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제약바이오, 올해 '퀀텀점프'…"과감한 정부 지원 절실"

등록 2022.01.24 12:03:4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R&D 투자 2025년까지 15~16%로 증대 목표

오픈 이노베이션 강화

대통령 직속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 설치 건의

"R&D 예산 2배 이상 확충해야…메가펀드 5조 조성"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24일 2022 신년 기자간담회(온라인)에서 “지난해 제약바이오산업은 1999년 이래 가장 많은 신약을 배출(4개)했다”며 “올해는 산업계의 총력 도전과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더해 제약바이오강국의 꿈을 실현하는 대도약의 해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사진=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24일 2022 신년 기자간담회(온라인)에서 “지난해 제약바이오산업은 1999년 이래 가장 많은 신약을 배출(4개)했다”며 “올해는 산업계의 총력 도전과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더해 제약바이오강국의 꿈을 실현하는 대도약의 해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사진=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송연주 기자 = 제약바이오 산업계가 국산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출시 등을 토대로 올해를 '대도약의 해'로 삼았다. 이를 위해선 정부의 공격이고 과감한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24일 2022 신년 기자간담회(온라인)에서 “지난해 제약바이오산업은 1999년 이래 가장 많은 신약을 배출(4개)했다”며 “올해는 산업계의 총력 도전과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더해 제약바이오강국의 꿈을 실현하는 대도약의 해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R&D 투자 15~16%로 증대…개방형 혁신 강화

원 회장은 민간 R&D 투자규모를 현재 10.7%에서 2025년까지 15~16% 수준으로 증대하겠다고 했다.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신약 파이프라인은 2021년 1477개로 2018년 573개보다 2.6배 증가했다.

원 회장은 “기술 수출은 물론 신약 최종 개발까지 스펙트럼을 확장하는 새로운 방향성 필요하다”며 “기업간 컨소시엄과 후기 임상에 정부의 R&D 투자를 집중시키는 전략을 기반으로 민간 R&D 투자규모를 증대하겠다”고 말했다.

또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의 전면 확산을 위해 혁신적 파이프라인 공유 플랫폼인 ‘드럭 디스커버리 라이브러리’ 컨소시엄 구축을 추진할 예정이다. 상시적인 기술거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바이오헬스 특화 기술거래소 발족도 검토 중이다. 기술거래소는 기업·벤처·대학의 기술을 공유·연결하는 온·오프라인 플랫폼이 될 예정이다.
 
품질관리 강화를 위해 현재 10%에 머물고 있는 QbD(의약품 설계기반 품질고도화) 도입률도 확대 추진한다. 대형 제약사 및 신규 품목, 주사제 중심으로 2025년 50%, 2030년 100%로 확대할 계획이다.

글로벌 공략은 선진시장과 신흥시장으로 이원화할 계획이다. 미국은 보스턴 CIC(케임브리지 이노베이션 센터)를 거점으로 활용해서 CIC 참여기업 4개를 12개로 확대하기로 했다. 스위스 바젤투자청과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 ‘바젤론치’를 가동(5개 기업 확정)하는 등 스위스 진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신흥시장은 의약품 입찰 및 민간시장 진출 지원에 초점을 두고 컨설팅 프로그램을 가동해 시장 개척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대통령 직속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 설치 건의

원 회장은 “지금은 점진적인 발전이 어렵고 퀀텀점프가 필요한 때인데 이를 위한 정부의 지원 범위와 규모는 선진국의 파격적 지원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며 “산업의 각고 노력과 정부의 공격적인 지원이 필요할 때다”고 강조했다.

국내 관계 정부부처의 올해 R&D 예산 15조7천억원 중 바이오는 1조8천억원(11.4%)에 불과하다. 반면 미국(30%), 벨기에(40%) 등은 제약바이오에 높은 비중으로 지원하고 있다. 특히 지난 10년간 보건의료 분야 R&D 투자가 증가했음에도 응용연구 비중은 축소했다.

원 회장은 대통령 직속으로 전주기의 통합적 육성·지원 컨트롤타워인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를 설치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산업 육성 정책과 재정이 여러 부처에 분산돼 있어 효율성이 저하된다”며 “연구개발·정책금융·세제 지원·규제개선·인력양성 등을 포괄해 제약바이오산업의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각 부처 정책을 총괄하는 대통령 직속의 컨트롤타워가 설치돼야 한다”고 말했다.

“R&D 예산 2배 이상 확충해야…메가펀드 5조원 조성”

원 회장은 “연구개발의 최종 목표는 의약품 개발임을 직시해 제품화의 주체인 기업에 대한 정부의 R&D 예산 지원을 2배 이상 확충해야(14.6 %→ 30% 이상 확대)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블록버스터 개발을 완주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시급하다”며 “정부 주도의 5조원대 메가펀드를 조성해 신약 파이프라인과 후기 임상에 집중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업 규모 확장의 열쇠인 M&A를 활성화하기 위한 국가적 M&A 지원전략 수립도 제안했다.

백신주권·제약주권 확립을 위한 지원도 필요하다고 했다. 원 회장은 “국내 기업이 백신 위탁생산(CMO) 사업에서 두각을 냈지만 백신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선 독자 개발 백신이 필요하다”면서 “코로나19 백신 개발 및 차세대 플랫폼 구축을 위해 1조원대 백신 바이오펀드를 조기 조성해서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 백신·치료제 개발에 많은 기업이 뛰어들어 실패를 거듭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노하우를 쌓았다”며 “충분히 해낼만한 내공을 쌓아 올해는 터질 때가 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국산 원료 및 필수의약품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기술개발, 허가, 생산, 약가, 유통 등 종합 지원대책 마련도 건의했다. 

제약바이오 기업에 따라 붙는 불투명한 정보 공개와 허위 공시의 오명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원 회장은 “제약바이오는 전문적이고 복잡한 산업 특성상 투자자에 혼동을 줄만한 정보 전달에 주의해야 하며 국민 건강과 밀접돼 있어 누구보다 투명하고 윤리적이어야 한다”면서 “다만, 신약개발과 바이오는 오랜 기간 투자하고 많은 인내가 필요하다는 산업 자체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