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에너지 新생태계, 지속가능이 핵심이다]농촌 공공시설을 에너지자립 모델로…제로 에너지 도전

등록 2020.03.22 09: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농어촌공사 '에너지자립 모델 실증지원 시범사업'

노인정·마을회관에 재생에너지 입혀 효율등급↑

이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 연관 없음.

이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 연관 없음.


[세종=뉴시스] 위용성 기자 = 농림어업분야에서도 전통 에너지원이 아닌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활용 시도가 한창이다. 한국농어촌공사는 농촌 지역의 공공생활시설을 에너지자립 모델로 리모델링해 제로(0) 에너지에 도전한다.

22일 농어촌공사에 따르면 공사는 올해 '에너지자립 모델 실증지원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정부의 제로에너지 건축물 단계적 의무화 정책에 따라 농촌 지역의 마을 회관 등 공공생활시설을 에너지자립 모델로 탈바꿈하는 것이다. 기존 농림축산식품부 연구개발(R&D)사업으로 마련된 표준모델을 이번 사업을 통해 실증 추진하는 사업이다.

지방자치단체가 신청한 농촌 공공생활시설에 단열과 열원설비 등 패시브·액티브, 태양광·태양열·지열 등 재생에너지 기술을 적용해 이산화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업예산은 6억2000만원으로 대상지는 전북 장수군과 울산 울주군 등 2개소가 선정됐다. 장수에선 송탄 마을회관, 울주에선 송대리 내곡회관 등이 에너지자립 모델로 변신을 앞두고 있다. 이곳에는 단열·창호·기밀·환기·수장 공사와 열원설비 공사, 태양광·열 패널 설치 공사 등이 시행되고 에너지 시뮬레이션 등 성능진단이 실시될 예정이다.

농어촌공사는 이번 사업을 통해 농촌 공공생활시설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 등급을 1++로 높인다는 목표다. 올해 시범사업을 거쳐 2021년에는 정부와 협의를 거쳐 사업을 보다 확대할 계획이다.

농어촌공사는 또 자연에너지인 지하해수 활용도 제고에도 나선다. 최근 지하해수가 육상 양식장에서 활용되면서 경영비 절감은 물론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보면서 중요한 자원으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하해수는 지하로 스며든 바닷물이 담수와 섞여 연중 14~15℃의 일정한 수온을 유지하는 데다 미네랄과 영양염류가 풍부하다.

농어촌공사는 지난 2010년부터 우리나라 해안지역의 개발가능적지를 조사해 118곳에 대해 이용방안을 제시했다. 약 280개 육상양식장과 종묘장 주변에서 지하해수가 확인됐고, 지하해수 부존을 확인한 어가에선 개별적으로 지하해수를 냉난방용수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적조, 폭염, 한파가 발생할 때 비상용수로도 이용하면서 재해피해 예방과 운영비 절감에도 효과를 보고 있다.

지하해수 활용으로 온실가스 배출도 줄였다. 수온 유지를 위해 5℃의 바닷물을 15℃로 가열해 하루 1000㎥를 사용할 경우 한 달 평균 3만ℓ(리터)의 벙커C유가 들어간다. 그러나 연중 15℃를 유지하는 지하해수의 경우 가열할 필요가 없어 절감한 유류만큼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줄어들게 된다. 농어촌공사는 한 달 약 89t(톤)의 이산화탄소 배출 절감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추산한다.

농어촌공사는 "향후 2025년까지 총 200지구, 1000여개 양식어가를 조사해 지하해수 활용을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