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장고분 맞다" 고속도로 건설현장 고대 무덤 주인공 밝혀지나(종합)

등록 2021.12.08 16:55:18수정 2021.12.08 19:43:4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8일 문화재청 나주 봉황면 현장조사…5~6세기께 축조 추정

마한 대형옹관고분 산재한 나주서 일본계 묘제 첫 발견돼 관심

다행히 도굴 흔적은 없어…광주 명화동 장고분과 석실 위치 닮아

문화재청, 장고분 보존·정밀조사 여부는 추가 논의 거쳐 결정

[나주=뉴시스] 류형근 기자 = 문화재청 관계자들이 8일 오후 전남 나주시 봉황면 '광주~강진 고속도로 5공구 건설 현장'에서 발견된 5~6세기 추정 장고분(長鼓墳) 유적에 대해 현장조사를 벌이고 있다. 2021.12.08. hgryu77@newsis.com

[나주=뉴시스] 류형근 기자 = 문화재청 관계자들이 8일 오후 전남 나주시 봉황면 '광주~강진 고속도로 5공구 건설 현장'에서 발견된 5~6세기 추정 장고분(長鼓墳) 유적에 대해 현장조사를 벌이고 있다. 2021.12.08. [email protected]


[나주=뉴시스] 이창우 기자 = '광주~강진 간 고속도로' 건설 현장 나주 구간에서 최근 발견된 고대 무덤 유적은 5~6세기께 축조된 '장고분(長鼓墳)'으로 확인됐으며 다행히도 도굴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장고분(장고형 무덤)은 우리나라의 전통 타악기인 '장고'의 형태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앞쪽에 제사를 지내는 사각형 단을 쌓고 뒤로는 시신이 안치된 석실(돌방무덤) 봉분 주변을 둥글게 쌓은 것이 특징이다.

하늘에서 보면 장고처럼 보이기도 하고 열쇠 구멍을 연상시킨다.

일본에서는 전방후원형(前方後圓形) 묘제로 부르며 자신들만의 독창적인 묘제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일본 역사학계는 고대 한반도 남부지역을 지배했다는 '임라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을 주장하기도 한다.

과거 영산강과 가까웠던 나주 봉황면 장고분 유적 발견은 무덤의 주인공을 놓고 일본 역사학계와 한일 역사전쟁 2라운드가 예상되기도 한다.

문화재청은 8일 '광주~강진 간 고속도로' 건설현장 5공구 나주 봉황면 일대 유적지 현장 조사를 통해 고대 무덤의 형태를 '장고분'으로 잠정 결론 냈다.

해당 유적은 상부에서 하부까지의 길이가 50여m에 달하는 중형급 장고분으로 추정된다.

이날 현장 조사는 유적의 성격을 확인하고 학술적 가치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조사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나주=뉴시스] 류형근 기자 = 문화재청 관계자들이 8일 오후 전남 나주시 봉황면 '광주~강진 고속도로 5공구 건설 현장'에서 발견된 5~6세기 추정 장고분(長鼓墳) 유적에 대해 현장조사를 벌이고 있다. 2021.12.08. hgryu77@newsis.com

[나주=뉴시스] 류형근 기자 = 문화재청 관계자들이 8일 오후 전남 나주시 봉황면 '광주~강진 고속도로 5공구 건설 현장'에서 발견된 5~6세기 추정 장고분(長鼓墳) 유적에 대해 현장조사를 벌이고 있다. 2021.12.08. [email protected]


해당 유적은 고속도로 선형과 맞물려 있어 보존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보존하는 쪽으로 결론이 날 경우 고속도로 선형을 일부 변경해야 하기 때문이다.

문화재청은 현장 조사 결과를 토대로 매장문화재 분과위원회에 안건을 상정한 후 논의를 거쳐 유적의 보존과 정밀조사 여부 등을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고속도로 선형 변경 없이 공사를 시행하는 쪽으로 결론이 날 경우 무덤 안에 있는 문화재를 영구 보존하기 위해 '구제 발굴'을 실시하고, 장고분 유적은 문헌으로 만 기록을 남기게 된다.

반대로 공사 시행과는 별도로 보존하는 쪽으로 결론이 날 경우 매장 문화재의 가치 확인을 위한 '학술 발굴'을 실시할 수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유적지 시굴조사 용역을 추진한 울산문화재연구원 관계자는 이날 현장 조사 과정에서 "발견된 장고분이 앞서 지난 1994년 발굴한 광주 광산구 명화동 장고분과 석실의 위치가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광주=뉴시스] 이창우 기자 = 광주 명화동 장고분 발굴 당시 모습. (사진=국립광주박물관 제공) 2021.12.04 photo@newsis.com

[광주=뉴시스] 이창우 기자 = 광주 명화동 장고분 발굴 당시 모습. (사진=국립광주박물관 제공) 2021.12.04 [email protected]


흥미로운 점은 시신을 안치하기 위해 만든 석실의 주재료인 돌의 종류이다.

유적이 위치한 일대는 화강암 지대인데 반해 석실을 만드는데 사용한 돌이 유문암과 응회암이기 때문이다.

울산문화재연구원 관계자는 "석실을 쌓은데 쓰인 돌은 장고분에서 동쪽으로 약 3㎞  떨어진 곳에서 채석해 옮겨온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나주=뉴시스] 류형근 기자 = 문화재청 관계자들이 8일 오후 전남 나주시 봉황면 '광주~강진 고속도로 5공구 건설 현장'에서 발견된 5~6세기 추정 장고분(長鼓墳) 유적, 석실 위치부에서 현장조사를 벌이고 있다. 2021.12.08. hgryu77@newsis.com

[나주=뉴시스] 류형근 기자 = 문화재청 관계자들이 8일 오후 전남 나주시 봉황면 '광주~강진 고속도로 5공구 건설 현장'에서 발견된 5~6세기 추정 장고분(長鼓墳) 유적, 석실 위치부에서 현장조사를 벌이고 있다. 2021.12.08. [email protected]


시굴조사 현장에서는 당시 제사를 지내는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토기 파편'이 다수 발견됐으며, 후반부 원형 봉분 아래에서는 인위적으로 만든 골짜기 형태의 지형도 확인됐다.

울산문화재연구원 관계자는 "장고분 유적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정밀 발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지금까지 국내에서 확인된 장고분 15기는 모두 예외 없이 영산강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 역사학자들은 마한 세력이 백제에 흡수되기 전인 5세기 말부터 6세기 중엽에 걸쳐 축조한 것으로 보고 있다.

마한은 영산강의 중심인 현재 나주시 일대 부근에서 번성했다. 그 중심지에선 옹관이 안장된 대형고분이 군락을 지어 존재한다. 대표적인 유적은 반남 고분군과 복암리 고분군을 꼽을 수 있다.

[나주=뉴시스] 이창우 기자 = 마한시대 유적인 나주 반남고분군. (사진=나주시 제공) 2021.12.04 photo@newsis.com

[나주=뉴시스] 이창우 기자 =  마한시대 유적인 나주 반남고분군. (사진=나주시 제공) 2021.12.04 [email protected]


이와 형태가 다른 묘제인 장고분은 모두 나주를 벗어난 외곽 지역 변방에 단독분 위주로 분포한다.

현재까지 영암, 함평, 영광, 해남, 고창, 광주 등지에서 띄엄띄엄 발견됐으며 모두 영산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나주 봉황면 고속도로 현장에서 확인된 장고분 추정 유적지도 과거에는 지척인 세지면까지 바닷길과 통하는 영산강 수로가 발달했었다는 점에서 영산강 세력과의 연관성이 짙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