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예방의학 교수 "학교內 확진자 0명보다 안전한 복귀가 중요"

등록 2020.07.02 19:13:1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김종연 경북대병원 예방의학과 교수 제안

환자 발생→학교 폐쇄 대신 "장기화 대비"

[서울=뉴시스]김종연 경북대학교병원 예방의학과 교수(사진)는 2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민주당 강민정 의원이 주최한 '코로나 시대 유·초·중·고 방역 대책, 이대로 괜찮은가' 토론회 기조발제에서 학교 내 학생 환자 '제로(0)' 전략 대신 감염돼도 안전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당국의 방역 전략을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사진=강민정 의원실 제공) 2020.07.02.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김종연 경북대학교병원 예방의학과 교수(사진)는 2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민주당 강민정 의원이 주최한 '코로나 시대 유·초·중·고 방역 대책, 이대로 괜찮은가' 토론회 기조발제에서 학교 내 학생 환자 '제로(0)' 전략 대신 감염돼도 안전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당국의 방역 전략을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사진=강민정 의원실 제공) 2020.07.0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정현 기자 = 2학기에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이 계속될 것이 확실시되는 상황 속에서 예방의학 전공 교수가 학교 내 학생 환자 '제로(0)' 전략 대신 감염돼도 안전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당국의 방역 전략을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종연 경북대학교병원 예방의학과 교수는 2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민주당 강민정 의원이 주최한 '코로나 시대 유·초·중·고 방역 대책, 이대로 괜찮은가' 토론회 기조발제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교수는 "개학 여부 결정 기준이 방역적 판단이 아니라 정치적 압박에 따라 결정됐다는 느낌을 걷어들일 수 없었다"며 "대응 지침이 자주 바뀌었고 학교 현장에서는 엄청난 혼란이 있었다"고 교육당국의 등교 결정을 비판했다.

 김 교수는 "기본적으로 학교는 학생들에게 다시 열리는(reopen)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늦었지만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학교 폐쇄가 대규모 유행을 대비하는 억제 전략의 하나로 다수 국가에서 활용하고 있지만 학생과 교사에게 큰 피해를 야기하기 때문에 오래 지속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유네스코(UNESCO)도 코로나19로 학교를 폐쇄할 경우 학습 중단과 학생들의 영양 불량은 물론 부모들의 학습 부담 증가, 중도탈락 학생, 사회적 고립 등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한다고 우려한 바 있다.

김 교수는 독일, 프랑스, 덴마크 등 일부 유럽 국가들도 강력한 거리두기 조치를 해제하기에 앞서 학교의 문부터 열었다는 점도 근거로 들었다. 지역감염이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백신과 치료제가 나오기까지 남은 시간이 긴 지금에는 장기전을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확진자가 학교에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실패할 수밖에 없고 책임은 누군가가 져야 한다"며 "무엇을 최우선에 두고 준비할 것인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현장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환자가 발생하면) 즉각적으로 대응해서 안전하게 복귀할 수 있는 (학교의) 대응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위험은 감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교의 문을 계속 열더라도 방역 수칙은 준수해야 한다는 점을 전제했다. 학생과 교직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충분한 준비와 계획이 필요하고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마스크를 안 끼면 어떻게 하느냐는 게 아니다. 철저한 방역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당연하다"며 "다만 학교의 구성원에게 코로나19는 누구나 걸릴 수 있지만 극복하고 다시 돌아오면 우리가 받아들일 수 있다는 대응 전략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학교 내 의료인인 보건교사가 불필요한 공문에 시달리면서 방역업무에 매진하는 상황부터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단기적으로는 학교 감염병 예방도우미, 보건실 지원인력을 확충하고 업무를 재배치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지침과 Q&A(질의응답) 자료 배부, 교육청 단위의 전문가 소통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꼽았다.

장기적으로는 지난해 4월 기준 전국 학교 61.8% 수준으로 배치된 보건교사를 모든 학교에 의무 배치하도록 학교보건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보건교사와 보건의료 전문가들도 이 같은 의견에 공감했다. 전략의 전환에 앞서 교육부의 구체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경희 성동구보건소 소장은 "감염병 전문가들은 내년까지도 지속적으로 코로나 감염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며 "코로나19를 경계하고 조심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확진자나 자가격리자에 대한 불필요한 경계심을 갖지 않고 학교사회로 돌아온 이들을 받아들이는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희숙 서울은빛초 교장은 "시의적절한 안내,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한 학급당 학생 수 감축, 유관기관의 네트워크 지원 시스템 구축이 있으면 가능하다"며 "김 교수의 주장처럼 환자 발생 제로가 아닌, 발생하더라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