지오트립(아파티닙) 비짐프로(다코미티닙) 등이 있다. 하지만 폐암 환자에게 10~12개월 정도 처방하면 내성이 생긴다. 내성이 발생할 경우에는 3세대 치료제 타그리소(오시머티닙)를 투약한다. 1~3 세대 치료제에 대한 내성 환자의 5~22%는 중간엽상피전이인자(MET) 변이로 발생한다.

연구팀은 2004년부터 2019년까지 연세암병원에서 1~3세대 EGFR 표적항암제 치료 실패 후 MET 증폭 검사를 받은 186명을 분석해 MET 증폭 양성과 음성 환자를 비교했다. 186명의 환자 중 MET 증폭 양성을 보인 환자는 30명으로 16.1%를 차지했다.  증폭 양성 환자의 무진행생존 기간 중앙값은 7개월로 음성 환자(10.4개월)보다 짧았다.

양·음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흡연력과 암 세포의 뇌 전이가 있었다. 흡연 환자의 경우에는 MET 증폭 발생률이 비흡연 환자보다 약 3.5배 높았다. 뇌 전이가 발생하지 않은 환자 대비 뇌 전이가 발생한 환자에서는 MET 증폭 발생률이 86% 낮았다.

지금까지는 MET 증폭 발생 자체가 적어서 MET 증폭 검사가 많이 이뤄지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흡연을 했고 뇌 전이가 적게 발생한 내성 환자를 대상으로 MET 증폭 검사 진행과 함께 후속 치료를 이어갈 수 있게 됐다.

이지현 교수는 "흡연 및 폐에서 뇌로의 암세포 전이가 안 될수록 MET 증폭을 야기할 확률을 높이는 동시에 EGFR 돌연변이 표적항암제 내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며 "이번 연구 성과는 MET 돌연변이에 대한 표적치료제 개발과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종양학 분야 국제학술지 Cancer(IF 6.126) 최신호에 게재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