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코로나19에도 한류콘텐츠 소비↑…불시착·기생충·BTS 활약

등록 2021.01.28 10:01:5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 비중. 2021.01.28. (사진 =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 비중. 2021.01.28. (사진 =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이재훈 기자 = 코로나19 위기 속에도 드라마, 예능, 게임 등의 한류 콘텐츠의 소비 비중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해외 한류 소비자들은 주로 온라인·모바일을 통해 한류 콘텐츠를 접촉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8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문체부)·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원장 김용락)이 발표한 '2021년 해외 한류 실태조사'(2020년 기준)에 따르면 한류 소비자들의 분야별 소비 비중은 드라마(29.7%), 미용(뷰티, 27.5%), 예능(26.9%), 패션(24.8%) 순으로 높았다. 방송 콘텐츠 및 이와 연계가 쉬운 분야에서 소비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해 소비가 증가했다고 응답한 한류 콘텐츠 분야는 예능(48.0%), 드라마(47.9%), 게임(45.8%) 등의 순이었다.

문체부는 "코로나19로 물리적 이동이 어려워지면서 영상·게임 등 디지털 콘텐츠들의 소비 비중이 증가한 것"이라고 봤다.

한류 소비자들이 분야별로 가장 선호하는 콘텐츠의 경우, 드라마에서는 '사랑의 불시착'(9.5%), '사이코지만 괜찮아'(4.1%), '부부의 세계'(2.8%) 순이었다.

영화에서는 '기생충'(18.4%), '부산행'(10.2%), '반도'(3.5%)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가수·그룹에서는 방탄소년단(22.0%), 블랙핑크(13.5%), 싸이(2.9%) 순으로 응답 비율이 높았다.
[서울=뉴시스] 선호 한국 드라마. 2021.01.28. (사진 =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선호 한국 드라마. 2021.01.28. (사진 =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email protected]

온라인·모바일 플랫폼, SNS 등을 통해 한류 콘텐츠 소비

한국 드라마와 예능, 영화, 음악, 애니메이션 등을 접하는 경로는 최근 5년간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야들은 전년 대비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을 통한 접촉비율이 모두 증가했다. 2020년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접촉한 비율이 가장 높은 분야는 음악(82.0%)이었다.

문체부는 "텔레비전 등 방송매체에서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으로 주된 콘텐츠 소비 방법이 변화함에 따라, 유력 플랫폼과 연계해 해외 소비자 개인의 소비유형과 세분화된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지속적인 한류 확산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류 콘텐츠 경험자의 한국산 제품 구매의향 높아

또 이번 조사에서는 기존 호감도 분석에 더해 미래 소비 확대 가능성을 종합 고려하는 지표로 '브랜드 파워 지수'를 도입했다. 현재 인기도와 미래 잠재력 지수를 각각 50% 가중치를 적용하여 100점으로 환산한 지표다.

산출 결과, 주로 언어의 불편이 적은 음식(65.3점), 미용(뷰티, 62.4점), 음악(62.0점) 등이 현재 한류를 이끌고 있는 분야로 나타났다. 문체부는 "이 분야들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대표 콘텐츠로서, 향후에도 체계적인 브랜드 관리와 홍보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서울=뉴시스] 선호 한국 영화·배우. 2021.01.28. (사진 =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선호 한국 영화·배우. 2021.01.28. (사진 =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email protected]

또한 한류 콘텐츠 경험 정도가 높을수록 한국산 제품·서비스에 대한 '구매 경험률'과 '구매 횟수', 긍정적 입소문으로 신규 고객을 유치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순 추천 고객 지수', '구매 이용 의향' 정도가 모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문체부는 "이는 지난해 7월 정부가 '신한류 진흥정책 추진계획'에서 제시한 한류를 통한 연관 산업 동반성장 추진방향의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내용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한류 콘텐츠의 호감도 저해 요인으로는 드라마, 예능, 영화, 음악, 애니메이션, 출판 분야 모두 '번역·자막·더빙 등 시청 불편', '어렵고 생소한 한국어', '자국어 번역 미흡' 등 언어적 문제가 1~2위를 차지했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한류 소비자들이 한국어를 한류 콘텐츠의 대표적 상징이자 독자적인 개성으로 인식하는 점 또한 고려해야 한다고 봤다.

문체부는 한류 소비자들이 겪는 언어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콘텐츠 분야별로 양질의 자막과 번역, 더빙 등을 지원하는 관련 사업 규모를 작년 약 29억 원에서 올해 약 40억 원으로 확대한다.

[서울=뉴시스] 선호 한국 가수. 2021.01.28. (사진 =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선호 한국 가수. 2021.01.28. (사진 =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email protected]

동시에 전 세계 세종학당 개소 수, 한국어 교원 파견 등도 늘린다. 비대면 한국어 학습을 위해 온라인 학습 지원, 모바일 응용프로그램(앱) 확대 등에도 힘쓴다.

이번 조사는 리서치랩이 지난해 9월24일부터 11월4일까지 온라인으로 해외 18개국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 8500명을 대상으로 했다. 조사국가는 중국, 대만, 일본,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인도, 베트남, 호주,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터키, 영국, 프랑스, 러시아, UAE, 남아공 등이다.

'2021년 해외 한류 실태조사 보고서'는 28일 이후 문체부 누리집(www.mcs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