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친환경·신재생이 미래다⑤]미세먼지 해답·차세대 먹거리…'친환경 에너지'서 찾는 공기업들

등록 2019.12.22 06:00:00수정 2020.01.06 09:17:1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탄소 배출량 적은 LNG·태양광에 매진

미세먼지 줄이고 '저산소 시장' 공략도

가스공사, LNG 벙커링 사업 적극 추진

"LNG 화물차·연료전지 등으로도 확대"

한수원, 농가 태양광 발전 시스템 준공

새만금 세계 최대 수상 태양광 사업도

[세종=뉴시스] 김진욱 기자 = 에너지 공기업들이 친환경 에너지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탄소 배출량이 현저히 적은 액화천연가스(LNG)·태양광 등이다.

이런 친환경 에너지원 기술 개발에 매진해 단기적으로는 미세먼지 감축 등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세계 저탄소 시장에서 차세대 먹거리를 찾겠다는 목표다.

[세종=뉴시스] 국내 최초 액화천연가스(LNG) 추진 선박인 인천항만공사 '에코누리'호에 LNG를 주입하고 있다. (사진=한국가스공사 제공)

[세종=뉴시스] 국내 최초 액화천연가스(LNG) 추진 선박인 인천항만공사 '에코누리'호에 LNG를 주입하고 있다. (사진=한국가스공사 제공)


한국 대표 에너지 공기업 한국가스공사는 선박에 경유 등 대신 LNG를 주입하는 'LNG 벙커링(Bunkering)' 사업 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020년 이후 선박 연료의 황 함유량을 기존 3.5%에서 0.5% 이하로 낮추라"는 해운 규제 'IMO 2020' 시행이 열흘 앞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역사상 가장 강력한 해운 규제로 꼽히는 IMO 2020은 세계 모든 선박에 적용된다. 이미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는 자국 연안을 선박 배출 가스 규제 지역(ECA)으로 지정해 선박 연료의 황 함유량을 0.1% 이하로 낮추도록 강제하고 있다.

널리 알려져 있지 않지만 선박으로 인한 대기 오염은 심각한 수준이다. 컨테이너선 1척이 경유 차량 5000만대분의 황산화물과 트럭 50만대분의 초미세먼지(지름 2.5㎛ 이하)를 배출한다. 이에 따라 한국 최대 항만 도시인 부산은 황산화물과 초미세먼지 농도가 내륙 도시보다 높다.

이런 상황에서 가장 각광받는 해답은 LNG다. LNG는 기존 연료 대비 황산화물과 분진 배출은 100%, 질소산화물은 15~80%, 이산화탄소는 20%, 미세먼지는 90%까지 줄일 수 있다. 선박용 국제 환경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친환경 연료라는 평가다.

대형 항만이 인접한 지방자치단체들도 LNG 벙커링에 주목하고 있다. 부산시는 LNG 벙커링 터미널을 신항 남 컨테이너 부두 인근에 건설할 예정이고 경남도도 친환경 LNG 벙커링 클러스터(Cluster·집적지)를 구축할 계획이다. 울산시도 LNG 추진선 기술 고부가가치화·울산항 LNG 벙커링 기반 시설 구축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가스공사는 선박용 천연가스 사업 신설과 규제 완화를 주된 내용으로 하는 도시가스사업법 개정(안)을 마련했고 지난해 7월에는 부산항 LNG 공급 체계 구축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LNG 추진선 연료 주입을 돕는 로딩 암(Loading Arm) 4기를 통영 인수 기지에 설치하고 제주 애월 기지에는 LNG를 수송할 제주 2호선에 벙커링 기능을 탑재했다.

가스공사는 LNG 벙커링 시장 공략을 위해 선박용 천연가스 산업 발굴과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LNG 벙커링 사업을 시작으로 LNG 화물차, 연료전지, 가스 냉방 등 다양한 친환경 연료 전환 사업으로까지 확대해나가겠다는 각오다.


[세종=뉴시스] 한국수력원자력이 전남 영광 홍농읍 산덕마을 인근 농지에 설치한 한국형 영농 병행(밭 농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 (사진=한수원 제공)

[세종=뉴시스] 한국수력원자력이 전남 영광 홍농읍 산덕마을 인근 농지에 설치한 한국형 영농 병행(밭 농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 (사진=한수원 제공)


다른 대형 에너지 공기업인 한국수력원자력의 관심사는 태양광이다. 한수원은 지난 7월 전남 영광 홍농읍 산덕마을 인근에 100㎾급 영농 병행(밭농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준공했다. 작은 태양광 모듈을 사용하는 '일본형'이 아닌 일반 태양광 모듈을 쓰는 '한국형'이다.

농지 지면에서 태양광 모듈까지 높이와 구조물 간 간격을 충분히 확보해 햇볕이 잘 들고 이양기·트랙터·콤바인 등 농기계가 드나들기 쉽다는 것이 한수원의 설명이다. 한수원은 이 영농 병행 태양광 발전 시스템으로 농가가 농사와 전기 판매를 동시에 할 수 있어 마을이 200만~250만원의 월수입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수원은 지난 2017년 경기 가평 청평수력발전소 인근 부지에 73㎾급 농가 참여형 태양광 발전소 실증 사업을 시작해 성공적으로 끝낸 바 있다. 발전소를 설치해 수확량이 급격히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를 깨고 일반 농지 대비 80%의 수확량을 유지, 사업성을 확인했고 영농 병행 태양광 발전 시스템 특허를 획득했다.

한수원은 전북 군산 새만금에서 수상 태양광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300㎿급 수상 태양광 시설 및 2.1GW급 계통 연계 사업을 위해 오는 2020년 상반기까지 공유 수면 점·사용 허가 등 인허가를 완료할 예정이다. 사업이 끝나면 새만금은 세계 최대 규모의 수상 태양광 발전 단지가 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