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소극처방'에 창고 쌓인 먹는치료제…"대상 확 늘려야"

등록 2022.01.22 06: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일주일간 109명 투약…초도물량 0.5%

"12세 이상에 처방 확대해야" 주장도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지난 14일 서울 구로구의 한 약국에 경구용 신종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가 배송돼 약사가 수량을 확인하고 있다. 치료제는 이날부터 환자들에게 투여할 수 있으며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 위기대응시스템'으로 약국 재고를 파악해 처방한다. 2022.01.22. kkssmm99@newsis.com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지난 14일 서울 구로구의 한 약국에 경구용 신종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가 배송돼 약사가 수량을 확인하고 있다. 치료제는 이날부터 환자들에게 투여할 수 있으며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 위기대응시스템'으로 약국 재고를 파악해 처방한다. 2022.01.2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남희 기자 = 코로나19 먹는 치료제가 당초 기대했던 '게임 체인저'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치료제 부족 사태를 우려한 정부가 처방 대상을 보수적으로 지정해 초도물량이 제대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정부는 지난 20일 화이자의 팍스로비드 투약 대상을 기존 '65세 이상'에서 '60세 이상'으로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14일 처방이 시작된 후 20일까지 치료제를 투여 받은 환자가 109명에 그친 데 따른 조치다.

정부는 치료제 도입 당시 "하루 1000명씩 투여 가능한 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일주일간 109명은 정부가 예상한 처방량 7000명의 1.6% 수준이다. 전체 초도물량 2만1000명분 중에서는 0.5%에 불과하다.

지난 일주일은 오미크론 우세종화 직전으로 예상돼 전문가들이 적극적 투약을 주문했던 시기다. 정재훈 가천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장기적인 물량 확보보다 단기간 내에 필요한 만큼의 물량이 있느냐가 중요하다"며 초기 투약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대상자 확대 조치로 처방량이 약 30%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하루 확진자 중 추가되는 60~64세 연령대만 단순 계산한 수치다.

당분간 생활치료센터, 요양병원 입소자와 재택치료자 등에만 처방되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로는 30%보다 적게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청주=뉴시스] 강종민 기자 = 정부가 화이자로부터 구매한 코로나19 먹는(경구용) 치료제 '팍스로비드'가 지난 13일 오후 충북 청주시 유한양행 오창 물류창고에 도착, 관계자가 온도와 수량 등을 확인하고 있다. 이날 도착한 팍스로비드는 오는 14일부터 코로나19 환자들에게 처방될 예정이다. 2022.01.22. ppkjm@newsis.com

[청주=뉴시스] 강종민 기자 = 정부가 화이자로부터 구매한 코로나19 먹는(경구용) 치료제 '팍스로비드'가 지난 13일 오후 충북 청주시 유한양행 오창 물류창고에 도착, 관계자가 온도와 수량 등을 확인하고 있다. 이날 도착한 팍스로비드는 오는 14일부터 코로나19 환자들에게 처방될 예정이다. 2022.01.22. [email protected]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정부가 투약 대상을 넓혔다가 치료제 부족 사태를 우려해 소극행정을 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정부가 약을 아끼려고 고위험군의 고령층부터 쓰도록 하니까 현장에선 처방이 이뤄지지 않는다"며 "무증상이나 경증 환자가 많은 오미크론이 유행하면 굳이 약이 필요 없는 환자도 많기 때문에 처방 연령을 12세로 바로 확대해도 된다"고 주장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허가 기준에 따르면 팍스로비드 투여 대상자는 12세 이상, 몸무게는 40㎏ 이상이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증상 발현 5일 내에 써야 해서 60세 이상으로 넓혀도 실제 처방 대상은 얼마 안 될 것"이라며 "60세 이하 고위험군은 약이 필요한데도 쓰지 못하고 있다. 대상 연령을 대폭 넓혀야 한다"고 말했다.

처방에 대한 구체적 지침이 없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병용 금기 의약품에 대한 세부지침이 없어 현장에서도 소극적 처방이 이뤄진다는 것이다.

천 교수는 "절대 같이 쓸 수 없는 의약품보다 기존에 먹던 약을 잠시 끊으면 치료제를 처방할 수 있는 경우가 더 많다"며 "그런 지침이 없으니 일선 의사들이 함부로 처방할 수 없는 것이다. 정부가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내놔야 한다"고 했다.

정부는 이르면 다음 주 중 신장 기능 저하나 간질환을 겪고 있는 기저질환자 등을 위한 별도의 팍스로비드 투약 판단 기준을 발표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