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통합물관리' 숙원 이뤘다…스마트 체계·초순수 국산화 촉진

등록 2022.01.24 13:3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환경부, '통합물관리 비전선포식'…물관리 정책 발표

댐 안전·하수도 스마트 관리체계 구축…디지털 트윈

대체 수자원기반 구축…수생태 복원·하천 제방 정비

2025년까지 초순수 국산화…수열에너지 사업 확대

[세종=뉴시스] 이영기 환경부 물관리정책실장이 2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물관리 정책 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환경부 기자단 제공). 2022.01.2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 이영기 환경부 물관리정책실장이 2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물관리 정책 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환경부 기자단 제공). 2022.01.24.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정성원 기자 = 정부는 수량·수질·수생태계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스마트 체계를 마련해 홍수·가뭄 등 재해를 사전에 방지한다.

2025년까지 반도체 제작에 필요한 초순수 국산화를 마치고, 관련 기술의 해외 시장 진출을 도모한다. 2027년까지 소양강댐 일대에 수열에너지 융복합클러스터를 구축하고, 2040년까지 댐 전체에 수상태양광을 설치한다. 

환경부는 24일 오후 강원 춘천시 소양강댐 물문화관에서 '통합물관리 비전선포식'을 열고 2022년 물관리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이번 선포식은 올해 환경부에 하천관리 업무가 이관되면서 하천 수량과 수질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물관리일원화 체계 완비를 기념하기 위해 열렸다.

환경부는 지난해 6월 발표한 '제1차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 따라 ▲세계 최고의 스마트한 물 ▲모든 세대와 생명을 위한 물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물 등을 역점 과제로 내놨다.

첨단기술로 수량·수질 관리…수재해 막는다


2025년까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속 예보체계 전환을 목표로 강우레이더 등 관련 인프라를 단계적으로 확충한다.

2027년까지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섬진강 유역 댐과 하천 정보를 디지털로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홍수와 가뭄을 사전에 예측해 대응한다.

올해 말까지 하천 배수시설 1982곳을 수위에 따라 원격으로 자동 조작하는 체계를 마련한다. 또 내년까지 국가하천 73개 3600㎞ 구간 2820곳에 폐쇄회로(CC)TV를 설치해 하천 상황을 실시간 관리한다.

2025년까지 스마트 댐 안전관리 체계를 마련한다. AI를 활용해 댐의 위험 요인을 예측하고, 사전 대응 체계를 구축한다.

내년까지 전국 지자체 161곳과 광역 취수장 31개, 광역 정수장 43개에 스마트 상수도 관리 체계를 완성한다. 이를 통해 먹는물 수량·수질을 실시간으로 제어한다.

공공하수처리시설 14개, 소규모 하수처리장 618개에 2024년까지 스마트 하수도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물 이용 전 과정을 실시간 관리한다.

지표수와 지하수를 통합 관리하기 위해 지표수 측정망 2019곳, 토양 측정망 2000곳, 지하수 측정망 813곳을 연계한다. 지하수 고갈이 우려되는 지역은 ▲예방관리지역 ▲중점관리지역 ▲보전관리지역으로 세분화해 관리한다.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에 '미량 오염물질 측정센터'를 설치하고, 미규제 50종 미량 오염물질을 모니터링한다.
[서울=뉴시스] 스마트 댐 안전관리 개요. (자료=환경부 제공). 2021.09.0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스마트 댐 안전관리 개요. (자료=환경부 제공). 2021.09.07.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수생태 복원 추진…대체 수자원 기반 구축


수량·수질에 수생태 등을 더한 하천관리 사업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

2025년까지 국가하천 제방 정비를 90% 이상 끝낸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정비 우선순위를 정하고, 물관리 예산을 집중 투입한다. 

지자체와 협의를 거쳐 재정자립도가 낮은 수도사업자를 통합한다. 이를 통해 지역 간 먹는물 서비스 격차를 줄인다. 

올해부터 지하수, 하수처리수, 빗물 등 대체 수자원 활용 기반을 구축한다. 도서지역에 지하수저류지를 확대하고, 물부족 지역에 대규모 공공지하수 관정을 설치한다. 청주 등에서는 하수재이용수를 공업용수로 공급한다.

낙동강 하굿둑을 개방해 기수(바닷물과 강물이 섞인 곳) 생태계 복원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우리강 자연성 회복 선도사업'과 지류에 어도(물고기가 다니는 길)를 설치하고, 구조물을 해체하는 등 수생태계 연속을 회복시킨다.

녹조 관리를 강화해 조류 경보 '경계' 단계 이상 발령 일수를 현재보다 30% 줄인다.

수변구역, 댐 홍수터, 하천 부지 등을 연계해 통합형 식생대를 조성한다. 노후 국가 산업단지 부지에는 습지 탄소숲을 조성한다.
[서울=뉴시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이 지난해 11월16일 오후 경북 구미 SK실트론에서 열린 고순도 공업용수(초순수) 실증플랜트 착공식을 마친 뒤 공장 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환경부 제공) 2021.11.1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이 지난해 11월16일 오후 경북 구미 SK실트론에서 열린 고순도 공업용수(초순수) 실증플랜트 착공식을 마친 뒤 공장 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환경부 제공) 2021.11.16.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2025년까지 초순수 국산화…2030년까지 소부장 육성


2025년까지 반도체용 초순수 생산 기술을 100% 국산화한다. 이후 초순수를 하루에 5만t씩 생산해 국내 반도체 기업에 공급하고, 해외 시장 진출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하루 2400t 생산이 가능한 실증 플랜트를 구축하고, 핵심 장치를 개발한다. 2025년까지 석·박사급 전문 인력 270명을 양성한다.

초순수 단위공정 기술 개발과 테스트베트 구축 등을 기반으로 2030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물 분야 소재·부품·장비(소부장) 20개 품목을 육성하고, 선진국 시장 진출을 도모한다. 해당 소부장은 탈기막, 자외선 산화, 이온교환수지 등이 있다.

합천댐에 설치된 '댐 내 수상태양광' 사업을 2040년까지 환경부 소관 전체 댐으로 확대한다.

소양강댐 인근에 2027년까지 3040억원을 투입해 수열에너지 융복합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광역 상수도 관로를 활용한 수열에너지 사업도 지속해서 발굴한다.

가축분뇨, 하수 찌꺼기, 음식물 쓰레기를 바이오가스로 전환하는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2030년까지 확대하는 한편, '유기성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가스의 생산 및 이용 촉진법'이 제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환경부는 물관리와 정보통신, 디지털 기술 접목으로 최고 수준의 스마트한 물관리를 실현하고, 물의 잠재력을 극대화해 재해 사전 예방부터 물 산업 경쟁력 제고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물 가치 창출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