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274억 투입 '지능형 항만 유지관리 기술' 개발
정보통신기술 기반 항만인프라·스마트 재해대응
[서울=뉴시스] ICT기반 항만인프라 스마트 재해대응 기술개발 R&D 개요도.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올해부터 항만시설물의 유지·관리에 활용되는 'ICT(정보통신기술) 기반 항만인프라 스마트 재해대응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앞으로 항만의 노후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재해·재난을 사전에 예방하는 등 항만시설물의 똑똑한 유지·관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해수부는 5년간(2021~2025년) 274억원을 투입해 ▲노후화 진단 ▲스마트 유지보수 및 관제시스템 기술개발 ▲항만인프라 무인원격 시공지원 시스템 기술개발 등 지능형 항만 유지관리 기술을 개발한다.
우리나라는 경제 성장기와 맞물려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수출입 물동량을 처리하기 위해 1970~1980년대에 항만시설을 집중 건설했다. 이에 따라 시설물 수명이 도래하는 2020년대에 들어서면서 노후 항만시설물 관리 수요가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미 교량, 댐 등의 사회기반시설(SOC) 분야에서는 효율적인 시설물 관리·운영이 가능한 스마트 유지관리 시스템 구축 사업을 착수했으나, 항만 분야에서는 육안 확인, 현장 점검 등 전문인력의 경험에 의존한 재래식 방식으로만 관리·운영되고 있다.
이에 해수부는 한국판 뉴딜 사업의 일환으로 ICT 기반 항만인프라 스마트 재해대응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해 항만시설물의 상태변화 등을 예측·분석하고, 최적의 보수·보강 시점을 제시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지난 4월 공모를 통해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과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을 이 사업의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했다. 주관연구기관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서울시립대학교, 부산항만공사, 인천항만공사 등과 협의체(컨소시엄)를 구성해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연구기관에서는 스마트 센서 등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해 항만시설물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항만의 노후도, 잔여 수명 등을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 사업이 성공적으로 완수되면 항만시설물 손상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고, 점검 사각지대도 해소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태풍 등 재난·재해 발생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항만 피해복구 현장에서 스마트 센서, 무인 로봇 등을 활용해 안전하게 공사할 수 있는 여건도 조성될 예정이다.
해수부는 2022년까지 이번 사업의 개념설계를 마치고, 데이터 확보, 알고리즘 개발, 시스템 설계 및 시험 실증을 거쳐 2026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상호 해수부 항만개발과장은 "이번 사업을 시작으로 항만시설 유지보수 분야에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본격적으로 도입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 사업을 통해 그간의 재래식 유지관리 방식에서 탈피하여 보다 똑똑한 항만 유지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