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윤석열, 세종찾아 "충청 광역철도망·청와대 집무실 등" 약속

등록 2022.01.22 11:30:00수정 2022.01.22 13:46:5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행정수도 세종 완성하고 미래전략특별시로 발전"

7가지 공약 제시, 대전·세종 경제자유구역 지정 등

[대전=뉴시스] 김도현 기자 =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21일 오후 대전시 서구 탄방동 오페라웨딩홀서 열린 필승결의대회를 마친 뒤 대전지역 기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있다. 2022.01.21. kdh1917@newsis.com

[대전=뉴시스] 김도현 기자 =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21일 오후 대전시 서구 탄방동 오페라웨딩홀서 열린 필승결의대회를 마친 뒤 대전지역 기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있다. 2022.01.21. [email protected]

[서울·세종=뉴시스] 정윤아 김승민 기자 =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는 22일 세종을 찾아 충청권 광역 철도망, 대전ㆍ세종 경제자유구역 지정, 청와대 세종 제2집무실 설치 등 7가지 공약을 내놨다.

1박 2일로 충청권을 찾은 윤 후보는 이날 오전 세종시 국잭연구원에서 열린 세종 선대위 필승결의대회에 참석했다.

윤 후보는 "명실상부한 행정수도 세종을 완성하고 대한민국의 미래전략특별시로 발전시킬 것"이라며 세종 지역을 위한 공약 7가지를 제시했다.

첫번째 공약은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이다.

세종~대전~충북을 잇는 충청권 광역철도를 조속히 건설하여, 세종시민의 교통 불편을 해소하고 주요 도심을 신속히 연결하여 충청권 메가시티의 광역생활경제권을 완성할 계획이다.

환상형(Ring City)으로 설계된 행정중심복합도시는 주요 교통망이 도심을 우회하여 세종시민이 애로를 겪고 있기 때문이다.

두번째 공약은 대전·세종 경제자유구역 지정이다.

대전·세종 경제자유구역을 통해 세종의 실증 역량과 대전의 축적된 연구개발 능력을 융합하여 글로벌 경제도시로 도약하고자 한다.

세종과 대전은 과학기술 투자유치를 위한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고 이미 외국계 투자기업이 다수 자리 잡고 있으며, 수도권에 버금가는 기술기업ㆍ글로벌 R&Dㆍ청년창업이 집적되어 있어 경제자유구역 지정의 필요성과 기대효과가 매우 높다.

세종이 강점을 지닌 미래차. 스마트헬스케어, 광ㆍ전자 및 실감형 콘텐츠산업, 소재ㆍ부품산업 등 지역 핵심산업을 특화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국내외 앵커 기업과 연구기관, 전후방 연관산업 관련기업을 유치할 계획이다.

또한, 대전ㆍ세종ㆍ충남 공주와 연접하는 지역에 충청권 상생협력 국가산업단지를 공동 개발하여 충청권 메가시티의 국가산단 역할을 부여하고자 한다.

세번째 공약은 청와대 세종 제2 집무실 설치, 국회 세종의사당 개원이다.

청와대 세종 제2 집무실을 설치하고 기능을 내실화하여 세종시의 실질적 수도 기능을 확립하고자 한다.

국회 세종의사당의 차질 없는 건립과 더불어 명실상부한 세종 국가행정수도를 완성할 계획이다.

국가 행정의 비효율성 해소로 원활한 업무추진과 행정비용 감소를 도모하고, 지역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강화하여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 확대를 촉진할 예정이다.

네번째 공약은 중입자 가속기 암치료센터 설립, 방사선 의과학융합산업 클러스터 구축이다.

세종 과학비즈니스 벨트의 중이온 가속기와 오창방사선가속기, 고려대 세종캠퍼스 가속기대학원과 KAIST·충남대 등의 풍부한 연구 기반을 활용하여 ‘꿈의 암치료기’로 불리는 중입자가속기 암치료센터 설립을 추진하고자 한다는 계획이다.

다섯번째 공약은 세종 디지털미디어센터(DMC) 조성이다.

정보와 뉴스의 산실인 행정수도 세종에서 신속ㆍ정확한 취재보도가 이뤄질 수 있도록 세종 디지털미디어센터(DMC) 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여섯번째 공약은 글로벌 청년 창업빌리지 조성이다.

다수의 기술창업 관련 기업과 기관이 위치해 있는 세종시를 청년을 위한 글로벌 기술창업자유구역으로 지정하고 청년의 혁신과 기업가 정신이 발휘되는 기술 플랫폼을 지원할 계획이다.

일곱번째 공약은 대학 세종공동캠퍼스 조기 개원이다.

행복도시 내에 추진 중인 대학원 중심의 세종공동캠퍼스를 조속히 개원하고자 한다. 공동캠퍼스 구상은 행정ㆍ재정 지원 부족으로 난항을 겪고 있고, 국가행정 수도로서의 위상과 특성에 맞는 거점대학이 없어 산학연 프로젝트 등 지역발전 전략수립에 한계가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