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혈장 관리 20년간 방치…복지부·적십자 나 몰라라"

등록 2021.10.14 16:57:0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백종헌 의원, 혈장분획산업 전반 개선 필요 제기

국민의힘 백종헌 국회의원(사진=백종헌 의원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국민의힘 백종헌 국회의원(사진=백종헌 의원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송연주 기자 = 국민의 헌혈을 통해 마련돼 공공재 성격의 혈장 가격이 민간 차원의 협상으로 결정되는 등 국가 차원의 관리가 안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의힘 백종헌 의원은 14일 적십자 국정감사에서 혈액 관리 사업(혈장분획 산업) 전반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혈장분획제제는 국가 간 질병전염을 방지를 위해 국제사회가 각국에서 공공의 영역에서 관리하도록 권고한 의약품이다. 국내에서도 혈장분획제제는 필수의약품이자 퇴장방지의약품으로서 공공재 성격의 의약품으로 분류된다.

그럼에도 혈장 가격은 정해져 있지 않아 20년 동안 적십자와 제약사가 가격협상을 하고 있다. 혈장치료제 등을 만드는 데 쓰이는 원료 혈장은 적십자, 한마음혈액원같은 헌혈 기관이 헌혈자로부터 확보한다. 이후 혈장분획제제를 만드는 제약사에 공급되고 있다.

백 의원은 "국가가 관리해야 한다는 요구가 많았음에도 지금까지 복지부는 나몰라라 방관했다"고 지적했다.

앞서 국제사회의 권고에 따라 당시 보건복지부가 대한적십자사에게 혈장분획제제의 국내 생산 등 관리를 일임했다. 이에 따라 대한적십자사는 혈장분획제제 공장을 설립(1991년), 반제품 생산을 시작했고 점차 기능을 확대해 국내 혈장분획제제 완제품 생산을 추진하고자 했다.

그러나 2001년 복지부는 기존의 민간업체 생산 시설 유휴화 등을 이유로 완제품 생산 시설 설립을 최종 반려했다. 적십자사의 혈장분획제제 공장인 혈장분획센터는 당초 설립 목적인 완제품 생산을 끝내 하지 못하고 설립 배경과는 다르게 반제품 생산만을 약 20여 년째 지속하고 있다.

지난 2019년 감사원 감사에선 대한적십자사 혈장분획센터의 혈장 1L당 수익이 1만6212원, 민간 제약사의 경우 혈장 1L당 수익이 25만242원이라고 해 충격을 안겨준 바 있다.

백 의원은 "상황이 이렇게 되도록 복지부와 적십자사는 손을 놓고 있었다"며 "혈장분획 산업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법안을 발의한 바 있다. 이를 계기로 보건복지부와 대한적십자사는 혈장분획산업이 공공에 의해 관리될 수 있도록 전반적인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