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전임자" 13번…바이든, 국정연설서 트럼프 비난 총력(종합2보)

등록 2024.03.08 15:20:05수정 2024.03.08 16:25:2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첫 임기 마지막 국정연설…트럼프와 비교하며 차별화

'재선 걸림돌' 고령 논란 정면돌파…"나이 문제 아냐"

가자지구 관련 이스라엘 압박…"해법은 '두 국가'"

[워싱턴=AP/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각) 워싱턴 국회의사당에서 임기 마지막 국정연설(연두교서)을 하고 있다. 2024.03.08.

[워싱턴=AP/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각) 워싱턴 국회의사당에서 임기 마지막 국정연설(연두교서)을 하고 있다. 2024.03.08.

[워싱턴=뉴시스] 이윤희 특파원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첫 임기 마지막 국정연설에 나서 국민들에게 그간의 성과와 향후 비전을 직접 설명했다. 연설에서는 전임자이자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여러차례 언급하며 차별화에 주력했다.

재선 운동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고령 논란과 가자지구 사태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정면돌파에 나섰다. 다만 새해들어 위협 수위를 높이고 있는 북한에 대해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미국 워싱턴DC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약 1시간7분간 경제, 교육, 재정, 국경, 외교 등 전반에 대한 국정연설을 진행했다.

올해 국정연설은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세번째로, 첫 임기에서는 마지막 연설이다. 통상 마지막해 국정연설은 재선운동에 초점이 맞춰지는데, 이날 연설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이뤄졌다.

나토·낙태·국경 등 이슈별로 트럼프 때리기

바이든 대통령은 무려 13차례 "전임자(predecessor)"를 언급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 시절 실정이나 정책 방향을 적극 비판하면서 대권 상대에 대한 총공세에 나선 것이다.

가장 먼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최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동맹들의 방위비 인상을 요구하며 내놓은 발언을 겨냥해 "내 전임자인 전직 대통령은 푸틴(러시아 대통령)에게 마음대로 하라고 얘기한다"며 "전직 대통령이 실제로 러시아 지도자에게 고개를 숙인다고 말한 것이다. 터무니 없다고 생각한다. 위험하고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2021년 1월6일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강성 지지자들이 바이든 대통령 의회 인준을 막기 위해 일으킨 의회 폭동 사건을 거론하면서는 "평화적인 권력 이양을 막으려는 반란자들은 애국자가 아니다. 솔직히 말해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면서 "내 전임자와 여기 있는 일부는 1월6일에 대한 진실을 묻어버리려고 하지만, 나는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워싱턴=AP/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상하원 합동회의 국정 연설을 하면서 환하게 웃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첫 임기 마지막 국정 연설을 했다. 2024.03.08.

[워싱턴=AP/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상하원 합동회의 국정 연설을 하면서 환하게 웃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첫 임기 마지막 국정 연설을 했다. 2024.03.08.

이어 "내 전임자는 (여성 낙태권을 인정한) '로 대(對) 웨이드' 판결을 뒤집기로 결심했다. 여기 있는 이들 중 상당수와 내 전임자는 재생산 자유에  대한 국가적인 금지 법안을 통과시키겠다고 약속하고 있다"며 "로 대 웨이드를 다시 이 땅의 법으로 복원할 것을 약속한다"고 다짐했다.

국경안보 강화 방안을 포함한 상원의 초당적 법안이 하원 반대로 폐기된 점을 지적하면서는 "내 전임자가 의회 공화당원들에게 법안을 막으라고 요구했다고 들었다"면서 "전임자가 보고있다면 정치놀음과 법안을 막기 위해 압력을 가하는 대신 나와 함께 법안 통과를 촉구하라"고 압박했다. 논란이 됐던 트럼프 전 대통령 발언을 겨냥, "우리국가의 피를 오염시키고 있다며 이민자들을 악마화하지 않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끝으로 바이든 대통령은 "평생 자유와 민주주의를 받아들이는 법을 배웠다. 정직, 품위, 존엄성, 평등, 타인에 대한 존중, 모두에게 공정한 기회를 주고 증오가 설자리가 없게 하는 것"이 미국을 정의해 온 핵심적인 가치라고 말한 뒤 "내 나이대의 또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보자. 원한과 복수, 보복에 대한 이야기"라고 했다.

고령논란 정면 돌파 시도…"지향점 알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재선의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히는 '고령 논란'도 직접 언급하며 정면돌파를 시도했다.

그는 현재 81세로 이미 최고령 타이틀을 지니고 있으며, 재선에 성공할 경우 86세까지 임기를 수행한다. 수많은 미국인들이 바이든 대통령의 신체·정신적 건강에 우려를 표하고 있고, 공화당은 이부분을 주요 공격포인트로 삼고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20대때 시작된 자신의 정치경력을 언급한 뒤 "너무 어리다", "너무 늙었다"라는 말을 모두 들었다며 "젊건 늙었건, 나는 언제나 무엇이 지속되는지, 우리가 지향할 곳(North Star)이 어디인지를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가 직면한 문제는 우리가 얼마나 늙었느냐에 대한 것이 아니라, 우리의 생각이 얼마나 낡았느냐에 대한 것이다"면서 "미래에 대한 비전과 무엇을 할 수 있고 무엇을 해야하는지가 필요하다. 지금 여러분들은 나의 생각을 듣고 있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연설 내내 높고 큰 목소리를 유지했는데, 정정한 모습을 과시하려는 의도가 엿보였다.

[워싱턴=AP/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상하원 합동회의 국정 연설을 하면서 제스처를 취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첫 임기 마지막 국정 연설을 했다. 2024.03.08.

[워싱턴=AP/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상하원 합동회의 국정 연설을 하면서 제스처를 취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첫 임기 마지막 국정 연설을 했다. 2024.03.08.



"이스라엘, 가자에 더 많은 지원 허용해야"

바이든 대통령은 전통적인 민주당원들의 반발을 사고 있는 가자지구 분쟁과 관련해 이스라엘이 보다 많은 구호품 반입을 허용하고 2국가 해법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하마스가 민간인 사이에 숨어 활동하는 만큼 이스라엘은 추가적인 부담을 안고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이스라엘엔 가자지구의 무고한 민간인을 보호해야 할 근본적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가자지구 해안에 구호품 수송을 위한 임시 항구를 건설할 것을 긴급 지시했다고 언급하면서 "이스라엘은 인도주의 활동가들이 총격전에 휘말리지 않도록 가자지구에 더 많은 지원을 허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우리가 미래를 바라볼 때, 현 상황의 유일한 진정한 해결책은 '두 국가 해법'뿐"이라며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를 포함한 모든 아랍 이웃 국가 간 평화를 보장하는 다른 길은 없다"고 강조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간 휴전 협상은 교착상태를 이어가고 있음에도 바이든 대통령은 "여기(의회 본회의장)엔 하마스에 억류된 미국인 인질의 가족들도 있다"며 인질들의 귀환을 약속했다.
[워싱턴=AP/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각) 워싱턴 국회의사당에서 임기 마지막 국정연설(연두교서)을 하고 있다. 2024.03.08.

[워싱턴=AP/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각) 워싱턴 국회의사당에서 임기 마지막 국정연설(연두교서)을 하고 있다. 2024.03.08.


한국과 파트너십 언급…북한 문제는 얘기 안해

바이든 대통령의 이날 국정연설에서는 한국 역시 한차례 언급됐다. 중국 견제를 위한 인도태평양 동맹국들 중 하나로 거론한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리는 중국의 불공정한 경제 관행에 맞서고 있다. 대만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서있다"면서 "태평양의 인도, 호주, 일본, 한국, 도서국 등과의 파트너십을 활성화했다"고 강조했다.

이어서는 "미국의 최첨단 기술을 중국에서 사용할 수 없도록 했다"며 "나는 중국과의 갈등이 아니라 경쟁을 원한다"고 말했다.

남북을 '적대적 두 국가'로 규정하고 러시아와 군사협력을 심화하고 있는 북한은 이날 연설에서 언급되지 않았다.

바이든 대통령이 국정연설에서 북한을 언급하지 않고 넘어간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그는 지난해와 2022년에도 국정연설 당시 북한에 관해 별도로 시간을 내어 언급하지 않았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