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기자수첩]2030의 절규...정부·기업 '일자리 창출' 전력해야

등록 2020.04.24 18:43: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기자수첩]2030의 절규...정부·기업 '일자리 창출' 전력해야

[서울=뉴시스] 김종민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항공·조선 등 주력 산업이 무너지면서 '고용대란'은 걷잡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기간산업의 위기는 전후방 산업인 기계, 철강, 전자 등은 물론 중소기업 등 제조업의 근간을 흔들고, 서비스산업으로 파급되면서 수 백 만개의 일자리가 휘청이고 있다.

이에 청와대와 정부도 상황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지난 22일 5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한국판 뉴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선언했다. 기간산업안정기금 40조원과 함께 긴급고용안정대책 10조원을 투입하겠다는게 골자다.

늦은감이 있지만 이제라도 청와대와 정부가 고용 문제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는 점은 환영할만 하다. 심각한 청년실업난 속에서도 정부와 정치권이 취업난 해소에 선제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는 흔적이 그간 별반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제는 투입할 재원을 바탕으로 어떻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실효성 있는 세부 대책이 신속히 나와야 한다.

고용절벽을 체감하는 청년 구직자들의 마음은 하루하루 타들어만 간다. 이미 수년째 장기화된 청년실업난 속에 코로나19까지 겹쳐 취업문은 더욱 좁아졌다.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채용이 재개되는 모습이지만 대다수의 기업은 코로나19에 따른 실적 감소로 여전히 채용 여부를 정하지 못하고 있다.무급휴직, 단축근무, 임금삭감 등 비상대책을 강구했어도 현상유지가 벅찬 기업들도 상당수다.

청년 일자리 위기 극복을 위해선 정부의 기업 지원과 기업의 고용 유지 노력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

정부가 국내외 상황과 산업특성을 고려해 지원대상 업종과 지원규모에 대해 재정투입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세부대책을 마련해 기업이 자금난을 해소하고 위기를 극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우선이다.

기업들도 국민들의 혈세로 지원이 이뤄지는 만큼 사회에 첫발을 내딛어야 할 시기에 '가혹한 봄'을 맞이한 청년들의 절규에 어느 때보다 귀를 더욱 기울여야 한다.

이달 초 부산지역의 한 긴급민생지원금 지급 업무보조 청년 단기 일자리 205명 모집에 취업 준비생 등 3122명이 지원해 15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단순보조 업무라도 하면서 생계를 유지하고 구직활동을 이어가려는 20, 30대들 청년들의 절박한 심정이 읽힌다.

마찬가지로 이번에 언급된 '최대 6개월간 일하는 IT부문 공공 일자리 10만개'는 정부의 실업 통계를 낮출 수 있을진 몰라도 근본적인 청년 고용대책이 될 순 없다. 청와대와 정부 측 표현처럼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때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