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문체부, 예산 첫 7조원대 진입…내년 금융·창작 지원↑

등록 2021.12.03 17:03:0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올해 본예산 6조8637억원 대비 7.8% 증액

7조3968억원 최종 확정...신한류 진흥 육성

 [서울=뉴시스] 문화체육관광부는 2022년도 문체부 예산이 7조3968억원으로 최종 확정됐다고 3일 밝혔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2021.12.0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문화체육관광부는 2022년도 문체부 예산이 7조3968억원으로 최종 확정됐다고 3일 밝혔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2021.12.03.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신효령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는 3일 국회 본회의 의결을 거쳐 내년 문체부 예산이 7조3968억원으로 최종 확정됐다고 발표했다.

올해 본예산 6조8637억원 대비 5331억원(7.8%) 증액된 규모로, 문체부 재정은 처음으로 7조원대에 진입하게 됐다.

코로나 극복...분야별 금융지원, 창작·경영지원 예산 늘려

문체부는 문화·체육·관광 분야의 조속한 코로나 피해극복을 위해 분야별 금융지원과 창작·경영지원 예산을 크게 늘렸다.

국민들의 일상 회복과 여가 활력을 높이기 위해 국내 관광·생활체육 분야의 지원을 확대하고 일상 회복을 위한 문화예술 치유 사업을 증액 편성했다.

신(新) 한류의 진흥과 문화·체육·관광 산업 미래시장 육성을 위한 사업을 확대해 세계를 선도하는 문화강국으로서의 기반을 더욱 공고히 했다.

지역의 문화 균형발전과 국민 문화 향유 격차 완화를 위한 예산을 증액 편성해 더욱 많은 국민이 문화를 통한 행복을 고루 누릴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부문별 예산 책정은?

부문별로 살펴보면 문화예술 부문에서는 ▲통합문화이용권을 포함한 문화예술향유지원(2263억원) ▲전통문화 진흥(541억원) ▲공연예술진흥 기반 조성(486억원) ▲예술의 산업화 추진(345억원) ▲장애인 예술활동 지원을 위한 함께누리 사업(226억원)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1336억원) 등을 포함해 올해 예산 대비 2771억 원(12.5%)이 증가한 2조4975억원을 편성했다.

콘텐츠 부문에서는 ▲위풍당당 콘텐츠코리아펀드 출자(1388억원) ▲문화콘텐츠 국제협력 및 수출기반 조성(489억원) ▲영상콘텐츠산업 육성(714억원) ▲확장 가상세계(메타버스) 콘텐츠 제작 지원(168억원)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 등 방송영상콘텐츠 산업 육성(461억원) ▲콘텐츠(문화) 분야 연구개발(R&D) 사업(571억원) 등 올해 예산 대비 1196억 원(11.7%)이 증가한 1조1455억원을 편성했다.

체육 부문에서는 ▲스포츠산업 융자·펀드 등 금융지원(2083억원) ▲경륜·경정 융자지원(650억원) ▲스포츠산업 활성화 지원(666억원) ▲생활체육 프로그램(1329억원) ▲스포츠 강좌 이용권(519억원) ▲장애인 체육 육성(899억원) ▲스포츠산업 혁신기반 조성(R&D)(137억원) 등을 포함해 올해 예산 대비 1709억원(9.7%)이 증액된 1조9303억원을 편성했다.
 
관광 부문에서는 ▲관광산업 융자 지원(6590억원) ▲관광사업 창업 지원 및 벤처 육성(764억원) ▲관광산업 인재 발굴 및 전문역량 강화(200억원) ▲지능형(스마트) 관광 활성화(490억원) ▲마이스(MICE) 산업 육성 지원(390억원) 등을 포함해 올해 예산 대비 502억원(3.3%)이 감액된 1조4496억원을 편성했다.

문체부는 "이번 국회에서 확정된 내년 예산 7조3968억원은 문화·체육·관광 분야 코로나 피해극복 및 재도약을 비롯해 국민 일상 회복을 준비하고, 위기 속에서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대한민국 문화산업의 성장잠재력을 끌어올리며, 대외적 성장이 국내에서도 균형 있는 발전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강조했다.

문체부는 내년 세출 예산의 70% 이상을 상반기에 배정하는 등 효율적 예산 집행을 통해 코로나 극복과 경제활력 조기 회복을 뒷받침할 방침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