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이 사람 확진자", "저 사람 n번방"…신상털기 낙인 시대

등록 2020.03.31 14:33:5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사진·이름·이력 등 다양 정보 온라인 등 확산

코로나19 관련 신상털기도…확진자 등 대상

조롱·비난 병행…주변인 신상털기도 이어져

엉뚱한 정보확산 피해도…구제도 쉽지 않아

"책임개인 집중사회 단면", "집단 배제 일환"

[서울=뉴시스]김선웅 기자 = 지난 25일 텔레그램 '박사방' 운영자로 알려진 조주빈(25)이 서울 종로경찰서를 나서고 있다. 2020.03.25.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김선웅 기자 = 지난 25일 텔레그램 '박사방' 운영자로 알려진 조주빈(25)이 서울 종로경찰서를 나서고 있다. 2020.03.25.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심동준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텔레그램 '박사방'·'n번방' 사건등과 관련해 특정인 개인정보를 찾아 공개하는 일명 '신상털기'가 연이어 기승을 부리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전염 확산 예방, 성착취물 이용자 공개 등 정당한 명분을 앞세우지만, 결국 무차별적으로 퍼지다보면 오해와 억울한 피해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31일 온라인 등에서 특정 개인에 대한 신상털기는 현재 진행형이다. '박사방', 'n번방' 등 성착취물 유통 사건에 대한 사회적 공분 속에서 관련자로 추정되는 인물 정보를 물색해 퍼뜨리는 행위 등이 만연한 모양새다.

확산되는 정보는 특정인 사진, 주소, 전화번호,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주소, 이력 등으로 다양하다. 이 같은 신상 정보는 해당 인물이 '박사방' 등 성착취물 사건과 관련 있을 수 있다거나 이용자였다는 취지의 추측과 함께 유포된다.

정보 취득 과정은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온라인상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가 있는가하면, '함정' 성격의 대화방을 직접 개설해 신상 등을 확보한 뒤 유포하는 등의 경우도 있었다고 전해진다.

신상털기 문제는 코로나19 국내 확산세가 뚜렷해지던 시기에도 부상했다. 확진자 SNS 계정이나 개인 신상을 찾아 퍼뜨리는 등 행위가 벌어져 피해를 호소한 사례도 있었다고 한다.

신상털기에는 개인정보 유포와 더불어 대상자에 대한 조롱 등이 수반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나아가 주변인 정보까지 신상털기의 대상으로 삼아 같은 행위가 되풀이되기도 한다는 전언이다.

수사기관은 신상털기와 개인정보 유포 등에 위법 소지가 있다고 보고 수사에 나선 상황이다.

경찰은 '박사방' 등 성착취물 사건과 관련한 일반인 개인정보 침해 문제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상황이고, 코로나19 관련 허위·조작 정보 확산 경로에 대한 수사도 진행하고 있다.
[서울=뉴시스] 박민석 기자 = 지난 10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서울 구로구 코리아빌딩 선별진료소 모습. 2020.03.10. mspark@newsis.com

[서울=뉴시스] 박민석 기자 = 지난 10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서울 구로구 코리아빌딩 선별진료소 모습. 2020.03.10. [email protected]

사회 일각에서는 다중의 관심이 집중되는 사안과 관련해 벌어지는 무차별적 신상털기와 무신경한 주변 정보 전파 행위를 경계하는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특히 검증 없이 엉뚱한 사람의 정보가 퍼지면서 불의의 피해가 발생하는 사례가 있는데, 이런 경우 구제 또한 쉽지 않아 더 큰 문제라는 지적이 있다.

일례로 '박사방' 운영자로 알려진 조주빈(25·구속)의 신상이 공개되기 전 다른 사람 정보가 조주빈이라며 온라인 등을 떠돈 바 있다. 사진과 이름·휴대전화 번호 등으로 조합된 일부 게시물에는 대상자가 사실상 범죄자로 지칭된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처럼 신상털기가 반복되는 배경을 사회적 분위기에서 찾고 있다. 구조적 차원의 접근보다는 책임 있는 개인을 찾아 집단에서 배제하려는 현상의 단면으로 볼 수 있다는 시선이다. 

익명을 요구한 서울시내 대학 한 사회학과 교수는 "비난을 가해도 된다는 사회적 합의가 있었다고 판단해 개인을 찾아 공격하는 모습"이라며 "책임의 원인 주체를 개인에 집중하는 사회 분위기가 반영된 양태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사회 커뮤니케이션 분야를 전공한 다른 대학 교수는 "사회를 정상, 비정상으로 이분해 지배적 코드에 맞지 않으면 배제하는 현상의 일환"이라며 "공동체 기준에 맞지 않으면 차별, 응징해도 된다는 생각을 배경으로 해 나타나는 모습일 수 있다"고 해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