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중앙대·서울대·숙명여대·인하대·한양대 'ESG' 컨소시엄, 94억 정부 지원금

등록 2022.03.14 10:52:2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탄소중립 ESG 미래선도 실전문제연구단’ 탄소중립 선도 미래인재 양성

지능형 에너지 기술 기반 최신 ICT기술 연계·공유·융합 교육 플랫폼 구축

[서울=뉴시스] 중앙대 전경. 사진 중앙대 *재판매 및 DB 금지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중앙대 전경. 사진 중앙대 *재판매 및 DB 금지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박선민 인턴 기자 = 중앙대학교(총장 박상규)를 주축으로 5개 대학이 모인 컨소시엄이 향후 4년간 94억4000만원의 정부 지원금을 받으며, 탄소중립 ESG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됐다.

중앙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2022년 현장연계 미래선도인재양성 지원사업’에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현장연계 미래선도인재양성 지원사업은 대학 학부생 중심 연구팀이 산업계가 직면한 문제 해결을 위해 산업현장 중심 교육·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력양성 사업이다. 해당 사업에 지원하기 위해서는 대학 간 컨소시엄을 구성해야 한다. 현장실습 참여와 산업체 풀 공유, 기초·공통 교육과정 개발·운영 등 대학 간 네트워크·교류를 확대하기 위해서다.

중앙대는 서울대·숙명여대·인하대·한양대와 ‘탄소중립 ESG 미래선도 실전문제연구단’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중앙대가 사업 전반을 총괄하며, 중앙대 지능형에너지산업학과 박세현 교수가 총괄사업단장을 맡았다. 중앙대 컨소시엄은 수도권 1개, 비수도권 2개를 선정한 이번 사업에서 치열한 경쟁을 뚫고 유일한 수도권 컨소시엄으로 선정되는 데 성공했다.

박세현 단장은 "탄소중립 문제를 단일 학문, 단일 대학 체제로 해결하기란 쉽지 않다"며 "여러 대학의 교육 플랫폼이 함께 움직이며 산업현장의 수요와 연계해 국가적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미래선도인재양성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단은 ‘2030 탄소중립 조기실현’을 캐치프레이즈로 삼아 지능형 에너지 기술 기반 탄소중립 ESG 분야의 공유·융합 교육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이를 위해 사물인터넷·인공지능·빅데이터 등 최신 ICT 기술을 연계할 5개 핵심 주제로 탄소중립 융복합, Green AI, 탄소중립 모빌리티, 바이오헬스, 스마트 제조·공정을 선정했다. 온실가스 배출 증대와 기수변화 등 지구의 환경 문제를 에너지 전환이라는 세계적 패러다임으로 바라보며, 국내외 탄소중립 정책과 ESG 환경 중심 경영체제 대응으로 확장한다.

새로운 소통 창구로 떠오른 메타버스도 적극 활용한다. 메타버스 기반 탄소중립 ESG 공유 캠퍼스 타운을 운영해 교수 156명, 195개 산업계기관이 참여하는 공유 교육 플랫폼을 강화할 계획이다.

연구단은 200여 개의 학부생 중심 연구팀을 구성해 팀당 1000만원 내외 연구비를 지원한다. 각 연구팀은 현장 산업체와 1대 1로 매칭 돼 산업현장의 실질적인 수요기술을 체득하고, 자발적으로 문제를 해결한다.

대학 공동연구팀도 20개 이상 구성해 대학 간 연계 공유 교육모델을 강화한다. 5개 대학이 공동으로 교과목을 개설하는 데 더해 취·창업 프로그램과 산업체 전문가 멘토링, 창업 시뮬레이션 등 전방위적인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중앙대를 비롯해 컨소시엄에 참여한 서울대·인하대·한양대는 2017년부터 5년간 현장맞춤형 이공계인재양성 지원사업을 통해 연구팀 725개, 학생 3927명을 지도하며 인력 양성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컨소시엄에 참여한 숙명여대에 노하우를 전수·확장하며, 탄소중립 ESG 미래선도인재양성에 필요한 시너지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박상규 총장은 "이번 사업 선정은 탄소중립 ESG 분야의 교육과 연구 지속성을 확보해 2050년 탄소중립의 주역을 양성하는 글로벌 대학으로 중앙대가 성장하게 됐다는 의미"라며 "탄소중립은 사회적 요구이자 인류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중요한 사안이다. 대학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는 중앙대의 행보에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