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광주·전남, 초3·4, 중2, 고1 11만여 명 등교수업

등록 2020.06.03 16:18: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복도 카페트, 마스크 걸이, 복도분리대 등 안전조치

[광주=뉴시스] 송창헌 기자 = 광주·전남지역 초등학교 3·4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1학년 등 11만여 명이 3일 코로나19로 원격수업이 진행된 지 94일 만에 등교했다. 광주지역 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등교 모습. (사진=광주시교육청 제공) 2020.06.03photo@newsis.com

[광주=뉴시스] 송창헌 기자 = 광주·전남지역 초등학교 3·4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1학년 등 11만여 명이 3일 코로나19로 원격수업이 진행된 지 94일 만에 등교했다. 광주지역 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등교 모습. (사진=광주시교육청 제공) [email protected]


 [광주=뉴시스] 송창헌 기자 = 광주·전남지역 초등학교 3·4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1학년 등 11만여 명이 3일 코로나19로 원격수업이 진행된 지 94일 만에 등교했다.

광주에서는 5만8000여 명, 전남에서는 5만9000여 명이 온라인 수업을 접고 오프라인 집합 수업을 받았다.

이로써 광주에서는 전체 학생 17만6400명 중 15만8000여 명아 등교수업을 하게 됐고, 오는 8일 중1, 초5∼6학년까지 등교하면 모든 학교의 등교수업이 마무리된다.

전남에서는 지난 20일, 27일에 이어 이날까지 전체 20만6천943명의 80% 수준인 16만3000여 명이 등교수업에 나섰다.

수도권이나 대구·경북에 비해 코로나19 청정지역으로 분류되는 광주·전남에서는 이날 오전 대부분 학교에서 안정적으로 등교가 이뤄졌다. 확진자나 심각한 유증상자도 발생하지 않았다.

초·중학교는 지난주부터 등교수업이 시작돼 학생과 교직원이 등교 시 거쳐야 하는 방역 절차와 역할을 1주일 동안 경험하면서 익숙해진 탓에 혼란이 덜했다.

특히 고등학교는 2주 전 고3을 시작으로 등교수업을 시작하면서 매주 미비점을 보완해 모든 학년 등교수업에 대비해 왔다. 학년별 시차등교를 안내해 등교 시 밀집도를 최소화하고, 발열 체크와 손소독 등을 철저히 하는 등 학생과 교직원이 감염 예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학부모도 꾸준히 등교수업 1주일 전부터 매일 건강상태 자가진단을 실시해 발열이나 코로나19 유사 증상 등을 스스로 진단하고 이상 여부를 제출하는 등 가정에서부터 건강관리에 만전을 기했다.

등교수업이 본격화되면서 각 학교에서는 학생안전과 교육과정 운영의 안정화를 위한 다양한 조치들이 시행됐다.

광주 대성초교는 1층 현관에서 실내화를 갈아 신고, 열화상카메라 측정을 받는 혼잡을 줄이기 위해 '녹색카페트'를 실내에 깔아 운동화를 신은 채 복도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무등중은 학급 내 학생 책상 가림막을 설치해 수업 중에도 학생 간 비말이 옮기지 않도록 조치했고, 급식실 탁자에 마스크 걸이를 설치해 음식을 먹는 도중 마스크를 벗어 걸어 놓음으로써 마스크 오염을 줄이고 보관의 편리성을 높였다. 

금호고는 교실 청소함과 정리함 등 기자재를 복도로 옮겨 교실공간을 최대로 확보하고 학생 간 이격거리를 넓혔다. 또 밖으로 뺀 기자재는 복도중앙에 배치해 학생 이동로를 분리함으로써 학생 간 접촉과 밀집을 최소화하는데 활용했다.

또 보건지원인력이 학교별로 20학급 이하 1명, 21~30학급 2명, 31~40학급 3명, 41학급 이상 4명이 배치돼 학생 안전과 방역 업무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이들은 등교 시 발열체크, 일시적 관찰실 지원, 실내 환기, 문손잡이 등 수시소독, 급식실 학생지도 지원 등 등교수업 시 필요한 다양한 학생 안전조치를 지원하면서 교직원 업무 경감과 학생 안전을 함께 지키고 있다.   

장휘국 광주교육감은 "앞으로 남은 학년까지 등교수업에 차질이 없도록 방역과 교육과정 운영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장석웅 전남교육감은 "코로나19가 아직 종식되지 않은 만큼 예방 수칙과 거리두기를 철저히 지키는 것 외에 달리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