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내년 상반기 집값 상승' 응답 69%…하락은 7.51% 그쳐

등록 2020.12.03 14:09:16수정 2020.12.03 14:44:5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부동산114, 전국 1439명 대상 설문조사

전세가격, 77% 상승…5.42%는 하락 예상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사진은 2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이 보이고 있다. 2020.12.02. bjko@newsis.com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사진은 2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이 보이고 있다. 2020.12.0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혜원 기자 = 부동산 시장 참여자 10명 중 7명은 내년 상반기 주택 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3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114가 지난달 전국 1439명을 대상으로 '2021년 상반기 주택 시장 전망' 설문조사(신뢰수준 95%에서 ±2.58%)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9%가 주택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답했다.

직전 조사에서 49%가 주택가격 상승을 점친 것과 비교하면 상승 비중이 크게 늘었다.

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 중 45.52%는 서울 등 수도권 아파트가격 상승을 이유로 꼽았다. 올해 상반기부터 서울과 서울 접근성이 좋은 경기, 인천 지역들이 시세 상승을 주도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음으로는 서울 도심의 공급부족 심화(27.69%), 덜 오른 지역에 대한 풍선효과(16.14%), 2021년 상반기 국내 경기 회복 전망(4.38%), 아파트 분양시장 활성화(3.59%) 등을 꼽았다.

내년 주택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한 응답은 7.51%에 불과했다.

이들은 거시경제 침체 가능성(26.85%)을 주요 이유로 답했다.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국내는 물론 글로벌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로 전환 됐고, 부동산 같은 실물 경기 침체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는 분위기다.

다음 하락 요인으로는 세금 부담으로 인한 매도물량 증가(25.00%), 가격 부담에 따른 거래 부족(21.30%), 임대사업자 및 다주택자 매물 증가(10.19%), 대출규제로 매수세 약화(8.33%), 사전 청약 및 공공주택 공급 기대(7.41%)를 꼽았다.

전세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77%에 달했다. 이들 중 31.09%는 임대차법 시행에 따른 영향 때문이라고 답했다. 지난 7월말 시행된 새 임대차법 영향으로 전월세 시장이 재계약 위주로 재편 되면서 전세물건이 눈에 띄게 줄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임대인의 월세선호로 전세물건 공급 부족(24.82%), 서울 등 인기지역 입주물량 부족(19.18%), 매수심리 위축으로 전세수요 증가(17.20%), 청약을 위한 일시적 전세거주 증가(5.56%) 순으로 나타났다.

전세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한 응답은 5.42%였다. 이들 중 33.33%는 높은 전세가로 인해 임차보증금 반환 위험을 주요 이유로 선택했다. 다음으로는 정부의 전월세시장 안정대책 발표 영향(28.21%), 갭투자 영향으로 전세 매물 증가(23.08%), 기존주택 매매전환으로 전세수요 감소(15.38%) 등을 전세 가격 하락 이유로 생각했다.

한편 시장 참여자 10명 중 3명은 대출, 세금 등 정부의 부동산 규제 지속 여부(26.75%)가 내년 상반기의 주요 변수라고 생각했다. 정부가 공시가격의 시세반영 비율을 90% 수준까지 높일 예정이고, 다주택자에 대한 보유세 부담도 기존보다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과 수도권, 광역시 일대 고가주택 소유자들 중심으로 납세 부담감이 커진 상황이다.

또 주요 변수로 국내외 경기회복 속도 등 대외 경제 여건(17.16%), 전세가격 불안 흐름 지속 여부(16.19%) 등을 꼽았다.

부동산114 윤지해 수석연구원은 "정부가 그동안 다양한 규제 정책을 발표했지만 예상과 달리 주택가격이 꾸준히 오르면서 소비자 답변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윤 연구원은 이어 "임대차법 시행 이후 전세가격 상승폭이 매매가격 변동률을 뛰어넘으며 매매가격까지 자극하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며 "조기에 전세가격 불안흐름이 진정된다면 매매시장이 안정될 가능성이 높지만, 조기 진정이 어려워질 경우 전세시장에 떠밀려 매매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