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SKY출신 CEO 비중 확 줄었다…10년새 13%p 감소(종합)

등록 2021.11.17 19:21: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2019년부터 30% 미만으로 감소…올해는 28.4%↓

서울대 출신 CEO 가장 많지만 최근 감소세 보여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이재은 기자 = 국내 1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에서 명문대로 지칭되는 SKY(서울·고려·연세대) 대학 출신 최고경영자(CEO) 비율이 작년보다 더 하락해 28%대까지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11년 41% 수준이던 것과 비교하면 SKY 대학 출신 CEO는 10년 새 10%포인트 넘게 줄었다. 특히 CEO를 가장 많이 배출하고 있는 서울대 출신 비중은 해를 거듭할수록 줄어들고 있다.

유니코써치는 ‘2021년 국내 1000대 기업 CEO 출신대 및 전공 현황 분석’ 결과에서 도출됐다고 17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000대 기업 CEO 출신대 현황 조사 대상자는 1439명이다. 이중 서울대 출신은 203명(14.1%)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고려대(110명, 7.6%), 연세대(96명, 6.7%) 순이다.

1000대 기업에서 서울대 출신 CEO는 고려대와 연세대 출신 최고경영자를 합친 숫자보다 많았는데 올해는 역전됐다. 1000대 기업 내 서울대 출신 CEO 비중은 2019년 15.2%에서 지난해는 14.9%로 낮아졌다. 올해는 14.1%로 작년 대비 0.8%포인트 더 하락했다. 

올해 조사된 200명이 넘는 서울대 출신 경영자 중에서는 1964년생이 22명으로 최다를 차지했다. 대표적으로 삼성물산 한승환 사장(정치학), KT 구현모 사장(산업공학), CJ ENM 강호성 대표이사(법학), 한진 류경표 대표이사(경영학), 롯데정밀화학 정경문 대표이사(화학), NH투자증권 정영채 대표이사(경제학), 하림 박길연 대표이사(축산학) 등은 올해 58세로 동갑내기이면서 서울대 동문이다.

서울대 출신 중 좌장격은 대림통상 고은희 회장이다. 여성 경영자인 고은희 회장은 1934년생이다. 최연소는 1980년생인 펄어비스 정경인 대표이사(재료공학)와 컴투스 이주환 대표이사(경제학)인 것으로 조사됐다.

고려대 출신 중에서는 1963년생이 11명으로 가장 많다. 한국금융지주 김남구 회장을 비롯해 SK하이닉스 박정호 부회장, 아시아나항공 정성권 대표이사 등은 동갑내기이면서 고려대 경영학도 출신이라는 점이 닮았다. 이외 삼성화재 최영무 사장(생명공학), CJ씨푸드 이인덕 대표이사(축산학), 유진증권 유창수 부회장(사회학) 등도 올해 59세이면서 고려대를 나온 최고경영자 그룹에 속했다.

연세대도 서울대와 동일하게 1964년생 CEO가 10명으로 최다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중 삼성생명 전영묵 사장과 대우건설 정항기 대표이사는 같은 대학 경영학과를 나왔다. 매일유업 김선희 대표이사(불어불문학), 진에어 최정호 대표이사(응용통계학), LX인터내셔널 윤춘성 대표이사(지질학) 등도 1964년생이면서 연세대를 졸업했다.

올해 조사된 1000대기업에서 SKY大 출신 CEO는 28.4%(409명)로 작년 29.3%보다 0.9%포인트 수준으로 낮아졌다. 지난 2011년 41.7%였을 때와 비교하면 10년 새 SKY CEO 비중이 13.3%포인트나 줄어든 것이다. 지난 2007년 59.7%와 비교해보면 31.3%포인트 넘게 감소했다. 과거 재계에서 10명 중 6명꼴로 SKY대 출신이던 비중이 지금은 3명도 채 되지 않은 셈이다.

특히 지난 2008년 이후 40%대를 유지해오던 SKY 대학 출신 최고경영자는 2013년에 39.5%로 처음으로 30%대로 낮아졌다. 이후 2019년에는 29.4%로 처음으로 30% 밑으로 감소했다. 2019년 이후 지금까지 30% 미만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파악된 1000대기업 CEO들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960~1963년 사이 태어난 1960년대 초반생이 24.5%로 가장 많았다. 이어 1957~1959년 사이에 출생한 50년대 후반생 비율이 16.3%로 나타났다. 1964~1966년에 태어난 60년대 중반층은 13.3% 수준을 보였다. 이와 달리 1967년~1969년생은 8.8%, 1970~1973년생은 7.9% 비중을 보였다.

이외 1980년 이후에 태어나 대표이사 타이틀을 갖고 있는 MZ세대 CEO도 29명으로 2% 수준으로 집계됐다. 조사 대상 1000대기업 중 최연소 대표이사는 올 반기보고서 기준 경농 이용진 대표이사, 금호에이치티 김두인 대표이사, 신영와코루 이성원 사장, 자화전자 김찬용 사장이 모두 1985년생으로 가장 젊은 것으로 조사됐다.

2021년 올해 조사에서 SKY大 다음으로는 ▲한양대(77명) ▲성균관대(47명) ▲부산대(37명) ▲중앙대(35명) ▲서강대(33명) ▲한국외국어대(31명) ▲경북대(26명) ▲경희대(25명) ▲영남대(23명) ▲건국대(20명) 순으로 20명 이상 CEO를 다수 배출시킨 대학군에 이름이 올랐다.

서울·경기권을 제외한 지방대 중에서는 부산대가 가장 많은 CEO를 배출한 가운데 경북대와 영남대도 20명 이상 되는 CEO를 배출하며 지방 CEO 명문대의 위상을 선명히 보여줬다. 이외 지방대 중에서는 동아대(15명), 전남대(10명), 경남대·충북대(각 8명), 전북대(7명) 순으로 CEO가 비교적 많이 나온 것으로 파악됐다.

유니코써치 김혜양 대표는 “과거에는 인재를 평가할 수 있는 자료 등이 많지 않다 보니 출신 학교와 같은 스펙 등을 중요한 기준으로 여겼지만 최근 산업계는 융합이 대세로 자리매김하다 보니 단순히 어느 학교 출신인지 하는 1차원적 기준보다는 무엇을 얼마나 잘 할 수 있는지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분위기가 강하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