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전문가들 "최고 금융 리스크는 높은 가계부채"

등록 2021.06.11 12: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완화적 정책기조 축소에 대비해야"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국내외 경제·금융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을 가장 위협하는 요인으로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을 꼽았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가계부채로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소비를 억제하는 등 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과 코로나19 재확산 및 백신접종 지연 가능성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조사됐다. 한은이 지난달 10~25일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 금융업권별 협회 및 금융·경제 연구소 직원, 해외 금융기관 한국투자담당자 등 82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의견을 조사한 결과다. 주요 리스크는 전문가들이 꼽은 5대 위험요인 중 응답비중이 50%를 넘는 것이다.
 
단순 응답비중 기준으로 가장 많이 지목된 것은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46%)이었다. 코로나19 재확산 및 백신접종 지연 가능성(37%)과 글로벌 인플레이션(37%)은 2순위로 지목됐다. 이밖에 글로벌 자산가격 상승 및 급격한 조정(34%), 미중갈등 심화(34%), 부동산시장 불확실성(29%) 등이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조사됐다.

지난 상반기 조사 당시 순위권에 들었던 코로나19 장기화 가능성, 대선 이후 미 정부 정책 방향의 불확실성, 고용악화 등에 따른 가계소득 감소, 기업실적 부진 및 신용위험증대 등은 이번 조사에서는 빠졌다.  글로벌 자산가격 상승 및 급격한 조정을 제외한 나머지 위험요인은 이번 조사 때 새롭게 부상한 것이다.
 
전문가들이 1순위로 꼽은 리스크 요인으로는 코로나19 재확산 및 백신접종 지연가능성(16%)이 가장 높은 응답비중을 보였다. 글로벌 인플레이션(15%),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1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1년 내 단기에 현실화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했다. 단기 발생 가능성이 낮다는 응답 비중은 지난해 하반기 조사 당시 45%에서 이번에 47%로 상승했다. 반면 높다는 응답 비중은 20%에서 9%로 하락했다. 반면 중기(1~3년)에 금융시스템에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응답 비중은 29%로 지난 조사(18%) 때보다 상승했다. 낮다는 비중도 23%에서 28%로 상승했다.

코로나19 재확산 및 백신 접종 지연 가능성, 글로벌 자산 가격 상승 및 급격한 조정은 대체로 단기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리스크로 꼽혔다.이 가운데 글로벌 자산 가격 상승 및 급격한 조정은 지난 조사때 중기에 실현될 가능성이 높은 리스크 요인으로 조사됐으나 이번에는 단기 응답이 다수로 나타났다.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글로벌 인플레이션, 미중 갈등 심화, 부동산시장 불확실성은 중기에 현재화할 수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 조사됐다.
 
리스크 요인 중 글로벌 인플레이션, 미중 갈등 심화, 글로벌 자산 가격 상승 및 급격한 조정은 발생 가능성이 높고, 발생시 금융시스템에 큰 타격을 미칠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향후 3년간)는 매우 높음(4%), 높음(53%), 보통(42%) 이라고 응답한 비중이 전체의 99%를 차지하는 등 지난 조사와 마찬가지로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시급한 과제로 세계 각국의 코로나19 지원조치 정상화와 완화적 정책기조 축소 가능성에 대한 대비를 꼽았다. 

코로나19로 인한 유동성 공급은 단기적으로 금융안정에 기여했지만 기업, 가계, 정부 등의 부채가 크게 증가한 만큼 중기적 시계에서 금융시스템내 잠재 리스크가 커졌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밖에도 지원조치 종료 이후 기업·가계의 신용위험 현재화 가능성 존재, 미 연준 등 통화정책 완화기조 축소 논의 확대시 높은 가계부채 수준이 금융시스템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