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친할아버지, 외할버지 말고...'우리, 뭐라고 부를까요'

등록 2020.04.02 18:16:0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국립국어원, 시대변화 요구 맞춘 가족간 호칭 지칭어 제시

[서울=뉴시스]'우리, 뭐라고 부를까요?'. (사진 = 국립국어원 제공) 2020.04.02.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우리, 뭐라고 부를까요?'. (사진 = 국립국어원 제공)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임종명 기자 = "친할머니, 외할아버지 대신 효자동 할머니, 광주 할아버지라고 해도 돼요."

"나보다 서열이 낮지만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는 '~님'을 붙여도 돼요" "도련님, 서방님, 아가씨도 각자의 판단에 따라 'OO 삼촌/고모'나 'OO씨'라고 부를 수 있어요"

국립국어원이그간 사용됐던 남녀 차별적 표현 담긴 가족 간 호칭·지칭어를 대신할 내용을 제시했다.

국립국어원은 2일 시대변화에 맞춰 새로운 호칭이나 지칭어를 담은 '우리, 뭐라고 부를까요?'를 발간했다고 2일 밝혔다.

가족 형태가 바뀌고 수평적 인간관계를 추구하는 사회로 바뀌었지만 가족들 간 호칭·지칭하는데 있어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이에 언어 예절에 있어서도 유연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우리, 뭐라고 부를까요?'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고자, 국립국어원이 2017년부터 벌인 실태조사와 정책 연구 결과를 담고 있다. 반드시 어떤 호칭이나 지칭어를 써야 한다는 틀에서 벗어나 서로 배려하고 자유롭게 소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국립국어원은 친할머니나 외할아버지라는 표현을 예로 들며 "전통언어 예절에서는 아버지 쪽은 가까움을 뜻하는 '친(親)-'을 쓰고, 어머니 쪽은 바깥을 뜻하는 '외(外)-'를 써서 구분해 왔는데, 지역 이름을 넣어 친·외가 구분 없이 표현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또 "가족 간에 나이와 서열이 역전되는 경우에는 호칭이나 지칭 뒤에 '조카님', '처제님', '동서님'처럼 '-님'을 붙여 존중하는 뜻을 나타낼 수 있다"고 말한다.

국립국어원은 남녀 차별적 호칭으로 관심을 모았던 '도련님', '서방님', '아가씨' 등의 호칭은 자녀와의 관계에 기대어 'OO(자녀이름) 삼촌/고모' 등으로 불러도 되고, 관계가 친밀하다면 'OO씨'라고 부르거나 이름을 직접 부를 수 있다"고도 했다.

소강춘 국립국어원장은 "'우리, 뭐라고 부를까요?'는 정답이나 규범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전통적인 호칭, 지칭어에 얽매여 우리 사회가 굳이 치르지 않아도 될 갈등과 혼란을 줄이는 데에 이 책이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우리, 뭐라고 부를까요?'는 국립국어원 누리집(홈페이지)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