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세쓸통]1997·2001·2008·2011년…위기 전후, 물가는 요동쳤다

등록 2021.05.16 05: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1996~2021년 소비자 물가 지수 시계열

외환위기 겪던 98년 1분기 '8.9%' 급등

금융위기 때인 2008년 3분기에도 5.5%↑

"위기 시 '원-달러 환율·유가' 오르는 탓"

금리가 문제…전문가 "인플레 우려 적어"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서울의 한 대형 마트에서 손님이 파와 달걀을 구입하고 있다. 2021.05.04. yesphoto@newsis.com 이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 관련 없음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서울의 한 대형 마트에서 손님이 파와 달걀을 구입하고 있다. 2021.05.04. [email protected] 이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 관련 없음


[세종=뉴시스] 김진욱 기자 = "세계 경제 '무서운 i'가 온다" "'인플레 공포' 스멀스멀…소비자 물가까지 들썩" "한국도 인플레 경고음…5·6월에는 물가 3%대 뛸 수도" 이번 한 주 지면을 장식한 주요 보도의 제목입니다.

미국의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4.2% 상승하면서 불러온 인플레이션(Inflation·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 우려로 경제 전반이 시끄럽습니다. 우려가 극에 이르렀던 지난 13일 코스피 지수는 1.25%나 하락했습니다. 외국인은 1조4295억원을 순매도했고, 그 여파로 삼성전자 주가는 8만원 아래(7만8500원)로 밀려났습니다.

한국의 지난달 소비자 물가 지수도 107.39(2015=100)를 기록, 전년 동월 대비 2.3% 상승하면서 인플레이션이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옵니다. 19.4%나 상승한 채소를 중심으로 신선 직품 지수가 14.6% 오르면서 소비자 물가 지표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석유류도 13.4% 상승하면서 이런 해석에 힘을 보탰습니다.

2018년 11월(2.0%) 이후 줄곧 0~1%대를 횡보하던 소비자 물가 전월비 상승률이 29개월 만에 한국은행 물가 안정 목표치(2.0%)를 넘어선 것입니다. 2019년 9월(-0.4%)과 2020년 5월(-0.3%)에는 상승률이 마이너스(-)였고, 0.0% 상승한 달(2019년 8월·10월, 2020년 6월)도 있었기에 지난달 상승률은 더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앞으로 당분간은 소비자 물가가 요동칠 가능성이 큽니다. 1997~1998년 아시아 외환 위기와 2008~2009년 미국발 세계 금융 위기 때를 비춰 보면 말입니다. 뉴시스가 국가통계포털 코시스(KOSIS)를 통해 확인한 결과 1998년 1분기에는 상승률이 8.9%까지 뛰었습니다. 직전 분기(5.1%) 대비 3.8%포인트(p)나 수직 상승했습니다.

이 상승률은 1998년 2분기 8.2%, 3분기 7.0%, 4분기 6.0%로 하락하더니 이듬해 1분기에는 0.7%까지 급락했습니다. 그 이후 경기가 회복되던 2001년 2분기(5.0%)까지 상승률 그래프는 가파른 우상향 곡선을 그립니다. 장기간 2~4%대를 횡보하던 상승률은 2008년(1분기 3.8%→2분기 4.8%→3분기 5.5%)이 되자 다시 튀어 오릅니다.

[세쓸통]1997·2001·2008·2011년…위기 전후, 물가는 요동쳤다


이후 상승률은 2008년 4분기 4.5%, 2009년 1분기 3.9%, 2분기 2.8%, 3분기 2.0%로 급락했다가, 다시 2011년 3분기(4.3%)까지 상승합니다. 그 뒤 재차 하락하기 시작, 2012년 3분기 1.6%까지 내려가 2017년 1·3분기(각각 2.2%)를 제외하고는 올해 1분기까지 -0~1%대에서 횡보합니다. 경제 위기·회복기에만 급등락 하는 모습입니다.

경제 위기 때는 일반적으로 원-달러 환율이 급등(원화 가치 급락)하고, 세계 경기도 불안하니 국제 유가도 오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른 원-달러 환율은 외국에서 들여오는 원자재와 수입 완성품 가격을 높이고, 유가는 에너지 관련 지출에 영향을 미치므로 경제 위기와 물가 급등이라는 이중고를 겪는다는 것이 한은의 설명입니다.

문제는 금리입니다. 지난달 소비자 물가 지표가 코로나19발 경제 위기 회복세를 알리는 신호탄이라면 상승은 당분간 이어질 텐데, 인플레이션으로 연결된다면 기준 금리 상승 압박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최근 3040의 주택 구매가 늘면서 지난해 2분기 한국의 가계 부채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98.6%까지 늘어난 상태입니다.

물가 상승이 기준 금리 인상으로 이어진다면 이자 부담은 눈덩이처럼 커지고, 가계의 가처분 소득을 줄여 내수가 악화합니다. 한은이 시뮬레이션한 결과 개인 대출 금리가 1.0%p 상승하면 이자 지출액은 총 11조8000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중 절반인 6조1000억원은 중산층에 해당하는 소득 2~4분위 가구에 집중됩니다.

정부는 인플레이션 우려가 크지 않다고 선을 긋고 있습니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 차관은 지난 13일 연 거시경제금융점검회의에서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예상보다 높았지만, 이는 경기 회복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일시적 요인과 기저 효과가 주요 원인"이라면서 "(인플레이션 우려에) 과도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고 했습니다.

민간 전문가의 시각도 비슷합니다. 양준석 가톨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뉴시스와 전화 인터뷰에서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높았던 것은 미국의 경우 중고차, 한국은 신선 식품 등 일부 품목의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이라면서 "경제 위기 직후 경기 회복기에는 기저 효과가 커 인플레이션 우려는 크지 않다"고 했습니다.

※세쓸통 = '세상에 쓸모없는 통계는 없다'는 일념으로 통계 속에 숨겨진 이야기를 찾아내 알기 쉽게 풀어내고자 합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