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김종인 "尹 '1호 공약'은 약자와 동행…윤핵관, 누군지 짐작 가"

등록 2021.12.06 10:29:12수정 2021.12.06 10:48: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약자 동행'의 핵심은 코로나로 황폐해진 경제 소생"

김병준과 경제 방향 충돌 묻자 "국가의 국민 보호는 당연"

"(시장경제주의는) 경제 실상 모르는 사람들이 얘기하는 거"

[서울=뉴시스]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와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이 5일 여의도 당사에서 김 위원장 집무실을 함께 둘러본 후 회의실로 이동하고 있다. 국민의힘 선대위 제공

[서울=뉴시스]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와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이 5일 여의도 당사에서 김 위원장 집무실을 함께 둘러본 후 회의실로 이동하고 있다. 국민의힘 선대위 제공



[서울=뉴시스] 양소리 기자 =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의 선거대책위원회에서 총괄선대위원장을 맡은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6일 윤 후보의 1호 공약이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양극화 해결에 방점을 찍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윤 후보가 '약자와의 동행'에 상당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며 "약자와 동행에서 심각한 문제는 지난 2년 동안에 걸친 코로나 사태로 인해 경제적으로 황폐해진 사람들을 어떻게 소생시킬 수 있느냐 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또 "몇 개의 정부를 지나면서도 말은 양극화를 해소한다고 얘기를 했지만 양극화는 더 벌어졌다"며 "지금 코로나 바이러스가 2년 동안 지속됨에 따라서 이 양극화가 더 심각해졌다"고 문제 의식을 드러냈다.

김 위원장은 "다음 대통령이 처음부터 문제해결의 노력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아주 시급한 상황"이라며 "그게 아마 1호 공약으로 나갈 수밖에 없을 거다"고 했다.

'시장경제주의자인 김병준 상임선대위원장과 충돌할 부분은 없나'라는 질문에 김 위원장은 "(시장경제주의는) 경제에 대한 실상을 모르는 사람들이 그냥 원칙적으로 얘기를 하는 거다"고 했다.

이어 "국가는 국민을 갖다가 보호할 의무를 갖는 게 국가인데. 그런 사태에서 국가가 개입을 해서 그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건 당연한 건데 거기에 대한 이의를 누가 제기하나"라고 말했다.

윤 후보와 김 위원장 사이를 갈라놓은 '윤핵관', 즉 윤석열 핵심 관계자에 대해서는 윤 후보가 갈등을 조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윤핵관은 정리가 안 된 거 아닌가'라는 질문에 "게중에는 내가 안 오기를 바라는 사람들도 있었던 건 사실이라고 (들었다)"고 했다.

또 "(윤핵관이) 어떤 사람이라는 것이 짐작도 간다"고 했다.

그는 윤핵관과의 갈등이 재발될 가능성에 대해 "후보가 철저하게 조율을 할 거라고 본다"며 "당선에 장애가 될 수 있는 요인은 사전적으로 제거를 할 거라고 믿는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윤 후보가 지난주 울산에서 이준석 당대표와 그간의 갈등을 '극적으로 해소'한 데 대해 "우연한 계기로 그날 모든 것이 한꺼번에" 해결된 것이라고 했다.

이를 두고 '윤 후보가 굴복했다'는 말이 나오는 데에 "과도한 비판"이라며 "후보는 당연히 당선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노력을 해서 얻으려고 하는 것이 당연한 거다. 그것이 무슨 굴복이라고 생각하면 그거는 정치적으로 볼 때 참 바보같은 소리다"고 했다.

한편 선대위 추가 인선이 계속되는 가운데 금태섭 전 의원의 합류에 대해 "합류할 거라고 본다"고 김 위원장은 말했다. 금 의원의 직책에 대해서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걸 맡아서 하실 것"이라고 했다.

권경애 변호사의 경우 "처음에는 호의적으로 얘기를 했는데 한 달 동안의 상황이 많이 변했다"며 장담할 수 없다고 밝혔다. 윤희숙 전 의원에 대해서는 "우리 당원이니 합류가 쉽다"며 사실상 합류를 시사했다.

김 전 위원장은 '새로운 인물이 더 있나'라는 진행자의 질문에 "새로운 인물이라고 하는 게, 인물 자체가 그 사람들이 와서 뭐를 할 수 있느냐를 갖다가 전제를 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맹목적으로 새로운 인물이라고 해서 다 필요한 건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