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국민 50% "수돗물, 정수기 설치후 마신다"…첫 실태조사

등록 2021.10.27 12: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환경부, 7만2460가구 대상 조사

국민 일주일 평균 34.4회 물 마셔

36% 수돗물 음용…33% 생수 구입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 변해정 기자 = 국민 절반이 수돗물을 마시기 위해 정수기를 설치했다는 정부 조사결과가 나왔다. 

환경부는 올해 처음 실시한 '2021년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이 조사는 지난해 3월에 신설된 '수도법'에 따라 3년 주기로 하게 돼 있다.

첫 조사는 지난 4월5일부터 6월30일까지 약 석 달간 전국 161개 시·군 7만2460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 물을 먹는 횟수는 일주일 평균 34.4회였다.

물 음용 방법(중복응답)으로는 응답자의 36.0%가 '수돗물을 그대로 또는 끓여서 먹는다'고 답했다. 국민 3명중 1명만이 순수하게 수돗물만 먹는다고 답한 것이다.

반면 수돗물에 정수기를 설치해 물을 먹는 비율은 49.4%로 절반 가까이 됐다.

먹는샘물(생수)를 구매해서 먹는다는 답변은 32.9%였다. 지하수나 약수 등을 먹는 비율은 1.2%로 매우 낮았다.

수돗물은 그대로 먹을 때보다 차·커피를 마시거나 음식을 조리할 때 활용하는 경우가 훨씬 많았다. 차나 커피를 마실 때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서 사용한다는 비율은 41.6%, 밥이나 음식을 조리할 때 수돗물을 그대로 사용한다고 응답은 67.0%였다.

현재의 물 음용 방법을 택한 이유로는 모두 '믿을 수 있어서'라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만족해하고 있었다.

특히 수돗물을 먹고 있다는 응답자의 만족도는 69.5%였다. '보통'(27.3%)이라는 응답까지 합하면 96.8%가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었다.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 먹는 것에 대한 평소 생각은 '편리하다'(79.3%)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가장 높다. '경제적이다'는 76.5%, '수질을 믿을 수 있다'는 65.6%, '환경에 도움이 된다'는 59.6%,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48.3%였다.

수돗물 속 염소에 대해서는 '수돗물 안전 문제가 생길 수 있어 꼭 필요하다'는 의견이 26.9%로 가장 높았다. '인체에 무해한 수준이어서 먹는데 문제가 없다'는 26.3%였다.

반면 '단기적으로는 무해하나 장기적으로 수돗물 음용 시 문제가 있을 것 같다'는 응답자는 25.7%였다. '건강에 해로우므로 염소를 투입하지 말아야 한다'고 밝힌 비율은 6.3%였다. 


국민 50% "수돗물, 정수기 설치후 마신다"…첫 실태조사


수돗물 만족도 향상을 위해 지금보다 더 강화해야 할 정책·제도로는 '노후된 수도관 교체'를 꼽은 비율이 27.8%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원수(상수원)의 수질관리'(27.3%), '정수장 시설의 현대화'(11.8%)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에 환경부는 지자체와 함께 오는 2024년까지 1단계 노후 상수관망 정비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추가 사업 발굴과 지원 방안을 강구하기로 했다. 1단계 사업은 국고 약 2조원을 들여 전국 112개 지자체의 노후 상수관망 3332㎞(관망 112개소, 정수장 34개소)를 정비하는 게 목표다.

내년까지 161개 지자체에 '스마트 관망관리 시스템'도 구축해 수돗물 수질을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수돗물 사고 발생 시 이물질을 자동 배출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 시스템을 시범 구축한 경기 파주시의 경우 이번 실태조사에서 수돗물을 먹는 비율이 49.5%로 높았다.

또 정수장에서 깨끗하게 생산된 수돗물을 가정의 수도꼭지까지 그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주택 내 노후 옥내급수관 개선 사업을 실시한다. 국고 약 39억원을 투입해 20개 지자체 취약계층 8000여 가구를 우선 지원할 예정이다.

김동구 환경부 물통합정책관은 "올해 처음 실시한 실태조사를 통해 확인한 국민들의 수돗물에 대한 의견을 토대로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수돗물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