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먹는 치료제 109명만 처방…"세부기준 내주 발표"

등록 2022.01.21 17:10:5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투여대상 60세로 늘리고 공급기관 확대

80.7% 재택치료자 처방…수도권이 75.2%

"제약사 통한 투약 후 이상반응 원인 확인"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14일 서울 구로구의 한 약국에 경구용 신종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가 배송돼 약사가 수량을 확인하고 있다. 치료제는 이날부터 환자들에게 투여할 수 있으며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 위기대응시스템'으로 약국 재고를 파악해 처방한다. 2022.01.14. kkssmm99@newsis.com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14일 서울 구로구의 한 약국에 경구용 신종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가 배송돼 약사가 수량을 확인하고 있다. 치료제는 이날부터 환자들에게 투여할 수 있으며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 위기대응시스템'으로 약국 재고를 파악해 처방한다. 2022.01.14.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김정현 정성원 기자 = 방역 당국이 간·신장 질환 등 기저질환자에 대한 먹는 치료제 투약 기준을 이르면 다음 주 내놓는다. 투약 기준이 불명확해 처방이 쉽지 않다는 지적에 따른 조처다.

21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지난 20일까지 화이자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는 누적 109명에게 처방됐다.

 전체 처방량의 80.7%인 88명분은 재택치료자에게, 나머지 21명분은 생활치료센터 입소자에게 투여됐다.

먹는 치료제 처방자 분포를 시·도별로 살펴보면 경기 39명, 서울 38명, 인천 5명으로 수도권 지역이 전체 75.2%(82명)를 차지했다. 대구 7명, 부산·광주·대전 각 4명, 강원·전남 각 3명, 울산·전북 각 1명으로 비수도권 14개 중 8개 시·도에서 24.8%(27명) 처방됐다.

국내에 남아 있는 팍스로비드는 지난 20일 오후 6시30분 기준 2만891명분이다.

정부는 먹는 치료제의 투약이 예상보다 저조하자 오는 22일부터 투약 대상을 현행 65세 이상에서 60세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달 내 처방 대상시설로 요양병원, 요양시설, 감염병전담병원 등을 포함할 계획이다. 이번 조치로 정부는 처방량이 30% 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당초 정부는 하루 1000명씩 먹는 치료제를 투여할 수 있다고 밝혔지만, 함께 복용해선 안 되는 병용금지 약물이 23개에 달해 고령층 처방이 저조했다고 한다.

당국은 신장 기능 저하나 간질환을 겪고 있는 기저질환자 등을 위한 별도의 팍스로비드 투약 판단 기준을 이르면 다음주 중 발표할 예정이다. 먹는 치료제 도입 당시 알레르기가 있거나 간·신장 질환이 있는 경우, 임신부 또는 수유 중인 산모, 중증 질환이 있다면 의료진과 미리 상의가 필요하다고 안내한 바 있다.

 또 먹는 치료제 투약 대상자 본인이나 국가건강검진정보 자료, 대상자가 다니던 병원, 문진 등을 통해 투약 대상자의 병력을 확인할 방침이다. 병용금지약물에 대해서는 처방, 복약 전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를 통해 안전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팍스로비드 투약 후 환자들이 호소하는 이상 반응에 대해서도 원인을 파악 중이다. 팍스로비드는 임상시험을 통해 미각 이상, 설사, 혈압상승, 근육통 등의 부작용이 주로 관찰됐으나 대부분 경미하다는 게 당국 설명이다.

곽진 방대본 환자관리지침팀장은 "팍스로비드를 복용한 환자들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어떻게 의견을 밝히는지 파악하고 있다"며 "쓴 맛을 호소하는 데 대해서도 제약사를 통해 원인을 확인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지난 20일 0시 기준 코로나19 국산 항체치료제인 셀트리온의 '렉키로나주'(성분명 레그단비맙)는 264개 병원의 환자 4만1542명에게 쓰였다. 항바이러스제인 길리어드의 '베클루리주'(성분명 렘데시비르)는 234개 병원에서 환자 3만514명에게 투여됐다. 렉키로나주는 경증과 중등증 환자에게, 베클루리주는 중증환자에게 쓰인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