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46번째 생일 맞은 지하철 1호선…'서울 미래유산' 됐다

등록 2020.08.14 11:15: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1974년 8월15일 첫 개통해 운행도

역사 리모델링으로 이미지 변신중

[서울=뉴시스] 서울지하철 1호선 개통 당시 모습. (사진=서울시 제공) 2020.08.14.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서울지하철 1호선 개통 당시 모습. (사진=서울시 제공) 2020.08.1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윤슬기 기자 = 1974년 8월15일 서울역-청량리 구간이 첫 개통돼 46번째 생일을 맞이한 서울지하철 1호선이 서울시의 '8월 미래유산'으로 선정됐다.

14일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서울 지하철 건설이 처음 언급된 것은 일제 강점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920년대 말 서울 인구가 100만 명을 넘어서자 전차와 버스로 도시교통을 감당하기 어려워질 것을 우려해 논의가 시작됐다.

1930년대 말 일제는 본격적인 지하철 건설 계획을 수립했다. 성동역(현 제기동역 인근)~동대문역 구간을 멎저 짓고 이후 경성역까지 연장하겠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중·일 전쟁을 시작으로 일제가 철근·시멘트 등 건축자재를 전부 전쟁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통제하면서 지하철 건설은 중단된다.

1964년 윤치영 서울시장이 국회 교통체신분과위원회에 제출한 '서울 교통 문제 해결책'에 지하철 건설 계획이 언급되면서 다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됐다.

서울시는 1965년 '서울 시정 10개년 계획'을 통해 '향후 10년 내에 4개 노선 51.5㎞의 지하철을 건설하겠다’라는 방침을 발표한다. 이후 김현옥 서울시장의 지휘 아래 지하철 건설 준비를 시작했다. 1970년 6월에는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를 발족했다.

1974년 4월12일 서울역~종각역 구간에서 첫 시운전을 무사히 진행됐다. 같은해 8월15일 광복절에 서울 지하철 1호선(종로선)이라는 이름으로 개통했다. 서울역부터 청량리역까지 9개역 7.8㎞ 구간을 5분 간격으로(출·퇴근 시간 기준) 달리는 우리나라 최초의 지하철이다.

이후 9개역을 계속 운행해 오다 지하철 6호선과의 환승을 위해 지어진 동묘앞역이 2005년 12월 문을 열면서 총 10개역으로 확장돼 현재의 모습에 이르게 됐다.

개통 당시 전동차는 6칸을 한 편성으로 구성해 총 10개 편성을 일본 히타치중공업에서 들여왔다. 1세대 전동차라 불리는 차량으로 교·직류 겸용 저항제어 전동차였다. 외관은 폭 3.2m·길이 20m에 선두부 관통문과 출입문 4개가 있었다. 바탕은 크림색·창틀은 빨간색인 통근형 열차였다.

1977년에서 1978년 사이 대우중공업이 해외 기술제휴를 통해 최초로 국산 전동차를 36칸 제작해 1호선에 도입한다. 1981년에는 한 편성을 8칸으로 늘렸다. 1989년에는 대우중공업과 현대정공에서 64량을 추가로 도입하고 한 편성을 10칸으로 늘렸다. 현재 1호선 전동차는 10칸을 1편성으로 구성돼 16편성이 있다. 총 전동차 수는 160칸이다.
[서울=뉴시스] 개통 당시 도입된 1호선 전동차들. (사진=서울시 제공) 2020.08.14.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개통 당시 도입된 1호선 전동차들. (사진=서울시 제공) 2020.08.14. [email protected]

지하철 1호선은 오랜 기간 달려온 만큼 다양한 기록도 남겼다.

개통 이후 지난해까지 46년간 1호선이 달려온 총 운행거리는 약 9100만㎞다. 지구 둘레가 약 4만㎞이니 환산하면 1호선은 지금까지 지구를 총 2275바퀴 돈 셈이다.

열차 운행횟수 역시 첫 해 2만회를 기록했다. 지금은 지난해 기준 59만회로 크게 늘어났다. 누적 운행횟수는 총 2300만회다. 직결운행하는 한국철도(코레일) 차량의 운행횟수까지 합치면 3200만회다.

이용객들의 연령대를 살펴보더라도 다른 호선 대비 65세 이상 어르신 승객들이 많은 편이다. 특히 인근에 약령시장이 위치한 제기동역은 연간 이용객 746만명 중 어르신 승객이 356만명으로 절반에 육박해 서울 지하철 역 중 가장 높은 어르신 이용 비율을 기록했다.

공사는 1호선의 낡고 오래된 이미지를 바꾸고 이용객들의 편의를 개선하기 위해 1호선 역사를 단계적으로 리모델링하고 있다. 시청역의 리모델링이 2014년 완료됐다. 올해는 '문화예술철도' 사업의 일환으로 동대문·종로5가·신설동역의 리모델링이 진행되고 있다.

공사는 "서울지하철 1호선은 지금도 서울 도심에서 하루 50만명 가까이 수송하는 황금 노선이자 국내 지하철의 역사가 그대로 담겨있는 역사적 유물"이라며 "지속적인 관리와 개선을 통해 100년 넘게 이어질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