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美상원, 정상회담 앞 초당적 결의안…"문 대통령 방미 환영"(종합)

등록 2021.05.14 12:02: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21일 회담…바이든, 日 이어 두 번째 대면 정상회담

"한미동맹, 인도태평양 안보·번영 핵심축"

"한반도 비핵화·인권 증진 공조 강화 고대"

[서울=뉴시스]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2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화상으로 열린 세계 기후정상회의에 참석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발언을 듣고 있다. 2021.05.14.

[서울=뉴시스]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2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화상으로 열린 세계 기후정상회의에 참석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발언을 듣고 있다. 2021.05.14.

[서울=뉴시스] 신정원 기자 = 미국 상원의원들이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초당적 결의안을 발의했다.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양국 및 한미일 3각 공조를 강화하고 인권 증진 노력을 계속할 것을 강조했다.

미 상원 외교위원회 소속 민주·공화당 의원 4명은 13일(현지시간)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초당적 결의안을 공동 발의했다고 미국의소리(VOA)가 보도했다.

민주당 소속 밥 메넨데스 외교위원장과 제임스 리시 외교위 공화당 간사, 민주당 에드워드 마키 외교위 동아시아·태평양 소위원회 위원장 및 밋 롬니 동아태 소위 공화당 간사가 참여했다.

결의안은 먼저 오는 21일 한미 첫 정상회담을 위해 미국을 방문하는 문 대통령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미 관계는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보, 번영을 수호하는 핵심축((linchpin)으로서 중요하다는 점을 재확인한다"고 명시했다.

또한 한국에 대한 미국의 확장 억지 약속을 재확인한다면서 "철통 같은 한미 동맹을 보다 강화하고 넓히며 심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지지한다"고 했다.

이 같은 노력에는 양국의 평화·안전에 대한 위협에 맞서고 양국을 단합하는 공동 가치와 공유된 이익을 위해 양국을 결속하는 한미 안보협의회(SCM)도 포함된다고 적시했다.

동시에 인권 증진을 위한 노력에서도 계속 공조할 것을 촉구했다.

올해 열린 한미 외교·국방 장관 2+2 회담 공동 성명에 명시됐 듯 "다양한 범위에 걸쳐 상호 보강하고 미래지향적인 양국 공조"를 독려한다고 했다.

결의안은 특히 북한의 비핵화 달성과 한반도의 항구적이고 영구적인 평화 구축을 위한 양국 간 긴밀한 공조를 촉구했다.

그러면서 "2018년 4월28일 남북 공동 판문점 선언에 서명한 것을 포함해 외교에 대한 문 대통령의 의지에 감사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공유된 도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미·일 3국 공조도 독려했다.

아울러 "한국전 참전 용사 추모의 벽에 대한 한국 정부와 국민들의 큰 기여에 감사하다"며 "문 대통령의 방미 기간 열릴 기공식을 기원한다"고 밝혔다.

메넨데스 위원장은 별도의 성명에서 "양국 간 파트너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미국 국가 안보 이익의 핵심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양국은 북한의 핵 프로그램과 탄도 미사일 역량이 커지는 중대한 위협에 함께 맞서고 있다"며 "한반도 안정과 평화를 조성하고 양국의 공유된 이익과 가치를 증진하는 길을 구축하기 위해 문 대통령과의 협력을 고대한다"고 밝혔다.
 
리시 간사도 성명에서 "한미 동맹은 동북아 평화와 번영에 필수적"이라고 피력했다.

마키 의원은 문 대통령의 방미를 환영한다면서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향한 실용적인 조치를 달성하기 위해 문재인 정부와 바이든 정부가 함께 협력할 것을 고대한다"고 했다.

롬니 의원은 "이번 결의를 통해 한미 동맹에 대한 미국의 약속을 재확인한다"며 "북핵 역량이 가하는 위협을 포함해 역내 및 전 세계 도전 과제에 맞서기 위해 양국이 결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20일 워싱턴DC에 도착, 이튿날인 21일 바이든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다. 문 대통령에겐 취임 후 10번째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이지만 바이든 대통령과는 처음이다. 바이든 대통령으로선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에 이어 두 번째 대면 정상회담이다.

회담에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 진전을 위한 한미 및 한미일 공조 강화를 비롯해 코로나19, 기후변화, 경제 협력 등 글로벌 도전 과제 대응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