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국방부 "한일, 北미사일 탐지·추적 레이더 정보 실시간 공유"(종합2보)

등록 2023.01.01 15:02:18수정 2023.01.01 15:04:4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한미일 정상이 지난해 11월 실시간 공유에 합의"

"우리 군은 미일측과 모두에게 이익 되도록 이행방안 마련"

[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28일 공군 제3미사일방어여단 제8787부대 패트리어트 미사일 모습. (공동취재사진) 2022.12.28.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28일 공군 제3미사일방어여단 제8787부대 패트리어트 미사일 모습. (공동취재사진) 2022.12.2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하종민 이재준 기자 =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일간 레이더 정보의 공유를 추진한다는 보도에 대해 국방부가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는 1일 해당 보도와 관련해 "한미일 3국 정상이 지난해 11월13일 북한의 미사일 경보정보를 실시간 공유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한미일 정상의 합의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위협에 대한 각국의 탐지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미일 3국이 실시간으로 미사일 경보정보를 공유하게 될 경우 "북한이 발사하는 미사일의 예상 발사지점, 비행방향,  탄착지점 등에 대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조기에 획득함으로써 우리의 대응태세가 향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현재 한일 간 북한의 미사일을 탐지·추적하는 레이더 연결을 추진한다는 내용에 대해 "향후 우리 군은 미일측과 3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이행방안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답했다.

한미일 3국 정상이 정상회담을 통해 합의한 내용은 맞지만, 구체적으로 한일 레이더 정보공유를 추진한다는 보도에 대해서는 원론적인 입장만 내놓은 상황이다.

만약 한일이 직접 북한의 미사일을 탐지하는 레이더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해당 시스템이 미국의 인도태평양사령부를 경유한다면 미국의 미사일 방어(MD) 체계 편입 논란도 발생할 수 있을 전망이다.
[서울=뉴시스] 김승겸 합동참모본부 의장 주관으로 29일 경기 양평군에서 적 소형무인기 대응 및 격멸훈련이 실시된 가운데, 천마(단거리 지대공 미사일)의 발사대가 사격 대공방어를 취하고 있다. (사진=합동참모본부 제공) 2022.12.2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김승겸 합동참모본부 의장 주관으로 29일 경기 양평군에서 적 소형무인기 대응 및 격멸훈련이 실시된 가운데, 천마(단거리 지대공 미사일)의 발사대가 사격 대공방어를 취하고 있다. (사진=합동참모본부 제공) 2022.12.29.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한편 요미우리 신문은 복수의 양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한일 레이더 시스템을 미국 경유로 연결해 북한 미사일 정보를 즉시 공유하는 방향으로 한일이 검토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이 같은 협력이 이뤄지면 미사일 비행 자료를 훨씬 빨리 파악할 수 있어 미사일 방위와 정보 발신 등에서 능력을 향상하게 된다고 요미우리 신문은 지적했다.

미사일 방위의 난점은 지구가 둥글기 때문에 적 미사일을 탐지 추적하는 레이더의 전파가 수평선 밑에는 닿지 않는다는 것이다. 일본 레이더는 미사일이 일정한 고도까지 상승하지 않을 경우 탐지가 불가능하다. 한국 측도 미사일이 일본 부근의 해상과 태평양에 떨어질 때는 추적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양국이 북한 미사일 발사를 공표할 시 미사일의 수량과 비행거리 등에 관한 정보가 차이를 보일 때가 적지 않다.

한국과 일본은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미국 인도태평양군을 매개로 해서 레이더 정보를 상호 즉시 제공할 계획이다. 각기 동맹 관계에 있는 자위대와 주일미군, 한국군과 주한미군은 이미 레이더 시스템을 서로 접속해 북한 미사일 정보를 바로 공유하고 있다.

현재 한일은 GSOMIA(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에 의거해 미사일 관련 정보를 사후에 교환하고 있다.

요미우리 신문은 양국 관계자를 인용해 미국 인도태평양군을 포함해 한미일에 의한 관련 기술적 검토가 시작했으며 이르면 2023년 안에 실현을 목표로 협의를 가속할 방침이라고 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