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방치? 치료?' 재택치료 둘러싼 논란…"정책 조정 필요"

등록 2021.12.03 14:22:0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재택치료 관한 후기 글 올라와

"사실상 방치"vs"어쩔 수 없어"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코로나19 신규 확진이 급증하고 있는 2일 재택치료 관리 의료기관인 서울 서대문구 동신병원에서 관계자들이 재택치료 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1.12.02.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코로나19 신규 확진이 급증하고 있는 2일 재택치료 관리 의료기관인 서울 서대문구 동신병원에서 관계자들이 재택치료 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1.12.0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신재현 기자, 윤현성 수습 = 정부가 코로나19 확진자 관리를 재택치료 중심으로 전환한 가운데 사람들 사이에선 이를 둘러싼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재택치료 확대 방침은 국민에게 치료를 떠맡기는 사실상 방치가 아니냐는 지적과 함께 확진자 폭증으로 인한 의료붕괴를 막기 위해선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3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정부는 '단계적 일상회복의 지속을 위한 의료 및 방역 후속대응 계획'을 통해 모든 확진자에 재택치료를 기본 적용키로 했다.

입원 요인이 있거나 감염에 취약한 주거 환경에 있는 경우, 보호자가 없는 돌봄 필요자 등은 입원·입소 치료한다.

3일 오전 10시께 기준 서울 6436명을 포함해 재택치료 대상자는 총 1만2396명인 가운데 온라인 상에는 채택 치료에 관한 후기들이 올라오고 있다.

건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지자체에서 나온 치료키트 등을 지원받고 주기적으로 건강 모니터링을 받는다는 내용으로 글을 올리는 것이다.

재택치료에 관한 불만을 털어놓는 이들도 있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코로나 재택치료라더니 방치되고 있다"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재택치료 중인 가족들 때문에 자가격리를 시작했다고 밝힌 이 누리꾼은 "보건소 역학조사 외엔 연락이 닿질 않아 가족들 건강 상태를 어떻게 확인해야 하는지 알 수가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병원에서 아이 상태를 하루에 한번 확인한다고 하더니 확진 판정을 받은지 3~4일째인데도 전날 처음이자 마지막 연락을 받았다"며 "오늘도 연락이 없다"고 덧붙였다.

백신 접종자인 본인은 수동 감시 대상으로 분류돼 자가격리를 하지 않아도 되지만 혹시 모를 사태를 대비해 휴가 처리를 했는데 이것에 대해서도 담당자들마다 말이 다르다고 전했다.

지난 10월 재택치료를 경험했다던 다른 누리꾼은 "재택 치료, 전화 문진이라고 하기에 약을 직접 전달해주거나 처방, 진료를 해줄 줄 알았는데 보건소와 지정병원에 관련 내용을 문의하니 약이 없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했다.  

[서울=뉴시스] 백동현 기자 = 24일 오후 서울 서초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응급의료센터에서 의료진이 나와 환자 상태를 살펴보고 있다. 해당 환자는 코로나19 증상을 보여 '사전환자분류소'에서 음압격리실 치료 진단을 받았으나, 서울성모병원 음압격리실이 가득 찼기 때문이다. 한편 서울성모병원 코로나19 중환자 병상은 이날 14시 기준으로 20개 중 17개가 차 있는 상황이다. 2021.11.24. livertrent@newsis.com

[서울=뉴시스] 백동현 기자 = 24일 오후 서울 서초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응급의료센터에서 의료진이 나와 환자 상태를 살펴보고 있다. 해당 환자는 코로나19 증상을 보여 '사전환자분류소'에서 음압격리실 치료 진단을 받았으나, 서울성모병원 음압격리실이 가득 찼기 때문이다. 한편 서울성모병원 코로나19 중환자 병상은 이날 14시 기준으로 20개 중 17개가 차 있는 상황이다. 2021.11.24. [email protected]

이 같은 소식을 접한 사람들은 확진자가 계속 나오는 상황에서 재택치료 도입이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일 수 있지만 치료 방치에 대한 불안감이 여전하다고 의견을 냈다.

직장인 김모(27)씨는 "생후 6개월 아이를 둔 지인이 최근 확진 판정을 받아 생활치료센터를 가려고 했는데 대기가 길어 10일 이내엔 들어갈 수 없다는 답변을 들었다고 하더라"고 했다.

이어 "겨우 격리 공간을 구했는데 방역 당국에선 구호 물품 가져다 줄 여력이 없다면서 주변 친구나 가족들에게 생필품을 부탁하라고 하던데 이는 사실상 방치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대학원생 박모(29)씨는 "재택치료 자체가 문제라기보단 증상이 나빠질 경우 당장 병원 이송이 안 되는 게 문제라고 생각하는데 현장에서 이런 시스템이 마련돼 있는지, 주거 취약계층도 고려된 조치인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현재 재택치료가 지니고 있는 위험 요소를 없애는 방향으로 정책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우리나라는 산소 포화도가 94% 이하로 떨어지면 재택 치료자들을 입원 시키는데 이 상태엔 이미 폐렴이 심해져 상태가 중한 상태" "이 상태가 되어도 병실이 없으니 입원을 못 시키는 등 사실상 재택 방치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반면 우리나라가 벤치마킹한 싱가포르는 '위드 코로나' 도입 이후 50세 이하 건강한 사람들 중 백신을 접종한 자에 한해서 사람들의 동의를 받고 소위 '홈케어'라는 것을 실시해 위험을 낮췄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확실한 연령 제한 없이 재택치료를 확대하면 중증 환자를 양산하고 가족 간 감염 전파를 확산할 위험이 생기는 등 상황이 악화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재택치료를 지금보다 협소하게 운영해야 한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