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공급망 불안, 장기간 지속 조짐…대응체계 필요"

등록 2021.12.07 16:30:47수정 2021.12.07 17:37: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대한상의, '중국 수출규제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대응방안 세미나'

[서울=뉴시스] 대한상공회의소.(사진=대한상공회의소 제공) 2021.4.20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대한상공회의소.(사진=대한상공회의소 제공) 2021.4.20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박정규 기자 = 글로벌 공급망 문제의 불확실성이 장기화될 우려가 있는 만큼 민관이 함께 대응해나갈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7일 온라인으로 '중국 수출규제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대응방안 세미나'를 개최했다. 코로나19 장기화와 중국발 요소수 사태, 오미크론 변이종 출현 등 공급망 불안 이슈 확대에 따른 대응방안이 논의됐다.

이날 세미나에서 이준 산업연구원 산업정책연구본부장은 '한국 산업의 글로벌 공급망 이슈 현황'에 대한 주제발표를 통해 "미·중 간 기술패권 경쟁, 탄소중립 등의 이슈는 향후 오랜 기간 지속될 수도 있는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을 증폭시키는 이슈"라고 전망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중국과 매우 밀접하게 형성된 산업 분업관계로 인해 향후 중국 중심의 글로벌 공급망 체계 변화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구조"라며 "앞으로 상당한 수준의 대응력이 필요하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현재 나타나고 있는 공급망 관련 이슈들이 민·관 모두 단독의 힘으로 대응하기 힘든 형태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함께 머리를 맞대고 위험요인을 사전에 점검하고 긴급상황 발생시 조기에 대응할 수 있는 합동대응체계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공급망 이슈에 노출된 이차전지·반도체·건설 등 산업별 공급망 대응방안에 대한 발표도 이어졌다.

이차전지와 관련해 김민지 산업연구원 소재산업실 전문연구원은 "이차전지 산업은 원료소재부문에서 대중국 의존도가 매우 높아 중국의 환경규제와 에너지수급 등의 상황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구조"라며 "원료소재 부문의 공급망 안정성 강화를 위해 기업 간 협력 토대를 구축해 대응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원자재 기업과의 협업 강화와 사용 후 배터리와 관련한 자원회수 기술 확보 및 산업생태계 구축이 긴요하다"며 "소재기업을 중심으로 공급 리스크 및 수요 예측 등과 관련한 시스템 고도화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형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은 반도체 부문에 대해 "미국의 반도체 주도권 강화와 미·중 디커플링 정책은 반도체 산업 글로벌 공급망 구조에 가장 큰 변수"라며 "기업은 특정 국가에 편중돼있는 공급망을 분산시키기 위해 현재의 공급망 재편을 기획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는 K-반도체 육성전략과 더불어 반도체 종합연구원 설립, 연구·개발(R&D) 인력 확충 등이 시급하다"고 분석했다.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경제금융연구실 연구위원은 건설 부문과 관련해 "중국 철강재 수출규제, 각국의 경기부양책으로 인한 자재 수요 증가 등으로 철근 가격이 톤당 90만원을 넘어선 것은 '2008년 철근대란' 이후 13년 만"이라며 "다수의 중소 건설업체가 자재 수급 문제를 겪고 있으며 중국이 철강을 증산하기 전까지 이는 장기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정부는 건설경기 회복 등 당분간 건설 수요가 증가할 것을 감안해 철강재뿐만 아니라 시멘트, 레미콘 등 다른 자재 수급 및 가격변화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공급망 안보 강화를 위한 산업별 대응전략이 필요한 때"라면서 "반드시 국내 조달이 필요한 전략 품목을 파악하고 비축을 포함한 비상계획을 마련하는 등 한국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전체 공급망의 효과적인 작동을 위해 민관 공동의 대응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