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역대급 가뭄 언제까지...기상청 "이번 달 비 잦아져 점차 해소"

등록 2022.06.13 16:36:43수정 2022.06.13 17:39:4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5월까지 강수량 평년 수준에 못 미쳐

수확기인 밭작물 피해 예상되는 상황

6월 들어선 비소식 잦아져…차츰 해소

[용인=뉴시스] 김종택기자 = 지난 7일 오후 경기도 용인시 이동저수지가 이어지는 봄가뭄과 농번기 농업용수 이용 증가로 바닥이 갈라져 있다. 2022.06.07. jtk@newsis.com

[용인=뉴시스] 김종택기자 = 지난 7일 오후 경기도 용인시 이동저수지가 이어지는 봄가뭄과 농번기 농업용수 이용 증가로 바닥이 갈라져 있다. 2022.06.0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신재현 기자 =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강수량이 역대 최저를 기록하는 등 전국 각지에서 가뭄 피해를 호소하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이 가뭄 사태 대비에 나선 가운데 전문가들은 이달 들어 내리는 비로 가뭄이 일부 해소될 것으로 보고 있다.

13일 기상청과 관계부처 등에 따르면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까지 집계된 최근 6개월 간 강수량은 167.4㎜로 평년의 48.6% 수준에 그쳤다. 전국적으로 가뭄 현상이 이어지는 상황이다.

특히 지난달에는 강수량이 평년의 6% 수준인 5.8㎜으로 사실상 거의 비가 오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전국 곳곳의 평균 강수량도 평년 수준에 못 미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 강수량은 서울 211㎜, 인천 204.8㎜, 수원 254.9㎜, 춘천 209.9㎜, 대관령 171.9㎜, 강릉 243.1㎜, 청주 178.1㎜, 대전 200.5㎜, 전주 276.5㎜, 광주 250.9㎜, 대구 120.3㎜, 부산 325.8㎜ 등으로, 같은 기간 평년 강수량인 386.3㎜을 밑돌았다.

이렇다 보니 일부 지역은 천수답 등에 용수가 부족해 수확기인 밭작물의 피해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비가 충분히 오지 않을 경우 노지 밭작물의 생육 저하로 생산량이 감소돼 그 피해는 더욱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경북의 경우 지난달 30일까지 도내 평균 강수량은 116.4㎜로 평년 강수량 266.5㎜의 43.7%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영농철 농업용수 공급에 차질이 예상된다고 한다.

충남지역에도 가뭄 비상이 걸려 ▲보령(청소) 마늘, 양파 ▲서산(고북, 지곡, 부석, 대산) 마늘, 감자 ▲부여(석성, 외산, 부여, 구룡) 참깨, 고추, 콩 ▲청양(남양은 맥문동, 고추 ▲홍성(서부) 두류, 고추, 사과 등에서 생육 부진과 생산량 저하가 우려되고 있다.

비를 뿌려주는 저기압이 한반도에 충분히 유입되지 않아 건조한 공기 형성으로 비가 내리지 않았다고 분석됐다. 다만 최근 내린 비로 가뭄 현상이 해소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통상 봄철엔 이동성 고기압과 이동성 저기압이 주기적으로 들어오면서 강수 구름이 만들어지지만 올해는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으면서 비가 내릴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지난달까지 평년보다 강수량이 적게 관측되면서 수문의 저수율 등도 영향을 받았지만 이달 접어들면서 비소식이 잦아져 상황이 나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4일부터 9일까지 전국에 내린 강수량은 전국 평균 34㎜로 지역별로는 경기 8㎜, 강원 36㎜, 충북 13㎜, 충남 29㎜, 전북 63㎜, 전남 33㎜, 경북 27㎜, 경남 54㎜, 제주 86㎜ 등이다.

오는 14일에도 전국적으로 비소식이 있어 6월 들어선 대체로 가뭄이 해소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정부와 지자체는 혹시 모를 가뭄 심화 사태를 대비해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선 상태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3일 '중앙-지방 가뭄대책회의'를 개최해 각 지자체 '가뭄대책 상황실'을 운영하고 예비비를 투입해 관정 개발과 용·배수로 정비, 하천 굴착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고령화된 농촌 현실을 감안해 양수 작업과 공공관정 전기요금 지원 등 필요 시 특별교부세도 지원하는 등 총력 대응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