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대통령실 "尹, 나토 정상회의 불참 때 세계적 비판 더 크다"

등록 2022.06.28 18:25:2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나토 사무총장이 '韓 대중관계 어떻게 할 것인가' 묻진 않아"

"나토서 중국 직접 압박하는 어떤 조치도 발표되지 않을 것"

"중국·대만해협 논의하러 온 게 아냐…韓 역할 협력할 예정"


[마드리드=뉴시스] 전신 기자 =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27일(현지시간) 마드리드 바라하스 국제공항에 도착해 도보로 이동하고 있다. 2022.06.28. photo1006@newsis.com

[마드리드=뉴시스] 전신 기자 =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27일(현지시간) 마드리드 바라하스 국제공항에 도착해 도보로 이동하고 있다. 2022.06.28. [email protected]


[마드리드·서울=뉴시스] 박미영 양소리 기자 = 대통령실은 28일(현지시간) 윤석열 대통령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참석과 관련해 중국이 강한 우려를 표한 데에 "나토 정상회의에서 중국을 직접적으로 압박하는 어떤 조치도 발표되지 않을 것"이라며 다만 "한국이 이 포럼에 참석하지 않았을 경우에 닥칠 비판과 의구심이 훨씬 크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날 오전 스페인 마드리드 프레스센터에서 취재진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이날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글로벌타임스는 전문가들을 인용해 "윤석열 정부가 미국에 의존해 점차 외교적 독립성을 상실할 경우 중국과의 관계는 더 복잡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글로벌타임스는 또 "윤 대통령은 취임 이후 미국을 무조건 존중하는 정책을 채택해왔다"며 "국제무대에서 미국과 교류함으로써 한국의 위상을 높이고 싶어 하지만 이는 장기적으로 국익을 해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이번 나토 정상회담에서 '부상하는 중국'이라는 소주제 포럼이 마련된 데에 나온 반응으로 보인다. 여기에서는 나토 동맹국들의 대중관계 설정이 주요 의제가 될 전망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나토의 이같은 논의에 "나토 사무총장이 우리나라 대통령에 '중국이 이렇게 됐으면 대한민국이 어떻게 할 것이냐'고 물어보지는 않을 것"이라며 이는 최근 유럽연합(EU) 내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는 중국에 어떻게 대응할지를 논의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한국이 직접적으로 답해야 될 사항은 없다"고 연거푸 강조했다.

그는 다만 "유럽의 주요 국가들과 한국이 앞으로 이런 문제들에 대해서 어떻게 협력할지 하는 전략적인 교감은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또 중국 관영지의 반응에는 "나토 정상회의에서 중국을 직접적으로 압박하는 어떤 조치도 발표되지 않는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을 거론하며 "이 전쟁의 여파로 세계 경제가 모두 함께 신음하고 있다. 대한민국도 경제적으로 어려워진 이유가 이 여파다"며 "따라서 한국이 이 포럼에 참여하지 않았을 경우에 닥칠 비판과 의구심이 훨씬 크다고 생각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중국과 대만해협을 논의하러 이곳 마드리드에 온 것이 아니라 세계 글로벌 질서의 중심에서 한국의 글로벌 중추 국가의 역할을 어떻게 우리 브랜드에 맞게 운용할 것인지를 참고하고, 또 그 논의를 국가들과 협력하러 왔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오는 29일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해 '세계 각 지역의 분쟁지역'을 거론하며 나토의 역할 확대 필요성을 시사할 예정이다. 중국은 이를 한국 정부가 나토의 지리적 영향력 확대 찬성 입장을 밝힌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관계자는 "그 말은 우크라이나뿐만 아니라 제3세계, 개도국 이런 불안정한 지역에 있어서의 각종 전면전이나 국지전, 분쟁에서 인도적 현안이 발생하고 인권이 침해되는 이런 문제에 대해서 '한국이 눈을 감아서는 안 된다', '할 수 있는 평화유지군(PKO) 인도적인 지원을 포함해 나토와 유엔이 그런 문제에 대해서 보폭을 넓혀가야 된다', '유럽이나 아시아만이 우리가 도와야 될 대상이 아니다' 이런 뜻"이라고 선을 그렀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의 연설에는) 전통 군사 안보 협력의 개념을 아까 제가 말씀드린 복합 안보, 신흥 포괄 안보 이슈로 시야를 확대해서 안보의 개념을 접근하자라는 문제 인식이 담길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